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칸디아의 지식경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칸디아의 지식경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 1 장 지식경영 개념의 등장배경 1

제 2 장 지식의 개념 1

제 3 장 지식경영의 동향 2
제 1 절 지식경영의 개념 2
1. 지식경영의 발달 2
2. 지식경영의 필요성 2
3. 지식경영의 정의 3
제 2 절 지식경영의 활용 4
1. 지식경영의 응용분야 4
2. 지식경영의 효과 4
3. 지식경영의 방법론 5

제 4 장 지식경영의 모델 : 스칸디아 5
제 1 절 지적 자본을 중시하는 스칸디아 5
1. 지식경영의 스칸디아 회사 소개 5
2. 지식경영의 동기 6
제 2 절 스칸디아 지식경영의 전략 7
1. 지식경영의 전개과정 7
2. 스칸디아 네비게이터 모델의 정의 8
3. 지식공유 활동 9

제 5 장 결론 및 요약 10
제 1 절 결론 및 요약 10
제 2 절 연구 한계점 11

<도표차례>
<도표 1> 지식의 체계 1
<도표 2> 기업 내 지식의 존재 형태 3
<도표 3> 스칸디아 그룹운영 체계도 6
<도표 4> 스칸디아의 시장가치 체계 7
<도표 5> American Skandia 공개한 네비게이터 자료 8
<도표 6> 스칸디아의 지식경영 10

본문내용

통한 고객 연계 강화에서 스칸디아의 주요 고객사 담당 임원은 핵심회계프로그램(Key Account Program)의 주요 실천자이다. KAP는 파트너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고객사의 비즈니스와 자사의 비즈니스를 함께 발전시킨다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 임원들은 고객 은행이나 기업의 사무실을 자주 방문해 어떻게 고객사의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면서 자사의 수익에도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객사의 파트너와 토론, 이를 보고서로 만들어 최고경영자에 보고한다.
스칸디아는 또한 고객사에게 교육과 웹사이트를 활용한 지식제공과 고객자산관리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이렇게 고객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함으로써 대고객 신뢰도(Loyalty)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서비스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점을 찾는데 큰 도움을 얻고 있다. 스칸디아는 한편 정보시스템을 활용, 자사 보험상품을 팔고 있는 은행에 보험료 및 세금계산 프로그램이나 현금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했다.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은행은 자신의 고객에게 맞춤(Customized)상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스칸디아는 고객 은행과의 밀접한 관계구축과 자사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잠재고객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셈이다.
(4) 프로세스 혁신으로 스칸디아는 세계 금융보험업계에서 사내 정보시스템 투자가 가장 많은 회사중의 하나다. 아예 경영목표로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업무시간 단축과 서비스의 질 향상을 꼽고 있을 정도이다. 프로세스 혁신에 매달리는 이유는 조직내 인프라를 혁신함으로써 직원들이 행정업무나 서류처리 시간을 줄이고 더 많은 시간을 고객 에게 할애하는 것이 회사의 수익과 가치창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프로세스 혁신에 투자하는 것은 가시적인 성과와 비용의 절감을 가져왔다. 세계 각국에 신규지점을 많이 개설하고 있는 스칸디아로서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해 신속히 지점을 설립하는 것은 수익창출에 절대적인 요소이다.
스칸디아는 계약서 양식과 일반 관리를 표준화하고 회계처리 과정을 매뉴얼화함으로 해서신규지점 개설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었다. 예컨대 미국에 신규지점을 설치하는 시간은 4년이었는데 독일 지점은 2년, 오스트리아 지점은 6개월이었다. 이는 주요 활동국가들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하는데 필요한 공통적인 지식과 테크놀로지를 찾아냄으로써 가능한 일이었다.
스칸디아의 상품들은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월 납입액을 기록하는 절차는 다를 필요가 없다. 이에따라 스칸디아는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매뉴얼, 노하우를 모아 놓고 이를 원형으로 각 국가에서는 국가의 법이나 다양한 상품구성에 맞게 응용하도록 했다.
스칸디아는 고객리스크 관리에 대한 검토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해 계약기간을 단축하고 행정소요 시간을 줄여 운영비를 절감했다. 반면 고객접촉 및 문제해결을 위한 시간은 늘려나갔다. `리스크 필터(Risk Filter)'라 불리는 이 DB는 직원이나 딜러가 고객의 리스크에 대한 어떤 정보를 미리 검토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도표6> 스칸디아의 지식경영
출처 : “이것이 지식경영의 핵심이다” p.161
제 5 장 결론 및 요약
제 1 절 결론 및 요약
지식경영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다른 경영기법에 비해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과 같이 인원감축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자율경영 팀 제도와 같이 중간 관리자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기 때문에 지식경영에 반대하는 종업원도 적은 편이다.
지식경영에 대한 종업원의 수용률과 성공률이 높은 편이라도 종업원이 지식경영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지식경영의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특히, 기업이 그 동안 많은 경영기법을 도입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많으므로 지식경영의 초기에는 지식경영이 또 다른 경영기법의 도입으로 간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우리 나라의 기업에서는 과거 새로운 경영기법을 도입하기로 하고 연구하다가 중단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구현에서 실패하는 경우도 맣이 발생했다. 그러나 실제 외국의 많은 기업에서 성공한 지식경영을 또 하나의 유행이라고 간주하고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은 업무태만에 속할 것이다. 외국에서 비롯된 지식경영을 한국화하여 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단계적으로 처음에는 효과를 창출하기 쉬운 부문부터 착수해 바른 시간에 효과를 달성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이를 바탕으로 더 본격적인 지식경영의 방법론 중에서 필요한 방법론을 취사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외국에서 이미 성공한 지식경영의 방법론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제 2 절 연구 한계점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게 돼면서 지식경영에 대하여 적잖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서적과 인터넷자료 등을 통해서 많은 자료를 찾아 보았지만 전반적인 것은 알 수 있었으나 하나의 회사의 자료를 얻는것은 쉬운것이 아니었다. 또한 국외기업이다 보니 깊숙한 정보를 얻기가 쉬운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여러권의 책을 참고하고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해 보았다. 이번 계기로 낯설었던 지식경영이라는 단어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어서 친숙해 진것 같다.
<참고문헌>
1. 국내 문헌
박영철, “지식경영 119”, 서울경영컨설팅그룹, 2003
박영철, “지식경영 114”, 서울경영컨설팅그룹, 2002
이순철, “사례로본 지식경영의 이해”, 삼성경제연구소, 1999.
갈정웅, “이것이 지식경영의 핵심이다”, 창해, 1999.
오해진, “기업문화를 바꿔야 지식경영이 산다”, 21세기북스, 1999.
2. 회외 문헌
곤노 노보루, “뉴밀레니엄 지식경영”, 매일경제신문사, 2000.
말호트라, “e - 지식경영”,물푸레, 2001.
구로세 구니오, “후지쯔의 지식경영”, 1998.
3. 인터넷 문헌
http://kr.blog.yahoo.com/tmispark/1453495.html
http://kr.blog.yahoo.com/last_quest02/808.html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ques_view.html?dnum=DAC&qnum=507424&kscookie=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4.2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