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의 역사 [분석/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권도의 역사 [분석/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태권도 역사의 의미
가. 태권도 역사의 일반적 의미
나. 태권도 역사의 현실적 의미

2. 태권도 역사의 성립 조건
가. 태권도사를 보는 관점 : 태권도 주체사관(跆拳道 主體史觀)의 확립
나. 역사적 사실(事實) 판단에 관한 문제
다. 태권도 개념의 범위 규정

3. 태권도 역사의 전개
가. 한반도에 존재했던 전통무예 수박, 권법, 택견
나. 태권도의 발달 과정을 요약한 그림
다. 태권도 역사의 시기 구분 : 3분법

4. 한국 맨손무예의 탐구
가. 수박(手搏) : 손으로 상대를 쳐서 넘겨뜨리는 맨손 격투무예
나. 조선시대의 맨손 군사무예 권법(拳法)
다. 마을의 민속경기 택견

5. 태권도의 기원과 정통성에 관한 고찰
가. 태권도의 기원과 정통성에 관한 논의의 불가피성
나. 태권도의 역사적 내력에 관한 의구심의 확산
다. 태권도에 대한 카라테의 영향설에 대한 네 가지 관점과 반응
라. 카라테의 한국화 과정의 의미 : 카라테에 의해 태동한 현대 태권도는 한민족 특유의민족무예로 탈바꿈하다.
마. 해방 전의 역사는 <전통무예 태권도사>, 해방 후의 역사는 <실제적 태권도사>
바. 맺는 글

본문내용

六篇)>에 그 이름이 최초로 등장한다. 한서예문지가 산실되어 그 내용을 알 길이 없다. 또한 중국 하남성 밀현 타호정 2호 무덤에는 수박과 유사한 그림이 출토되어 이 당시 수박과 씨름(角底)와 같은 무예 경기가 체계화되어 당시 중국의 한나라 (B.C 202∼A.D 220)와 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행해졌음을 잘 알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고구려의 맨손 무예 장면을 생동감있게 담은 무용총이나 각저총에 나오는 주인공이 벌거벗은 차림에 큰 매부리 코를 가진 형상을 하고 있음을 볼 때 당시 고구려와 활발한 대외 교섭을 했던 서역 (현재 중앙, 서남아시아 지역의 국가) 의 문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었으리라는 추정을 할 수 있다. 고구려 시대 당시 서역 제국은 비단길을 통해 한나라와 활발한 교류를 했고 군사 기술과 무예들도 중국의 한나라나 고구려에 직접 전래되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② 한국의 수박 : 수박은 무인들이 맨손으로 용력을 겨루는 격투기 형태로 고대 삼국시대부터 (A.D. 300)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초 세조 (1467년) 때까지 장장 1,200년 동안이나 전승되었다. 수박은 중국에서는 한의 멸망과 함께 일찌감히 자취를 감추었지만 오히려 한반도에서는 성행함으로써 한국의 전통무예로 정착하였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수박을 무술 훈련의 기본기로 삼았고 특히 조선조에서 군인을 선발하는 시험 과목이 되기까지 했다. 고려시대에는 한 시기의 권력을 장악했던 이의민(?∼1197), 두경승 등이 수박의 명인이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또한 역사상의 대사건인 무신의 난 (1170년 고려 의종 말년에 무신들에 의해 문신이 대학살됨. 이후 100년간 무신이 집권하는 계기가 됨) 은 5인이 편을 갈라 겨루는 (또는 다섯 개의 병부가 편을 갈라 대항하는 겨루기인) 오병수박희(五兵手搏戱)에서 그 직접적 원인이 되어 발발하였다.
③ 수박과 각저의 일본전래설 : 수박이 일본의 국기(國技)인 스모의 원형이라는 설이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 신빙성을 더해준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연구한 일본 학자 미야모토(宮本德藏)와 소오가와(와세다대 인류학과 교수)는 스모의 원형이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발견된다는 주장을 폈다 (조선일보 1993.6.22 21면). 뿐 만 아니라 다이쇼대학(大正大學) 교수인 사이토 다타시(齊 忠)는 일본의 전통스포츠인 야부사메(流鏑馬 : 이와 관련된 자료를 보면 북한의 덕흥리 고분벽화 (서기 409년 축조)에 나오는 기마사희도 騎馬射戱圖 를 보면 4명의 경기자와 2명의 심판, 1명의 기록 계원까지 나오는 말타고 활쏘는 경기 장면이 정밀하고 실감나게 묘사되어 있다. 이 당시 한반도에는 여러 무예 경기가 상당히 수준까지 체계화되었다는 사실을 잘 알려주고 있다.) 조차 고구려에서 전래된 것이라는 학설을 전개했다 (조선일보 1996. 5.19 29쪽). 고구려 씨름과 일본의 스모와의 깊은 연관성에 대해 한국인 작가 이영희는 그의 저서 노래하는 역사 (조선일보사. 1995. 124∼131쪽)에서 언어학적 근원을 밝혀 스모의 고구려 뿌리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3. 수박의 사료적 근거
제작시기
사 료 명
사료구분
작자 또는 출토지
내 용
특기 사항
고구려
(357년)
수박도(手搏圖)
또는 태권도(手搏圖)
무덤벽화
황해도 안악3호분
(일명 동수묘)
두 역사가 박진감있게 맨손으로 무예를 겨루는 그림
한국 무예에 관한
최초의 천연색 그림
고구려
(435년)

무덤벽화
삼실총 (세칸무덤)
중국 집안에 위치
한 무인(武人)이 팔을 올려서 무예 자세를 취하는 그림.
무인의 동작에 대한 해석에 큰 차이를 보인다.
고구려
(490년)

무덤벽화
무용총
중국 집안에 위치
두 역사가 무예를 겨루는 그림으로 현존 최고의 걸작으로 꼽힘.
겨루기 경기에서 심판이 등장하는 점이 흥미롭다.
고려시대
고려사(高麗史)
관찬
문헌기록
정인지 등
· 권 128 열전 41 이의민傳
· 권 129 열전 42 최충헌傳
· 권 126 열전 39 변안열傳
· 권 128 열전 41 정중부條
· 충혜왕

고려시대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관찬
문헌기록
정인지 등
“이의민이 수박을 잘하므로
의종이 사랑하였다.”
제 12권
조선시대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관찬
문헌기록
역대 사관 기록
· 태종대에 7건
· 세종대 3건
· 단종 1건
· 세조 4건
태종 10년(1410)서부터 세조 13년 (1467)에 이르기까지 총 15건이 나옴. 수박 겨루기를 시켜 왕이 관람도 하고 병사 선발 종목으로도 주요시되었다.

조선시대
동사강목
(東史綱目)
사찬
문헌기록
조선영조 1770년 안정복
“이의민이 경주사람으로 팔힘이 세어 수박을 잘하였는데···”
20권 20책중 제 9上, 명종3년 10월條
조선시대
용재총화
(齋叢話)
사찬
문헌기록
이조 1500년경
용재 성현의 수필집
“ 성균관 학생이던 어세공과 어세겸 형제는 수박치기로 이름을 날렸다.”
· 권6. 어씨 형제
4. 수박에 관한 참고 문헌 :
국역 고려사절요 고전국역총서. 민족문화문고. 1982. 178쪽
고구려 고분벽화 김기웅해설. 서문당. 1989
고구려 고분벽화 한국방송공사. 1994
고구려 문화 평양사회과학출판사. 1980
고려사 일연.
김광언의 민속지 김광언. 조선일보사. 1994.
조선상고사 신채호저. 이만열역. 주석 조선상고사. 1994. 단제기념사업회.
조선왕조실록 실록편찬사관. CD-ROM. 한글과 컴퓨터, 1996
조선전사 중세편. 고구려사 북한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중국무술사 송전융지(松田隆智). 서림문화사. 1979
집안 고구려고분벽화 조선일보사. 1993
한국벽화고분 김원룡. 일지사. 1983.
한국체육사 연구 나현성. 1985
나. 조선시대의 맨손 군사무예 권법(拳法)
1. 권법의 유래
문文을 숭상하고 무武를 천시했던 조선시대에는 무예가 크게 쇠퇴하는 운명을 맞고 말았다. 고려때 성행하여 조선 초까지 계승되던 수박은 무슨 연유인지 몰라도 발자취를 감추었다. 태평성대가 계속되자 조선은 활쏘기 [弓矢]만 유일한 무예적 소일거리로 장려하였을 뿐 심지어 칼과 창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4.25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