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용고방시괄 人蔘敗毒散 과체산 소시호탕 쌍화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용고방시괄 人蔘敗毒散 과체산 소시호탕 쌍화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人蔘敗毒散인삼패독산

과체산

소시호탕

대승기탕

삼화탕

대승기탕

도인승기탕

사역탕

이중탕

부자이중탕

소건중탕

현무탕

자감초탕

보중익기탕

승양익위탕

익위승양탕

조중익기탕

승양보기탕

쌍화산

본문내용

창출을 가미하고, 황기, 목향, 인삼 8가지 약미이니 앞을 따라 선택하면 과장을 감당할 수 있다.
見三卷百四十葉하니라.
조중익기탕은 3권 140엽에서 나타난다.
升陽補氣湯
승양보기탕
升麻 澤瀉 防風 白芍 誇를 厚朴 柴胡 薑 獨活이오 甘草 地黃 生用佳를.
승양보기탕은 승마, 택사, 방풍, 백작약과 후박, 시호, 생강, 독활이고, 감초, 지황은 생것으로 사용하면 좋다.
升麻 澤瀉 防風 白芍 羌活 獨活 甘草 各五分 厚朴一分 柴胡 一錢二分 生地 七分半 薑棗를 煎服이니라.
승마, 택사, 방풍, 백작약, 강활, 독활, 감초 각각 2g, 후박 0.4g, 시호 4.8g, 생지황 3g, 생강, 대추를 달여 복용한다.
治飮食을 不時나 饑飽勞役하야 胃氣不足하며 脾氣下溜로 氣短無力 不能寒熱 早飯後 昏悶 怠惰 四肢不收 懶於動作 五心煩熱이라.
음식은 때에 맞지 않거나, 굶주리고 배부르며 노역하여 위기가 부족하며 비기가 아래로 머물러서 숨이 짧고 무력하여 한열을 견디지 못하고 아침식사뒤에 혼절하여 번민하고 권태로 게을러지고 사지를 거두지 못하고 동작이 나태하며 5심번열함을 치료한다.
如腹脹과 及 腹窄狹이면 加 厚朴하고 腹中硬이면 加 砂仁이니라.
만약 복부창만과 복부협착이면 후박을 가미하고 배 속이 단단하면 사인을 가미한다.
雙和湯
쌍화탕
桂 甘草 芍 黃 蔘 歸 熟地黃이오 薑 棗 煎來 補氣血하니 虛勞少食 也 堪嘗을.
쌍화탕은 계지, 감초, 백작약, 황기, 인삼, 당귀, 숙지황이고, 생강, 대추를 달여서 기와 혈을 보하니 허로로 음식을 적게 먹으면 맛봄을 감당할 수 있다.
見三卷百四一葉하니라.
쌍화탕은 3권 141엽에 나타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