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병원감염의 정의와 역학
2. 병원감염의 중요성
3. 주요 병원감염
4. 감염의 전파와 격리지침
5. 손씻기
6. 의료진(HCW:Health Care Workers)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2. 병원감염의 중요성
3. 주요 병원감염
4. 감염의 전파와 격리지침
5. 손씻기
6. 의료진(HCW:Health Care Workers)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본문내용
분류
(1) 비누를 이용한 손씻기 - 비누로 흐르는 물에서 10-15초간
(2)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 - 소독제가 들어있는 비누로 흐르는 물에서 10-15초간 손을 씻는다. 소독제로는 iodine 제제, chlorhexidine, 알코올을 사용한다.
(3) 알코올 handrub -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의 한 형태이다. 세면대가 없어도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유기물질로 손이 오염된 경우에는 알코올 handrub의 효과가 떨어진다.
(4) 외과적 손씻기 - 피부의 상재균까지 제거
3) 손씻기 방법
4) 손씻기 방법 중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는 손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가와 손의 미생물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손씻기가 필요한 경우는 ① 환자를 진료하기 전과 후, ② 장갑을 벗은 후, ③ 체액이나 분비물, 손상된 피부 등과 접촉한 경우, ④ 병원균으로 오염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환경과 접촉한 경우 등이며 특히 침습적 시술을 앞 둔 경우나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를 진찰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6. 의료진(HCW:Health Care Workers)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1) 주사바늘 찔림 사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는 혈액매개질환에 의료인이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이다.
(1) 주사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는 지침
① 별도의 주사바늘통에 주사침을 버림
② 사용한 주사바늘에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음
③ 손으로 바늘을 구부리거나 자르지 않음
④ 손으로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제거하지 않음
(2) 주사바늘 찔림 사고로 옮을 수 있는 질환과 전염 가능성
① B형 간염(HBV) - > 10%
② C형 간염(HCV) - 2~8%
③ 에이즈 (HIV) - 0.3%
(3) 주사바늘 찔림 사고 발생 시 조치
① 노출된 피부를 즉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씻음
② B형 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표 1)
③ C형 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
효과가 입증된 예방약제가 없다.
④ HIV 감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
환자의 혈장 바이러스 역가와 노출 정도에 따라 항레트로바이러스제 2가지 혹은 3가지를 4주간 투여한다.
2) 의료진은 주사바늘 찔림 사고 이외에도 다양한 병원감염에 노출되며 결핵이나 인플루엔자가 그 예이다. 의료진이 적절한 격리지침을 지키면 결핵이나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에 걸리지 않겠지만 이러한 질병이 진단되기 전에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비누를 이용한 손씻기 - 비누로 흐르는 물에서 10-15초간
(2)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 - 소독제가 들어있는 비누로 흐르는 물에서 10-15초간 손을 씻는다. 소독제로는 iodine 제제, chlorhexidine, 알코올을 사용한다.
(3) 알코올 handrub - 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의 한 형태이다. 세면대가 없어도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유기물질로 손이 오염된 경우에는 알코올 handrub의 효과가 떨어진다.
(4) 외과적 손씻기 - 피부의 상재균까지 제거
3) 손씻기 방법
4) 손씻기 방법 중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는 손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가와 손의 미생물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손씻기가 필요한 경우는 ① 환자를 진료하기 전과 후, ② 장갑을 벗은 후, ③ 체액이나 분비물, 손상된 피부 등과 접촉한 경우, ④ 병원균으로 오염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환경과 접촉한 경우 등이며 특히 침습적 시술을 앞 둔 경우나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를 진찰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6. 의료진(HCW:Health Care Workers)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1) 주사바늘 찔림 사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는 혈액매개질환에 의료인이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이다.
(1) 주사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는 지침
① 별도의 주사바늘통에 주사침을 버림
② 사용한 주사바늘에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음
③ 손으로 바늘을 구부리거나 자르지 않음
④ 손으로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제거하지 않음
(2) 주사바늘 찔림 사고로 옮을 수 있는 질환과 전염 가능성
① B형 간염(HBV) - > 10%
② C형 간염(HCV) - 2~8%
③ 에이즈 (HIV) - 0.3%
(3) 주사바늘 찔림 사고 발생 시 조치
① 노출된 피부를 즉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씻음
② B형 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표 1)
③ C형 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
효과가 입증된 예방약제가 없다.
④ HIV 감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우
환자의 혈장 바이러스 역가와 노출 정도에 따라 항레트로바이러스제 2가지 혹은 3가지를 4주간 투여한다.
2) 의료진은 주사바늘 찔림 사고 이외에도 다양한 병원감염에 노출되며 결핵이나 인플루엔자가 그 예이다. 의료진이 적절한 격리지침을 지키면 결핵이나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에 걸리지 않겠지만 이러한 질병이 진단되기 전에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환자 진료실적 보고서 분석 후 병원 경영 방안 모색하기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병원외 감염
병원에서 발생하는 안전관리소홀로 인한 사고와 각종 의료사고 요약보고서
Urinary Tract Infection(UTI)- 요로감염증
[구조조정]구조조정과 시내버스구조조정, 대학구조조정, 병원구조조정, 지방자치단체구조조정...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사회문제가 되는 이유에 대한 고찰 (에이즈 조사)
의료사회사업 개선안_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의 의료사회사업팀의 현황, 특징, 문제점, 의료...
병원 감염
기초간호과학 2016 - 면역과민반응 의미, 4가지 과민반응별 발생기전 사례, 종양발생단계 원...
[감염환자] 감염환자의 증상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지도교수추천서 병원 지도교수추천서 간호사추천서 지도교수 간호사 병원추천서 신입간호사 ...
식품위생학4공통)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동서협진과 CASE] 뇌경색으로 장기 입원 중 폐렴이 발생한 환자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