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황진이는 누구인가?
2. 작품세계
3. 황진이 시조의 문학적 가치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2. 작품세계
3. 황진이 시조의 문학적 가치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상함을 느꼈는지도 모를 일이다. 풍부한 감성과 호연지기를 느낄 수 있으며 황진이 시조의 우수성을 맛볼 수 있다.
靑山裡 碧溪水ㅣ야 수이 감을 쟈랑마라
一到滄海 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滿空山하니 수여간들 엇더리 - <황진이-진본청구영언 286>
- 황진이가 종친 벽계수를 유혹하기 위해 만든 시조로 알려져 있다. “청산”은 변함 없는 자연을 가리키고 “벽계수”는 쉬지 않고 변해 가는 인생을 비유한 것이다. 따라서 영원한 자연에 비해 유한한 인간존재를 암시하여 한번 죽으면 그만인 인생인데 살아있는 동안 즐김이 좋지 않겠냐는 뜻이다. 또한 벽계수는 인간 벽계수에, 명월은 자신의 기명인 명월을 빗대고 있어 중의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인생무상을 자연의 이치에 교묘하게 표현한 文才가 대단하다.
산은
靑山裡 碧溪水ㅣ야 수이 감을 쟈랑마라
一到滄海 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滿空山하니 수여간들 엇더리 - <황진이-진본청구영언 286>
- 황진이가 종친 벽계수를 유혹하기 위해 만든 시조로 알려져 있다. “청산”은 변함 없는 자연을 가리키고 “벽계수”는 쉬지 않고 변해 가는 인생을 비유한 것이다. 따라서 영원한 자연에 비해 유한한 인간존재를 암시하여 한번 죽으면 그만인 인생인데 살아있는 동안 즐김이 좋지 않겠냐는 뜻이다. 또한 벽계수는 인간 벽계수에, 명월은 자신의 기명인 명월을 빗대고 있어 중의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인생무상을 자연의 이치에 교묘하게 표현한 文才가 대단하다.
산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