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저 말을 걸지만 다른 대상자에게는 먼저 말을 걸지 않는다.
- 병동 내에서 교류하고 있는 환자는 1명 뿐이다. 그 대상자가 없을 시에는 항상 혼자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부적절한 지지체계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하루 한번 이상 학생간호사 및 다른 대상자에게 먼저 말을 걸 것이다.
2. 대상자는 1주 이내에 학생 간호사와의 대화 시간이 10분 이상 깊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3. 대상자는 1주 이내에 2번 이상 스스로 활동 요법에 참여한다.
4.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1.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1-1. 대상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아도 먼저 인사하고 관심을 보인다.
1-2. 대상자와의 접촉은 짧게 자주 만나고, 점차적으로 만남의 기간을 늘리고,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하고 치료적인 간호사/환자 관계를 형성한다.
2. 병동내의 다른 대상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초기에 함께 있어준다.
2-1. 게임을 통해 주위 사람들과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2. 다른 대상자들과 모여 있을 때 대상자를 대화에 참여시키려 시도한다.
3. 대상자에게 집단상황을 제공하고 동참하도록 격려한다.
3-1. 집단 활동시 옆에서 지지를 해 주어 활동참여를 격려한다.
4. 대상자가 좋아하는 놀이나 화제 거리로 이야기를 하여 의욕을 고취시킨다.
5. 시도한 것 자체에 대해 긍정적 강화를 하고 성공적으로 시도한 것을 인정해 주고 격려한다.
1. 신뢰관계 형성은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기본이 된다. 고립감과 외로움을 줄이고, 적극적인 경청으로 대상자에 대한 관심과 수용을 나타내며, 신뢰와 rapport를 형성한다. 수용적인 태도는 대상자의 자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1-1. 대상자에게 먼저 다가가 “안녕하세요 학생 간호사 성혜영입니다.”라고 인사를 하였다.
1-2. 대상자의 면담에서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하였다.
2. 신뢰를 형성한 후 함께 참여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한다. 신뢰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안정감을 느낀다.
2-1. 오목을 하여 다른 대상자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2-2. 다른 대상자들과 대화에 대상자를 참여시켰다.
3-1. 미술요법시 대상자 옆에서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었다.
4. 대상자가 좋아하는 오목을 같이 두고 대상자가 그 동안의 면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어렸을 때 태권도 선수를 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5.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체조에 참여한 것에 대해 격려하였다.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1. 대상자는 학생 간호사에게 먼저 인사를 하고 말을 건넸다.
2.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와의 대화를 10분 이상으로 증가됐다.
3. 대상자는 미술, 음악요법에 스스로 참여하였다.
4. 대상자는 학생 간호사가 권유하지 않아도 집단 활동인 체조, 건강교육, 음악요법 등에 참여는 하였으나 적극적인 모습은 보이지 않고 쉽게 지루해 하는 모습이 보였다.
사정
(객관적, 주관적)
간호진단
간호목표
(장, 단기)
간호계획
중재
평가
S
“잠을 자면 자구 깨게 되요.”
"자려고 침대에 누워도 잠이 잘 오지 않아요.”
“원래는 잠이 많았었는데 입원 후에는 얼마 못 자겠어요.”
“잠을 자도 피곤해요.”
O
- 낮에 잘 움직이지 않고 침대에 계속 눈 뜨고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나른하고 무기력한 모습으로 몽롱한 표정을 보였다.
- 낮 동안의 대화시 하품을 자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련된 수면장애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낼 것이다.
2.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수면 중 깨는 상태 없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3.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정상적인 수면을 할 것이다.
1. 수면 양상을 사정한다.(잠드는, 시간, 수면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
2. 수면 장애 요인을 파악한다.
2-1.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제공한다.
2-2. 차, 커피, 콜라와 같은 카페인이 있는 음료섭취를 제한하고 잠자리에 들기 30분 전에 마지막 흡연을 마치도록 조언한다.
2-3 취침 전 긴장을 풀고 평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도록 권유한다.
2-4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권유한다.
3. 낮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한다.
3-1. 낮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하고 낮잠을 많이 자지 않도록 한다.
3-2. 병동 hall에 나와 가벼운 운동을 하도록 권유한다.
4. 계획표를 작성하여 병동 치료 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4-1. 규칙적인 수면시간과 기상시간을 계획하도록 한다.
4-2. 병동 계획표에 따라 병동 치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유한다.
1. 잠드는 시간 : PM 9시, 수면지속시간 : 4시간 정도, 일어나는 시간 : AM 8시 -> 누워 있는 시간은 길지만 수면의 질은 낮은 편.
2. 수면 장애 요인을 파악하였다. -> 주위소음, 병원 환경
2-1. 대상자에게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하고 너무 많이 마시지 않도록 권유하였다.
2-2. 잠자리에 들기 30분 전에 마지막 흡연을 마쳐야 수면에 도움이 된다고 교육하였다.
(카페인은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니코틴은 중추신경자극제.)
2-3. 자기 전에 긴장을 풀고평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도록 권유하였다.
2-4. 대상자는 170cm, 81.5kg으로 체중과다이므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알려주었다.
(비만은 피로, 수면시 무호흡을 일으킬 수 있다.)
3-1. 낮에 침대에 있지 않도록 병동 hall에 나와 활동할 것을 권유하였다.
3-2. 병동 hall에 나와 같이 걷기 운동을 하였다.
(운동요법은 정상적인 수면을 도모 할 수 있다.)
4-1. 수면시간 : AM 6시 30분, 기상시간 : PM 8시 30분
4-2. 음악 감상, 신문스크랩, 비디오감상, 운동, 미술, 노래방, 레크레이션 등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였다.
1.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냈다. (주위소음)
2. 대상자는 수면 중 깨는 상태 없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고 말하였다.
3. 대상자는 편안하게 잘 잤다고 말하였다.
- 병동 내에서 교류하고 있는 환자는 1명 뿐이다. 그 대상자가 없을 시에는 항상 혼자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부적절한 지지체계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하루 한번 이상 학생간호사 및 다른 대상자에게 먼저 말을 걸 것이다.
2. 대상자는 1주 이내에 학생 간호사와의 대화 시간이 10분 이상 깊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3. 대상자는 1주 이내에 2번 이상 스스로 활동 요법에 참여한다.
4.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1.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1-1. 대상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아도 먼저 인사하고 관심을 보인다.
1-2. 대상자와의 접촉은 짧게 자주 만나고, 점차적으로 만남의 기간을 늘리고,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하고 치료적인 간호사/환자 관계를 형성한다.
2. 병동내의 다른 대상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초기에 함께 있어준다.
2-1. 게임을 통해 주위 사람들과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2. 다른 대상자들과 모여 있을 때 대상자를 대화에 참여시키려 시도한다.
3. 대상자에게 집단상황을 제공하고 동참하도록 격려한다.
3-1. 집단 활동시 옆에서 지지를 해 주어 활동참여를 격려한다.
4. 대상자가 좋아하는 놀이나 화제 거리로 이야기를 하여 의욕을 고취시킨다.
5. 시도한 것 자체에 대해 긍정적 강화를 하고 성공적으로 시도한 것을 인정해 주고 격려한다.
1. 신뢰관계 형성은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기본이 된다. 고립감과 외로움을 줄이고, 적극적인 경청으로 대상자에 대한 관심과 수용을 나타내며, 신뢰와 rapport를 형성한다. 수용적인 태도는 대상자의 자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1-1. 대상자에게 먼저 다가가 “안녕하세요 학생 간호사 성혜영입니다.”라고 인사를 하였다.
1-2. 대상자의 면담에서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하였다.
2. 신뢰를 형성한 후 함께 참여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한다. 신뢰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안정감을 느낀다.
2-1. 오목을 하여 다른 대상자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2-2. 다른 대상자들과 대화에 대상자를 참여시켰다.
3-1. 미술요법시 대상자 옆에서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었다.
4. 대상자가 좋아하는 오목을 같이 두고 대상자가 그 동안의 면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어렸을 때 태권도 선수를 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5.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체조에 참여한 것에 대해 격려하였다.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1. 대상자는 학생 간호사에게 먼저 인사를 하고 말을 건넸다.
2. 대상자는 학생간호사와의 대화를 10분 이상으로 증가됐다.
3. 대상자는 미술, 음악요법에 스스로 참여하였다.
4. 대상자는 학생 간호사가 권유하지 않아도 집단 활동인 체조, 건강교육, 음악요법 등에 참여는 하였으나 적극적인 모습은 보이지 않고 쉽게 지루해 하는 모습이 보였다.
사정
(객관적, 주관적)
간호진단
간호목표
(장, 단기)
간호계획
중재
평가
S
“잠을 자면 자구 깨게 되요.”
"자려고 침대에 누워도 잠이 잘 오지 않아요.”
“원래는 잠이 많았었는데 입원 후에는 얼마 못 자겠어요.”
“잠을 자도 피곤해요.”
O
- 낮에 잘 움직이지 않고 침대에 계속 눈 뜨고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나른하고 무기력한 모습으로 몽롱한 표정을 보였다.
- 낮 동안의 대화시 하품을 자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련된 수면장애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낼 것이다.
2.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수면 중 깨는 상태 없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3.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정상적인 수면을 할 것이다.
1. 수면 양상을 사정한다.(잠드는, 시간, 수면지속시간, 일어나는 시간)
2. 수면 장애 요인을 파악한다.
2-1.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제공한다.
2-2. 차, 커피, 콜라와 같은 카페인이 있는 음료섭취를 제한하고 잠자리에 들기 30분 전에 마지막 흡연을 마치도록 조언한다.
2-3 취침 전 긴장을 풀고 평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도록 권유한다.
2-4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권유한다.
3. 낮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한다.
3-1. 낮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하고 낮잠을 많이 자지 않도록 한다.
3-2. 병동 hall에 나와 가벼운 운동을 하도록 권유한다.
4. 계획표를 작성하여 병동 치료 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4-1. 규칙적인 수면시간과 기상시간을 계획하도록 한다.
4-2. 병동 계획표에 따라 병동 치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유한다.
1. 잠드는 시간 : PM 9시, 수면지속시간 : 4시간 정도, 일어나는 시간 : AM 8시 -> 누워 있는 시간은 길지만 수면의 질은 낮은 편.
2. 수면 장애 요인을 파악하였다. -> 주위소음, 병원 환경
2-1. 대상자에게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하고 너무 많이 마시지 않도록 권유하였다.
2-2. 잠자리에 들기 30분 전에 마지막 흡연을 마쳐야 수면에 도움이 된다고 교육하였다.
(카페인은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니코틴은 중추신경자극제.)
2-3. 자기 전에 긴장을 풀고평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도록 권유하였다.
2-4. 대상자는 170cm, 81.5kg으로 체중과다이므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알려주었다.
(비만은 피로, 수면시 무호흡을 일으킬 수 있다.)
3-1. 낮에 침대에 있지 않도록 병동 hall에 나와 활동할 것을 권유하였다.
3-2. 병동 hall에 나와 같이 걷기 운동을 하였다.
(운동요법은 정상적인 수면을 도모 할 수 있다.)
4-1. 수면시간 : AM 6시 30분, 기상시간 : PM 8시 30분
4-2. 음악 감상, 신문스크랩, 비디오감상, 운동, 미술, 노래방, 레크레이션 등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였다.
1.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아냈다. (주위소음)
2. 대상자는 수면 중 깨는 상태 없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고 말하였다.
3. 대상자는 편안하게 잘 잤다고 말하였다.
추천자료
[정신간호학]정신적 스트레스 치료 요법
정신간호학실습 레포트 - 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 정신케이스 - Schizophrenia(정신분열증)
<정신간호> 뷰티풀 마인드 감상문 and 정신간호학적 접근 (간호 과정)
(정신 간호학) 정신간호학 총론
정신건강간호학실습 - 1 2 3차 정신보건 서비스
[정신간호학 실습] Roll playing 정신 롤플레이 - 정신과 실습 역할극 시나리오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process recording), 대화과정표
[정신간호학] 조현병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 정신병적장애의 이해
[정신간호학 실습] Psychotic disorder case study 정신병적 장애 케이스 스터디 - 의학적 진...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조현병(schizophrenia. 정신분열증), 간호진단 3개(자신의 무가...
[정신간호학] 개인정신치료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과적 응급처치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건강 간호학의 기본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