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르켐의 자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뒤르켐의 자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능이 강조됐지만 종교와 정부의 기능이 없다고 인간은 무조건 아노미에 빠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기득권의 권력을 유지하게 위해 종교와 정부는 기득권의 시녀를 자임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와 고려에 융성한 불교 또한 권력층의 기득권수호에 앞장서왔다는 사실로 비난을 받은 면도 일맥상통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책에서 욕구의 수준은 멀리 있고 그럼 무한한 욕구가 개인들에게 탐욕을 증대시키고 쾌락, 감각을 좇고 결국엔 자살을 선택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목표 없이 삶을 영위하는 자체가 더욱 자살을 촉진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너무 비판적으로 흐른 감이 있지만 오히려 사회의 시스템자체가 인간을 자살로 내몰고 있다는 생각은 지울 수가 없다.
책에선 경제적 아노미 외에도 배우자를 잃었거나 이혼으로 인한 가정적 아노미도 자살의 중요요인으로 꼽았다. 사실 갑자기 배우자를 잃은 개인들이 자살률이 높을 줄 알았는데 결과는 아니었다. 또한 이혼률이 용이한 나라에서의 기혼남자, 기혼여자의 비율과 이혼이 어려운 나라에서의 기혼남자, 기혼여자의 자살방지계수는 반대로 나타났다. 이혼이 많은 나라에선 기혼여자의 자살방지계수가 높았고 기혼남자의 자살방지계수는 낮았고 이혼이 적은 나라에선 오히려 기혼여자의 자살방지계수가 낮았다.
이혼이 규제되고 일부일처제가 엄격한 사회에선 여성들을 속박한다. 하지만 남성들은 관습상 빠져나갈 길이 많다. 뒤르켐은 결혼이 오히려 남성에게 유리하고 여성들에게는 불리한 것으로 봤다. 현대사회에서는 여권신장으로 인해 여성도 사회활동을 하고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여성은 맞벌이와 육아, 집안일등으로 인해 오히려 결혼이라는 울타리에 속박되고 있다.
이렇게 악순환이 이뤄지면 결국 여성은 결혼이라는 걸 포기하고 이미 가졌다 해도 이혼이라는 극단적인 결과가 이뤄질 것은 자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으로 해서 남성들은 결혼으로 안정을 얻었지만, 이혼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고 불안이 가중되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현대사회에 맞게 가정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뒤르켐은 지금보다 100년전에 활동하던 사람이다. 현실세계엔 워낙 변수가 많아 100년전의 상황에 따라 지어진 자살론이 나에게는 많이 닿지 않았던 감이 있었지만, 자살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나의 힘든 상황을 극복해보려는 의지가 생겼다. 현실에 답답해하고 아노미에 빠지는대신, 나를 돌아보고, 평온한 현실에 감사하며 꿈을 이루기 노력해 야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2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