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간호] 침, 뜸, 부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방간호] 침, 뜸, 부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침요법
1. 침요법의 정의
① 침요법 정의와 작용
② 자침의 작용
2. 침의 종류
3. 침요법의 적응증과 금기증
① 적응증
4. 침을 놓기 전의 준비

◈ 뜸요법
1. 애엽(뜸쑥)
2. 뜸요법의 종류
3. 뜸 뜨는 체위와 순서
4. 뜸의 보사법
5. 주의할 점
6. 금기증
7. 뜸의 효과

◈ 부항요법
1. 부항요법의 정의
2. 부항요법의 원리
3. 부항요법의 반응
4. 부항의 색소반응
5. 부항요법의 명칭

본문내용

에 나타난 색소 반응에 의해 오장육부 어느 곳에 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어느 정도 상태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것이 부항요법의 색소 반응에 의한 진단 법이다.
2) 색소반응
- 치료 후 피부의 표면에 남는 빛깔인데 이 색소 반응은 보통 적색으로부터 신체 내부의 산성 피가 많아짐에 따라 빛깔이 점차 진해져 검 보랏빛까지 나타난다. 이 색소 반응은 신체 내부의 질병 장부 가까운 표면이나 그 질병과 관계 있는 경락 위에 강하게 반응을 일으킨다.
3) 응고반응
- 건강 반응(붉은 홍반)과 함께 흡착한 피부 표면에 딸기와 같이 털구멍이 넓어지고 부항 뗀 자리의 전면에 응결이 나오는 반응이다. 이것은 국소적으로 노폐물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이며 심한 견비통이나 요통이 있는 경우 잘 나타난다.
4) 수포반응
- 피부 표면에 수포가 생기는 반응이다. 부항을 1곳에 10분 이상 붙였을 때 나타나는 수가 있는데, 피부 표면 어디에서나 생기는 것이 아니고 환자의 만성적인 질환이나 약한 내장에 관계된 피부 표면에만 나타난다. 수포 반응이 일어나면 발포법에 따른 처치를 하면 된다.
5) 압통반응
- 피부 위에서 누르면 아픔을 느끼는 이 반응은 앞서 말한 각 반응이 있을 경우 치료상 느끼는 아픔인데 질병이 중할수록 압통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 압통 반응은 몸의 건강이 고르지 못함을 뜻하고 피하의 근육이 심하게 굳어질수록 압통 반응이 강하다.
5. 부항요법의 명칭
1) 형식에 따른 명칭
① 단관법 : 일정한 부위에 하나의 부항만 붙이는 방법
② 다관법 : 넓은 부위에 수개~수십 개의 부항을 붙이는 방법
③ 섬관법 : 부항을 붙였다가 금방 떼고 붙이기를 반복하여 색소반응이 나타나면 중단
④ 유관법 : 일반적인 부항시술의 방법으로 부항을 붙인 후 일정시간을 방치하는 방법
⑤ 주관법 : 피부에 윤활제를 바르고 일반적인 부항시술 때 보다 1/3 정도의 흡착력으로 부착한 후 피부 위를 왕복시키는 방법. 미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2) 방식에 따른 명칭
① 건부항 : 부항을 붙여 국소 피부에 울혈을 일으켜서 치료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말하는 부항시술법
② 습부항 : 사혈침 등으로 피부를 찌른 후 부항을 흡착시켜 출혈을 시킴으로써 어혈 제거
③ 발포부항 : 부항을 붙인 자리에 물집이 생기는 것을 발포(發泡)라고 한다. 심한 증세가 있거나 병의 뿌리를 뽑고자 할 때는 일부러 발포를 시키며 사혈부항과는 다르다.

키워드

한방,   한방간호,   ,   ,   부황,   뜸 요법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