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창제의 정치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가.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

나. 훈민정음 창제의 과정

다.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ㄱ. 고전(古篆)기원설
ㄴ. 범자(梵字)기원설
ㄷ. 몽고 파스파 문자 기원설
ㄹ. 발음기관 본뜸 기원설

라.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ㄱ. 언어 통일과 정치 통일의 관계
ㄴ. 중국과의 관계 증진
ㄷ. 문자로 인한 사회계층 분할 문제
ㄹ. 백성의 교화

마. 맺음말

본문내용

었다. 「세종대의 역사와 문화」 2001 이성무 태학사
이에 세종은 한자음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명나라의 운서인 「광운」「집운」「홍무정운」을 참고로 「홍무정운훈의」를 편찬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우리의 한자음과 중국의 문자음을 통일시키려는 노력이었다.
ㄷ. 문자로 인한 사회계층 분할 문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는 한문이 유일한 언문이었지만 서민들이 배우기에는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그래서 한문은 양반들의 소유물처럼 여겨졌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반과 서민들의 계층차이는 점차 심화되었다. 때문에 무엇보다 백성들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더욱이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와 달리 면리제도나 5가작통제 등이 실시되어 중앙의 명령이 집집마다 영향을 주게 되었는데 백성들이 글을 몰라 협조할 수 없어 큰 문제가 되었다.
이에 세종은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이를 보급하기 위해 초기에는 관아에서 일하는 말단의 행정 실무요원에게 훈민정음을 가르쳤다. 이들은 백성들과 직접 접촉하여 중앙의 명령을 집행하는 사람들로 이들이 또다시 백성에게 훈민정음을 가르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ㄹ. 백성의 교화
“모름지기 세민(細民)으로 하여금 금법(禁法)을 알게 하여 두려워서 피하게 함이 옳겠다.” “형살(殺)에 대한 옥사(獄辭)같은 것을 이두 문자로 쓴다면, 문리(文理)를 알지 못하는 어리석은 백성이 한 글자의 착오로 혹 원통함을 당할 수도 있겠으나, 이제 언문으로 그 말을 직접 써서 읽어 듣게 하면, 비록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모두 다 쉽게 알아들어서 억울함을 품을 자가 없을 것이라” 이와 같은 말에는 백성을 교화하려는 세종의 노력이 엿보인다.
또 세종은 만일 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 효자. 열녀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여 「삼강행실도」와 4서5경의 국역도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백성들의 생활에 깊이 뿌리박힌 불교경전을 국역하고, 「농사직설」을 간행하여 백성들의 생활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 맺음말
세종대왕이 남긴 수많은 업적 중에 가장 큰 업적은 단연 훈민정음의 창제라 하겠다. 최만리와 세종의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훈민정음은 단순히 언어창제의 문제가 아니라, 외교와 세계관과 백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노정한 대단히 ‘정치적인’ 문제였다.
훈민정음 창제에는 언어 통일을 함으로써 정치를 통일시키려는 노력이 들어있고, 중국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나아가 문자로 인한 사회계층 분할 문제를 해소하여 백성을 교화시키려는 노력이 함축되어있었다.
“평소 우리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지도자의 한 분으로 생각하기는 했지만 본받고 싶다고 말하는 것도 조심스러워 입에 올리지는 않았다” 는 현 대통령의 말과 이렇게 쉽게 글을 읽고 문자를 사용하며 또한 레포트를 쓰고 있는 것이 훈민정음의 창제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에서 세종대왕의 커다란 업적과 위대함을 새삼 생각해보게 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4.1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