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먼 지
가. 정의 및 성상
나. 주요 발생원
다. 독성 및 영향
라. 규제 법규 및 각종 기준
마. 오염현황
바. 방지대책
참고문헌
가. 정의 및 성상
나. 주요 발생원
다. 독성 및 영향
라. 규제 법규 및 각종 기준
마. 오염현황
바. 방지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외국
'98년 미국 LA의 년평균 농도는 40.5㎍/㎥, 24시간평균최대치는 78㎍/㎥이었고, 뉴욕시의 경우는 연평균 56.0㎍/㎥, 24시간평균최대치는 114㎍/㎥으로 보고되었다. '98년 영국 런던의 각 측정소별 24시간 평균치는 18∼24㎍/㎥의 수준을 보였다.
표 3.1.5 주요 국가별 먼지의 배출허용기준
한 국
미 국
독 일
호 주
적용기간 및 허용기준
'96∼'98 '99이후
발전시설·일반보일러
(액체연료)
- 배출가스량 >20만m3/h
60 ㎎/Sm3 40 ㎎/Sm3
(4) (4)
- 배출가스량 3만∼20만m3/h
100 ㎎/Sm3 50 ㎎/Sm3
(4) (4)
- 배출가스량 6천∼3만m3/h
150 ㎎/Sm3 100 ㎎/Sm3
(4) (4)
- 배출가스량 <6천m3/h
200 ㎎/Sm3 150 ㎎/Sm3
(4) (4)
73MW 발전시설
- 잔사유 : 43 ㎎/MJ
- 고체연료(갈탄제외)
: 43 ㎎/MJ
- 혼합연료 : 13 ㎎/MJ
액체연료 사용시설
- >100MW (3% O2)
; 50㎎/m3
- <100MW (3% O2)
기존 ; 50∼100 ㎎/m3
신규 ; 50 ㎎/m3
열병합발전시설
: 80 ㎎/Nm3
열공급시설
: 250 ㎎/Nm3
혼합시설
(12% CO2)
: 250 ㎎/Sm3
* ( )안은 표준 산소 농도임
바. 방지대책
(1) 비산먼지
공사장 출입차량의 세륜, 석탄 등과 같은 야적장에 주기적 물분사 및 비산방지망 설치, 도로의 주기적 청소, 비포장도로의 포장 등이 있다.
(2) 배출먼지
전기집진기, 여과집진기, 세정기, 중력식 집진기 등과 같은 방지시설을 배출되는 입자의 특성에 따라 설치, 운영한다.
(3) 미세먼지
PM10은 바람에 의해 비산된 토양 먼지 등 자연적인 입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입자들은 PM2.5보다 건강학적인 측면에서 덜 중요하므로 앞으로 입자상 오염물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PM2.5를 환경기준에 포함시켜 측정하고 감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1.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1995), Health effects of inhalable particles; Private implications for British Columbia - overview and conclusions
2. Dr. Luigi Parmeggiani, (1983).
3. Si Duk Lee, (1995), Particulate matter regulatory trend in US, Korea-America joint seminar on the source of visibility reduction and counter-measures in the metropolitan area. 21∼50
4. 최덕일 등, (1994), 수도권 지역의 시정장애 현상규명을 위한 조사연구 (Ⅰ) - 시정감소 원인물질 및 메카니즘 규명 - 200pp
(2) 외국
'98년 미국 LA의 년평균 농도는 40.5㎍/㎥, 24시간평균최대치는 78㎍/㎥이었고, 뉴욕시의 경우는 연평균 56.0㎍/㎥, 24시간평균최대치는 114㎍/㎥으로 보고되었다. '98년 영국 런던의 각 측정소별 24시간 평균치는 18∼24㎍/㎥의 수준을 보였다.
표 3.1.5 주요 국가별 먼지의 배출허용기준
한 국
미 국
독 일
호 주
적용기간 및 허용기준
'96∼'98 '99이후
발전시설·일반보일러
(액체연료)
- 배출가스량 >20만m3/h
60 ㎎/Sm3 40 ㎎/Sm3
(4) (4)
- 배출가스량 3만∼20만m3/h
100 ㎎/Sm3 50 ㎎/Sm3
(4) (4)
- 배출가스량 6천∼3만m3/h
150 ㎎/Sm3 100 ㎎/Sm3
(4) (4)
- 배출가스량 <6천m3/h
200 ㎎/Sm3 150 ㎎/Sm3
(4) (4)
73MW 발전시설
- 잔사유 : 43 ㎎/MJ
- 고체연료(갈탄제외)
: 43 ㎎/MJ
- 혼합연료 : 13 ㎎/MJ
액체연료 사용시설
- >100MW (3% O2)
; 50㎎/m3
- <100MW (3% O2)
기존 ; 50∼100 ㎎/m3
신규 ; 50 ㎎/m3
열병합발전시설
: 80 ㎎/Nm3
열공급시설
: 250 ㎎/Nm3
혼합시설
(12% CO2)
: 250 ㎎/Sm3
* ( )안은 표준 산소 농도임
바. 방지대책
(1) 비산먼지
공사장 출입차량의 세륜, 석탄 등과 같은 야적장에 주기적 물분사 및 비산방지망 설치, 도로의 주기적 청소, 비포장도로의 포장 등이 있다.
(2) 배출먼지
전기집진기, 여과집진기, 세정기, 중력식 집진기 등과 같은 방지시설을 배출되는 입자의 특성에 따라 설치, 운영한다.
(3) 미세먼지
PM10은 바람에 의해 비산된 토양 먼지 등 자연적인 입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입자들은 PM2.5보다 건강학적인 측면에서 덜 중요하므로 앞으로 입자상 오염물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PM2.5를 환경기준에 포함시켜 측정하고 감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1.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1995), Health effects of inhalable particles; Private implications for British Columbia - overview and conclusions
2. Dr. Luigi Parmeggiani, (1983).
3. Si Duk Lee, (1995), Particulate matter regulatory trend in US, Korea-America joint seminar on the source of visibility reduction and counter-measures in the metropolitan area. 21∼50
4. 최덕일 등, (1994), 수도권 지역의 시정장애 현상규명을 위한 조사연구 (Ⅰ) - 시정감소 원인물질 및 메카니즘 규명 - 200pp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 성매매 방지대책
도시의풍수재해방지대책
농경지 산성화 방지대책
현장 감전재해 방지대책
건축시설의 소음 방지대책에 관한 조사
[건축설비시공]층간소음방지대책
사막화 발생원인,피해현황,방지대책
[소음][소음 영향][소음환경영향평가][방음벽][독일 소음대책 사례][소음 방지대책]소음의 정...
콘크리트균열의 종류와 방지대책
[부패구조, 관료제, 조선후기, 동아시아]부패구조의 문화적 특성, 부패구조의 모형, 부패구조...
[생활법률] 원조교제 개념과 원조교제의 발생 원인과 방지대책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의의, 입법 배경, 내용, 성폭력 피해상담,...
부동산 거래사고 방지대책에 대한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