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동요
◎ 혜성가
◎ 풍요
◎ 원왕생가
◎ 모죽지랑가
◎ 헌화가
◎ 원가
◎ 도솔가
◎ 제망매가
◎ 찬기파랑가]
◎ 안민가
◎ 천수대비가
◎ 혜성가
◎ 풍요
◎ 원왕생가
◎ 모죽지랑가
◎ 헌화가
◎ 원가
◎ 도솔가
◎ 제망매가
◎ 찬기파랑가]
◎ 안민가
◎ 천수대비가
본문내용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기이복백옥시치내호다) 祈求의 말씀 두노라.
千隱手 叱千隱目 (천은수 질천은목힐) 千개의 손엣 千개의 눈을
一等下叱放一等 除惡支 (일등하질방일등힐 제약복) 하나를 놓아 하나를 덜어,
二于萬隱吾羅 (이은만은오라) 두 눈 감은 나니
一等沙隱謝以古只內乎叱等賜 (일등사은사이고지내호질등사)
하나를 숨겨 주소서 하고 매달리누나.
阿邪也 吾良遣知支賜尸等焉 (아사야 오량견지사시등언) 아아, 나라고 알아 주실 진댄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방동의용옥시자비야근고) 어디에 쓸 慈悲라고 큰고.
-작가는 희명이라는 부녀자이며, ((삼국유사))권3권에 실린 10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기도의 노래이다.
◎ 우적가 - 신라 제38대 원성왕(785~798) -
自矣心米 (자의심미)
貌史毛達只將來呑隱日 (예사모달지래탄은일)
遠逸□□過出知遣 (원도일□□과출지견)
今呑藪未去遣省如 (금탄수미거유성여)
但非乎隱焉破□主 (단비호은언파□주)
次弗□□史內於都還於尸朗也 (차불□□사내어도환어시랑야)
此兵物叱沙過乎 (차병물질사과호)
乎尸曰沙也內好呑尼 (호시왈사야내호탄니)
阿耶 唯只伊吾音之叱恨隱善陵隱 (아야 유지이오음지질환은선릉은)
安支尙宅都乎隱以多 (안지상택도호은이다)
제 마음의
모습이 볼 수 없는 것인데,
일원조일(해는 서산에 멀어지고 새도 제 깃에 숨다) 달이 달아 난 것을 알고
지금은 수풀을 가고 있습니다.
다만 잘못된 것은 강호님(세력이 강하여 대적하기 힘든 사람),
머물 게 하신들 놀라겠습니까.
병기를 마다 하고
즐길 법(불법, 곧 부처의 가르침)으랑 듣고 있는데,
아아, 조만한 선업(善業)은
아직 턱도 없습니다.
-작가는 승려인 영재이며. ((삼국유사))권5권에 실린 10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설도의 노래이다.
◎ 처용가 -신라 제49대 헌강왕5(879) -
東京明期月良 (동경명기월양) 서울 밝은 달밤에
夜入伊遊行如可 (야입이유행여가) 밤 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入良沙寢矣見昆 (입양사침의견곤) 들어와 자리를 보니
脚嗚伊四是羅 (각오이사시양라) 다리가 넷이로구나
二兮隱吾下]於叱古 (이혜은오하어질고) 둘은 내 것이지만
二兮隱誰支下焉古 (이혜은수지하언고) 둘은 누구의 것인고?
本矣吾下是如爲理古 (본의오하시여마어은) 본디 내 것(아내)이다만
奪叱良乙何如爲理古 (탈질양을하여위리고)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작가는 화랑인 처용랑이며, ((삼국유사))권2권에 실린 8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축사의 노래이다.
千隱手 叱千隱目 (천은수 질천은목힐) 千개의 손엣 千개의 눈을
一等下叱放一等 除惡支 (일등하질방일등힐 제약복) 하나를 놓아 하나를 덜어,
二于萬隱吾羅 (이은만은오라) 두 눈 감은 나니
一等沙隱謝以古只內乎叱等賜 (일등사은사이고지내호질등사)
하나를 숨겨 주소서 하고 매달리누나.
阿邪也 吾良遣知支賜尸等焉 (아사야 오량견지사시등언) 아아, 나라고 알아 주실 진댄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방동의용옥시자비야근고) 어디에 쓸 慈悲라고 큰고.
-작가는 희명이라는 부녀자이며, ((삼국유사))권3권에 실린 10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기도의 노래이다.
◎ 우적가 - 신라 제38대 원성왕(785~798) -
自矣心米 (자의심미)
貌史毛達只將來呑隱日 (예사모달지래탄은일)
遠逸□□過出知遣 (원도일□□과출지견)
今呑藪未去遣省如 (금탄수미거유성여)
但非乎隱焉破□主 (단비호은언파□주)
次弗□□史內於都還於尸朗也 (차불□□사내어도환어시랑야)
此兵物叱沙過乎 (차병물질사과호)
乎尸曰沙也內好呑尼 (호시왈사야내호탄니)
阿耶 唯只伊吾音之叱恨隱善陵隱 (아야 유지이오음지질환은선릉은)
安支尙宅都乎隱以多 (안지상택도호은이다)
제 마음의
모습이 볼 수 없는 것인데,
일원조일(해는 서산에 멀어지고 새도 제 깃에 숨다) 달이 달아 난 것을 알고
지금은 수풀을 가고 있습니다.
다만 잘못된 것은 강호님(세력이 강하여 대적하기 힘든 사람),
머물 게 하신들 놀라겠습니까.
병기를 마다 하고
즐길 법(불법, 곧 부처의 가르침)으랑 듣고 있는데,
아아, 조만한 선업(善業)은
아직 턱도 없습니다.
-작가는 승려인 영재이며. ((삼국유사))권5권에 실린 10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설도의 노래이다.
◎ 처용가 -신라 제49대 헌강왕5(879) -
東京明期月良 (동경명기월양) 서울 밝은 달밤에
夜入伊遊行如可 (야입이유행여가) 밤 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入良沙寢矣見昆 (입양사침의견곤) 들어와 자리를 보니
脚嗚伊四是羅 (각오이사시양라) 다리가 넷이로구나
二兮隱吾下]於叱古 (이혜은오하어질고) 둘은 내 것이지만
二兮隱誰支下焉古 (이혜은수지하언고) 둘은 누구의 것인고?
本矣吾下是如爲理古 (본의오하시여마어은) 본디 내 것(아내)이다만
奪叱良乙何如爲理古 (탈질양을하여위리고)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작가는 화랑인 처용랑이며, ((삼국유사))권2권에 실린 8구체 향가이다.
-종별은 축사의 노래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