목차
■중국 고대사
1. 위·진 시대
2. 남조
3. 5호16국과 북조
4. 수
5. 당
6. 송
① 송의 건국
② 남송의 발전
③ 사회·문화
7. 원
① 정치
② 경제
③ 문화
1. 위·진 시대
2. 남조
3. 5호16국과 북조
4. 수
5. 당
6. 송
① 송의 건국
② 남송의 발전
③ 사회·문화
7. 원
① 정치
② 경제
③ 문화
본문내용
나 생산력에서 훨씬 우세한 피지배민족을 다스릴 수 있도록 엄격한 민족차별정책을 취했다. 자신의 지배 하에 있는 민족을 크게 국족·색목인·한인·남인의 4개 부류로 분류했다. 국족이란 지배민족인 몽골족을 가리키고, 색목인이란 투르크계·이란계·유럽계 등의 서방에서 건너온 인종집단을 말한다.
한인은 발해인·여진족·거란족·한족 등 금의 지배 하에 있던 사람들, 남인은 남송의 지배 아래 있었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 가운데 색목인은 국족인 몽골족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았으나, 한인은 색목인보다 한 단계 낮은 대우를 받았다. 남인은 가장 냉대 받고 정치에도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7,000만 명의 한인과 남인이 100만 명도 안 되는 몽골족에게 차별 대우를 받으며 지배되던 원대에는 민족간의 갈등이 심각했다.
5대 황제인 영종이 태정제 일파에 의해 암살된 후 제11대 황제이자 원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가 즉위한 때까지, 10년간 조정에서는 일대 내란이 일어났다. 내란이 진정된 뒤에는 다시 권신들에 의한 전권이 이어졌다. 이 같은 중앙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지방에서는 독립의 경향이 싹터 관군의 힘이 약해졌으며, 산둥과 강남지구에 한인·남인들에 의한 민족적 반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미 혼란에 빠진 중앙의 조정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해 반란은 점차 다른 지역에까지 확대되었다. 1368년 순제가 결국 명군의 공격을 받아 대도를 버리고 고비 사막 북부로 도망갔다가 그곳에서 죽음으로써 원은 11대 98년 만에 멸망했다.
② 경제
원의 남송정복은 종래의 국경 내에서만 허용되던 송 대의 제한적 경제권을 남과 북을 잇는 전 대륙적 경제권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했다. 원은 강남지역의 풍부한 물자를 활용하기 위해 남북간의 교역을 더욱 촉진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양쯔·화이허·황허 강을 잇는 대운하를 다구까지 연장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로 완성시켰다.
한편 1280년에는 사상들에 의한 남북간 곡물교역을 허용하여, 그 후 이 일에 종사하는 상인들 가운데 대 상인으로 성장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14세기 초에 정부의 탄압으로 사상들의 교역은 중단되었다. 원은 전국적인 경제교류를 활발히 촉진시키기 위해 신용화폐를 많이 유통시켰다.
쿠빌라이는 국초부터 중통교초와 지원교초를 발행하여 이것을 전국적으로 유통시켰다. 그러나 유목민 지배층의 무절제한 낭비와 방대한 액수에 이르는 군사비 등의 중압으로 재정적 위기에 부딪혔으며 이를 통화량 팽창으로 해결하여 통화가격이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사태까지 일어났다.
③ 문화
피정복민에 비해 비교적 낮은 문화수준에 있던 원의 지배층은 다른 민족의 종교와 풍습에 대해 관대하고 포용적인 태도를 취했다. 몽골족 자체는 원래 샤머니즘을 숭배했지만 이미 주변 유목민들의 영향으로 그리스도교·불교·도교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다. 특히 원의 경우에는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쿠빌라이는 티베트 불교의 일파인 샤카파의 승려 파스파를 국사로 삼아 티베트 문자를 모방한 파스파 문자를 만들게 하고, 이것으로 종래의 위구르 문자를 대신해 몽골어를 기록하게 했다. 원은 유교에 대해서도 관용을 보여 소수의 유학자를 정치에 참여시키기도 했고 후에는 과거제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수 특권층을 제외한 일반 유학자들은 중하급관료에 진출하는 데 그쳤으며, 강남의 유학자들은 기회도 주어지지 않아 유학자들 사이에 불만이 많았다. 그러나 사인층보다 더 큰 곤란을 당했던 것은 무거운 조세부담과 끊임없는 부역징발에 시달렸던 일반 민중들이었다. 이 때문에 이들은 백련교나 백운종과 같은 비밀결사에 가담해 후에 원에 대항하는 민족봉기를 일으켰다. 이것은 원 붕괴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인은 발해인·여진족·거란족·한족 등 금의 지배 하에 있던 사람들, 남인은 남송의 지배 아래 있었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 가운데 색목인은 국족인 몽골족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았으나, 한인은 색목인보다 한 단계 낮은 대우를 받았다. 남인은 가장 냉대 받고 정치에도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7,000만 명의 한인과 남인이 100만 명도 안 되는 몽골족에게 차별 대우를 받으며 지배되던 원대에는 민족간의 갈등이 심각했다.
5대 황제인 영종이 태정제 일파에 의해 암살된 후 제11대 황제이자 원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가 즉위한 때까지, 10년간 조정에서는 일대 내란이 일어났다. 내란이 진정된 뒤에는 다시 권신들에 의한 전권이 이어졌다. 이 같은 중앙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지방에서는 독립의 경향이 싹터 관군의 힘이 약해졌으며, 산둥과 강남지구에 한인·남인들에 의한 민족적 반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미 혼란에 빠진 중앙의 조정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해 반란은 점차 다른 지역에까지 확대되었다. 1368년 순제가 결국 명군의 공격을 받아 대도를 버리고 고비 사막 북부로 도망갔다가 그곳에서 죽음으로써 원은 11대 98년 만에 멸망했다.
② 경제
원의 남송정복은 종래의 국경 내에서만 허용되던 송 대의 제한적 경제권을 남과 북을 잇는 전 대륙적 경제권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했다. 원은 강남지역의 풍부한 물자를 활용하기 위해 남북간의 교역을 더욱 촉진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양쯔·화이허·황허 강을 잇는 대운하를 다구까지 연장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로 완성시켰다.
한편 1280년에는 사상들에 의한 남북간 곡물교역을 허용하여, 그 후 이 일에 종사하는 상인들 가운데 대 상인으로 성장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14세기 초에 정부의 탄압으로 사상들의 교역은 중단되었다. 원은 전국적인 경제교류를 활발히 촉진시키기 위해 신용화폐를 많이 유통시켰다.
쿠빌라이는 국초부터 중통교초와 지원교초를 발행하여 이것을 전국적으로 유통시켰다. 그러나 유목민 지배층의 무절제한 낭비와 방대한 액수에 이르는 군사비 등의 중압으로 재정적 위기에 부딪혔으며 이를 통화량 팽창으로 해결하여 통화가격이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사태까지 일어났다.
③ 문화
피정복민에 비해 비교적 낮은 문화수준에 있던 원의 지배층은 다른 민족의 종교와 풍습에 대해 관대하고 포용적인 태도를 취했다. 몽골족 자체는 원래 샤머니즘을 숭배했지만 이미 주변 유목민들의 영향으로 그리스도교·불교·도교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다. 특히 원의 경우에는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쿠빌라이는 티베트 불교의 일파인 샤카파의 승려 파스파를 국사로 삼아 티베트 문자를 모방한 파스파 문자를 만들게 하고, 이것으로 종래의 위구르 문자를 대신해 몽골어를 기록하게 했다. 원은 유교에 대해서도 관용을 보여 소수의 유학자를 정치에 참여시키기도 했고 후에는 과거제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수 특권층을 제외한 일반 유학자들은 중하급관료에 진출하는 데 그쳤으며, 강남의 유학자들은 기회도 주어지지 않아 유학자들 사이에 불만이 많았다. 그러나 사인층보다 더 큰 곤란을 당했던 것은 무거운 조세부담과 끊임없는 부역징발에 시달렸던 일반 민중들이었다. 이 때문에 이들은 백련교나 백운종과 같은 비밀결사에 가담해 후에 원에 대항하는 민족봉기를 일으켰다. 이것은 원 붕괴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추천자료
[중국영화사] 1,2세대 중국영화사
(중국에 대한 이해) - 중국의 술과 차에 대하여
중국 시대별 소설 정리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싸우는 우리 드라마
중국 회화에 대한 이해와 시대적 발전모습 및 특징(A+)
[중국 주거문화][한국 전통주거][북한 주거현황][로마 주거형태][홍콩 공공주거][프랑스 주거...
도교와 중국문화 - 도교문화가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
[사생관][생사관][불교 사생관][원불교 사생관][유교 사생관][중국][시베리아]불교의 사생관(...
[자연관][동양][서양][성경][중국][바로크시대][워즈워스][장자]동양의 자연관, 서양의 자연...
스토리와 만나는 중국 문화여행 <공자(孔子)와 함께 떠나는 중국 문화 여행> - 관광지, 산동...
[국어국문학과 공통] 중국의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는 어떻게 다른지 비교, 서술하십시오 - ...
[요약][중국역사의 진실]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독서보고서] ‘이중톈, 중국인을 말하다’를 읽고 (유쾌한 입담과 예리한 통찰력으로 풀어낸 ...
중국 소설의 기원과 발전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