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백혈병의 임상소견 및 치료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임상 소견

2. 치 료

본문내용

ethotrexate 또는 복합항암약제(methotrexate, cytarabine, hydrocortisone)의 주입법등이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치료는 전뇌와 제2경추까지 포함하여 1800cGy의 방사선량을 조사한다.
ALL 환자에서 중추신경계 발병위험인자로는 고혈청 LDH, 백혈구수, 골수내 S-phase 세포비율이 높은 경우와 B-ALL 등이 있다. 중추신경계에서 발병했을 때는 경막내로 methotrexate를 단독 투여하거나 cytarabine 및 hydrocortisone과 함께 복합투여를 시행한다. 뇌신경 또는 말초신경마비 등의 소견이 동반된 경우에는 신경내 깊은 부위까지 백혈병세포가 침투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곳은 항암화학약제가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중추신경계 치료시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반복되는 척수천자로 인한 지망막염(arachnoiditis)이 있으며, 요통, 발열, 수막증(meningism)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방사선치료시에는 경면(somnolence)이 발생할 수 있고 항암약제 투여로 인한 골수기능 저하가 심화될 수 있으며, 그밖에 탈수초(demyelinization)증후군의 발생도 보고된 바 있다.
남성의 고환에도 혈뇌장벽과 비슷한 혈고환장벽(blood- testis barrier)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환에 대해서는 수정능력 상실 등의 문제 때문에 중추신경계에서처럼 예방목적의 방사선치료는 시행하지 않으며 재발시에만 치료목적으로 방사선조사를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1800~2400cGy의 방사선을 투여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