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
2. Hawthorne의 특징
3. 호손의 작품세계
(1) 도덕성 & 애매성
(2) 호손의 Psychological Romance
(3) 호손의 American Romance
4. 대표작 「주홍글자 (The Scarlet Letter)」
1) 줄거리
2) 주제
3) 인물
4) A의 상징
참고 문헌
2. Hawthorne의 특징
3. 호손의 작품세계
(1) 도덕성 & 애매성
(2) 호손의 Psychological Romance
(3) 호손의 American Romance
4. 대표작 「주홍글자 (The Scarlet Letter)」
1) 줄거리
2) 주제
3) 인물
4) A의 상징
참고 문헌
본문내용
범하고 가슴에 A를 달고 있는 것은 청교도 사회에서 당연시 여기지는 죄의 표시이며 대가이다. 반면 Hester에게 A는 정당한 죄에 대한 표시보다는 자신의 정열을 더럽게 하는 부당한 치욕의 표시이다. Hester의 연인 Dimmsdale에게는 자신의 죄에 대한 통열한 회상물로 A를 볼 때마다 괴로워 할 수밖에 없다. Chillingworth에게는 복수의 의지를 일으키는 자극제이며 순진한 Perl에게는 아름답고 신비한 호기심의 대상이다. A라는 하나의 글자 속에 들어있는 상징을 통해서 등장인물들의 마음의 상태가 역으로 모두 다르게 반영된다.
작품의 진행에 따라 A가 상징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난다. 작품의 진행과 함께 Hester의 정신과 환경이 변화하게 되면서 그에 따라 A의 상징도 변화한다. 처음의 A는 Hester의 정열의 죄인 Adultery의 A였으며 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죄, 즉 Adam의 원죄를 상징하기도 한다. 여기서의 A는 청교도 사회에서의 죄이며 이 죄는 사람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고립과 소외의 상징이 된다. Hester의 A가 청교도 사회의 외적인 고통이라면 Dimmsdale의 가슴에 새겨진 A는 내적인 심리적 고통의 상징이다. 그러나 Hester가 선행을 한 7년 후의 A는 죄가 아닌 Able을 의미한다. 이는 Hester가 자신의 죄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가능성(able)의 A이며 고통과 속죄를 통해 사회로 돌아올 수 있음을 의미하는 Admittance를 의미한다. 작품 후반부에서의 A는 Angle의 의미까지 발전하는데 이는 죄를 통해서 도덕적으로 성장하고 보다 높은 차원의 구원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An Outline of American Literature』 Peter B. High
『The Course Reader』 Prof. 황재광
『Hawthorne 문학연구 - 신화와 비극의 세계-』 이병주 저자, 한신문화사
『주홍글자』정문영 역주, 계명대학교 출판부
『영미단편의 이해』 김유조 편저, 형설
http://www.uwm.edu/Library/special/exhibits/clastext/clspg143.htm
http://blog.naver.com/anny0822/20007220715
http://blog.naver.com/refresh100/140012181656
http://www.bartleby.com/65/ha/HawthornN.html
작품의 진행에 따라 A가 상징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난다. 작품의 진행과 함께 Hester의 정신과 환경이 변화하게 되면서 그에 따라 A의 상징도 변화한다. 처음의 A는 Hester의 정열의 죄인 Adultery의 A였으며 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죄, 즉 Adam의 원죄를 상징하기도 한다. 여기서의 A는 청교도 사회에서의 죄이며 이 죄는 사람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고립과 소외의 상징이 된다. Hester의 A가 청교도 사회의 외적인 고통이라면 Dimmsdale의 가슴에 새겨진 A는 내적인 심리적 고통의 상징이다. 그러나 Hester가 선행을 한 7년 후의 A는 죄가 아닌 Able을 의미한다. 이는 Hester가 자신의 죄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가능성(able)의 A이며 고통과 속죄를 통해 사회로 돌아올 수 있음을 의미하는 Admittance를 의미한다. 작품 후반부에서의 A는 Angle의 의미까지 발전하는데 이는 죄를 통해서 도덕적으로 성장하고 보다 높은 차원의 구원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An Outline of American Literature』 Peter B. High
『The Course Reader』 Prof. 황재광
『Hawthorne 문학연구 - 신화와 비극의 세계-』 이병주 저자, 한신문화사
『주홍글자』정문영 역주, 계명대학교 출판부
『영미단편의 이해』 김유조 편저, 형설
http://www.uwm.edu/Library/special/exhibits/clastext/clspg143.htm
http://blog.naver.com/anny0822/20007220715
http://blog.naver.com/refresh100/140012181656
http://www.bartleby.com/65/ha/HawthornN.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