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정신분석 상담론
정신분석 치료
정신분석 치료
본문내용
중년기:생산대 침체
중년기에서의 계속된 성장에 대한 자극은 생상대 침체의 위기를 본다. 그는 직업, 가족, 휴가 활동 등을 통한 창의감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생산성을 생각했다. 생산적 성인의 중요 특징은 사랑을 잘하고 일을 잘하고, 노는 것을 잘하는 능력이다. 성인이 생간감을 성취하지 못하면 침체되고 심리적으로 죽기 시작한다.
노년기: 통합대 절망
후회가 별로 없다고 느낌을 가지는 사람들은 자아 통합감을 성취한 것이다. 그들은 생산적이고 가치로운 삶을 살았고, 자신의 성공 뿐만 아니라 실패에도 잘 대처했다. 그들은 자신이 할 수도 있었던 것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신이 한 것으로부터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아 통합을 성취하지 못하면 낙심, 절망, 죄책감, 분노, 자기 혐오의 감정을 느낀고, 생애를 헛되이 낭비했다는 생각은 절망감을 느끼기도 한다.
7. 상담에서의 시사점
심리 성적 관점과 심리 사회저 관점을 합쳐서 상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달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틀로 이용할 수 있다. 상담자들의 이론적 선호와는 관계없이 다음고 같은 질문들은 치료 과정의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생애의 각 단계의 중요 발달적 과제는 무엇이며 이들 과제는 상담과 어떻게 관령되는가?
개인 생애에서의 연속적 주제는 무엇인가?
생애의 다양한 시점에서의 사람들의 보편적 관심사는 무엇인가? 사람들이 각 시점에서 활기찬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개인의 현재 문제와 어린 시절의 중요 사상간에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개인의 생애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친 요소는 무엇인가?
결정적 시기에 내린 선택은 무엇이며 그 사람음 다양한 위기를 어떻게 처리했는가?
발달적 관점을 가지고 상담을 하는 상담자는 생애의 연속성을 볼 수 있고 내담자가 취하고 있는 방향을 볼 수 있다. 이 관점은 넓은 시야로 개인의 투쟁을 볼 수 있게 하며 내담자들은 생애의 다양한 단계들에 의미있는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사례연구
(1)나타난 문제
9세 된 광윤이는 자기가 해야 할 일마다 누군가 밀어 부쳐야 간신히 움직이는 느리고 반항적이며 불안정한 남아였다. 광균이는 가족끼리 하는 일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고 친구가 없었다. 학적부에는 퇴행, 나이 어린 아동과 놀기, 손가락 빨기, 백일몽, 흙 장난, 다른 아이 괴롭히기, 게으름 등의 문제가 기록되고 있다. 첫 번 상당은 광균이 놀 이방에 들어감으로 시작된다.
(2)상담과정
아동: 저, 오늘은 무얼 할거죠?
상담자: 우엇이지 네가 하고 싶은대로 하렴. 지금은 너의 시간이야.
아동: 이야기해요.
상담자: 좋아.
아동: 역사 이야기를 해요. 학교에서 역사에 대해서 배우고 있어요. 다음 주에는 미국에 관해 공부할 거예요. 저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 할 이야기가 없어요. 선생님은요?
상담자: 나는 네가 말한 것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 싶구나.
아동: 저는 아무 것도 생각해 낼 수 없어요. 선생님은요?
상담자: 네가 좋다면 그대로 앉아 있어도 돼.
아동: 좋아요. 책을 읽으시겠어요.
상담자: 그러자.
아동: 선생님은 학생이고, 그리고 저는 선생님이 되는 거예요. 선생님께 책을 읽어 드리죠. 묻는 것에 대답할 준비가 되었나요.? 나는 글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나는 사회 과목이 좋아요. 나는 다른 과목보다. 역사 과목을 좋아해요, 나는 잠시 동안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광균이는 상담자에게 책의 내용에 관해서 질문을 하였다.)
상담자: 너는 내가 틀린 대답을 할 것 같은 질문을 하고 싶구나.
아동: 네, 맞아요. 다음주에 시험을 보겠어요. 산수 문제, 사회 문제, 그리고 그 밖의 문제들을 몽땅 시험에 내겠어요. 자, 이제 나의 친구들이 읽는것처럼 읽겠어요. 아이들이 어떻기 읽었는지 아시겠어요?
상담자: 너도 그렇게 읽을 수 있기을 원하는구나.
아동: 조금은요. 이 책에 나오는 배의 이름을 들어보세요.(광균이는 여러 형태의 배의 이름을 부른다. 이렇게 해보는 것이 재미있어요 다음 주는 이것을 할 거예요(광균이는 다시 읽시 시작한다.)제가 틀리면 그만두라고 하세요.
상담자:네 스스로 멈추어 보렴.
아동:선생님들은 항상 저에게 그만 멈추라고 하셔요.
상담자: 나는 들어주는 사람이지 선생님이 아니란다.
아동: 선생님이 되어 보세요. 아셨죠?(관균이는 다시 읽기 시작한다.)그것을 보니 우리 집에 있는 개 3마리가 생각나네요. 그 다트 화살 던지기 판을 사는데 3000원이 들었어요. 두 가는 부서졌어요(상담 시간이 끝나가려고 한다. 상담자는 다트를 조사한다.) 어머!다트군요. 다음 주에 이것을 갖고 놀 수 있어요?
상담자: 다음 주에 많은 계획을 세워서 오렴.
아동:네.
그 후 광균이와 몇회의 상담이 계속되었다. 광균이는 학교과 가정에서 행동이 향상되었다. 엄마와 교사가 광균이가 좋아졌다고 하였다.
(3)평가
상담자는 광균이가 하는 게임, 일, 계획에 함께 참여하면서 광균이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 주었다. 아무도 광균이를 이해하거나 받아주지 않을 때 이곳은 광균이와 이야기를 하고 생각과 관심을 나누고 의논할 사람이있었다. 관균이는 자기를 이끌어 주고 계획하거나 의사 결정할 때 도와줄 사람이 필요하였다. 광균이는 제안자, 연출가, 교사의 역할을 하였다. 광군이는 해야할 것을 지시받고 다른 사람의 기대에 맞추어야 하는 것이 어떠한지를 알아주는 누군가가 필요했다. 간단히 말해서, 광균이는 치료 경헌을 통하여 인간 관계와 기술을 향상시켰다. 그는 자기에게 만족감과 자신감을 주는 행도을 연습함으로써 자립적이고 유능한 인간이 되었다.
참고자료
김형태(1997). 상담이론 알아보기.대전:한남대학교 출판부
*이장호(1995). 상담심리학.서울:박영사
*이형득 외(1992).상담의 이론적 접근.서울:형설출판사
*지경자 역.(1994). 프로이드 심리학입문.Calvin S. Hall 저.서울:홍신 문화사
*김충기,김현옥 공역.(1993). 상담과 심리 치료의 원리와 실제.Gerald corey 저.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서울:성원사
중년기에서의 계속된 성장에 대한 자극은 생상대 침체의 위기를 본다. 그는 직업, 가족, 휴가 활동 등을 통한 창의감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생산성을 생각했다. 생산적 성인의 중요 특징은 사랑을 잘하고 일을 잘하고, 노는 것을 잘하는 능력이다. 성인이 생간감을 성취하지 못하면 침체되고 심리적으로 죽기 시작한다.
노년기: 통합대 절망
후회가 별로 없다고 느낌을 가지는 사람들은 자아 통합감을 성취한 것이다. 그들은 생산적이고 가치로운 삶을 살았고, 자신의 성공 뿐만 아니라 실패에도 잘 대처했다. 그들은 자신이 할 수도 있었던 것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신이 한 것으로부터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아 통합을 성취하지 못하면 낙심, 절망, 죄책감, 분노, 자기 혐오의 감정을 느낀고, 생애를 헛되이 낭비했다는 생각은 절망감을 느끼기도 한다.
7. 상담에서의 시사점
심리 성적 관점과 심리 사회저 관점을 합쳐서 상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달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틀로 이용할 수 있다. 상담자들의 이론적 선호와는 관계없이 다음고 같은 질문들은 치료 과정의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생애의 각 단계의 중요 발달적 과제는 무엇이며 이들 과제는 상담과 어떻게 관령되는가?
개인 생애에서의 연속적 주제는 무엇인가?
생애의 다양한 시점에서의 사람들의 보편적 관심사는 무엇인가? 사람들이 각 시점에서 활기찬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개인의 현재 문제와 어린 시절의 중요 사상간에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개인의 생애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친 요소는 무엇인가?
결정적 시기에 내린 선택은 무엇이며 그 사람음 다양한 위기를 어떻게 처리했는가?
발달적 관점을 가지고 상담을 하는 상담자는 생애의 연속성을 볼 수 있고 내담자가 취하고 있는 방향을 볼 수 있다. 이 관점은 넓은 시야로 개인의 투쟁을 볼 수 있게 하며 내담자들은 생애의 다양한 단계들에 의미있는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사례연구
(1)나타난 문제
9세 된 광윤이는 자기가 해야 할 일마다 누군가 밀어 부쳐야 간신히 움직이는 느리고 반항적이며 불안정한 남아였다. 광균이는 가족끼리 하는 일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고 친구가 없었다. 학적부에는 퇴행, 나이 어린 아동과 놀기, 손가락 빨기, 백일몽, 흙 장난, 다른 아이 괴롭히기, 게으름 등의 문제가 기록되고 있다. 첫 번 상당은 광균이 놀 이방에 들어감으로 시작된다.
(2)상담과정
아동: 저, 오늘은 무얼 할거죠?
상담자: 우엇이지 네가 하고 싶은대로 하렴. 지금은 너의 시간이야.
아동: 이야기해요.
상담자: 좋아.
아동: 역사 이야기를 해요. 학교에서 역사에 대해서 배우고 있어요. 다음 주에는 미국에 관해 공부할 거예요. 저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 할 이야기가 없어요. 선생님은요?
상담자: 나는 네가 말한 것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 싶구나.
아동: 저는 아무 것도 생각해 낼 수 없어요. 선생님은요?
상담자: 네가 좋다면 그대로 앉아 있어도 돼.
아동: 좋아요. 책을 읽으시겠어요.
상담자: 그러자.
아동: 선생님은 학생이고, 그리고 저는 선생님이 되는 거예요. 선생님께 책을 읽어 드리죠. 묻는 것에 대답할 준비가 되었나요.? 나는 글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나는 사회 과목이 좋아요. 나는 다른 과목보다. 역사 과목을 좋아해요, 나는 잠시 동안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광균이는 상담자에게 책의 내용에 관해서 질문을 하였다.)
상담자: 너는 내가 틀린 대답을 할 것 같은 질문을 하고 싶구나.
아동: 네, 맞아요. 다음주에 시험을 보겠어요. 산수 문제, 사회 문제, 그리고 그 밖의 문제들을 몽땅 시험에 내겠어요. 자, 이제 나의 친구들이 읽는것처럼 읽겠어요. 아이들이 어떻기 읽었는지 아시겠어요?
상담자: 너도 그렇게 읽을 수 있기을 원하는구나.
아동: 조금은요. 이 책에 나오는 배의 이름을 들어보세요.(광균이는 여러 형태의 배의 이름을 부른다. 이렇게 해보는 것이 재미있어요 다음 주는 이것을 할 거예요(광균이는 다시 읽시 시작한다.)제가 틀리면 그만두라고 하세요.
상담자:네 스스로 멈추어 보렴.
아동:선생님들은 항상 저에게 그만 멈추라고 하셔요.
상담자: 나는 들어주는 사람이지 선생님이 아니란다.
아동: 선생님이 되어 보세요. 아셨죠?(관균이는 다시 읽기 시작한다.)그것을 보니 우리 집에 있는 개 3마리가 생각나네요. 그 다트 화살 던지기 판을 사는데 3000원이 들었어요. 두 가는 부서졌어요(상담 시간이 끝나가려고 한다. 상담자는 다트를 조사한다.) 어머!다트군요. 다음 주에 이것을 갖고 놀 수 있어요?
상담자: 다음 주에 많은 계획을 세워서 오렴.
아동:네.
그 후 광균이와 몇회의 상담이 계속되었다. 광균이는 학교과 가정에서 행동이 향상되었다. 엄마와 교사가 광균이가 좋아졌다고 하였다.
(3)평가
상담자는 광균이가 하는 게임, 일, 계획에 함께 참여하면서 광균이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 주었다. 아무도 광균이를 이해하거나 받아주지 않을 때 이곳은 광균이와 이야기를 하고 생각과 관심을 나누고 의논할 사람이있었다. 관균이는 자기를 이끌어 주고 계획하거나 의사 결정할 때 도와줄 사람이 필요하였다. 광균이는 제안자, 연출가, 교사의 역할을 하였다. 광군이는 해야할 것을 지시받고 다른 사람의 기대에 맞추어야 하는 것이 어떠한지를 알아주는 누군가가 필요했다. 간단히 말해서, 광균이는 치료 경헌을 통하여 인간 관계와 기술을 향상시켰다. 그는 자기에게 만족감과 자신감을 주는 행도을 연습함으로써 자립적이고 유능한 인간이 되었다.
참고자료
김형태(1997). 상담이론 알아보기.대전:한남대학교 출판부
*이장호(1995). 상담심리학.서울:박영사
*이형득 외(1992).상담의 이론적 접근.서울:형설출판사
*지경자 역.(1994). 프로이드 심리학입문.Calvin S. Hall 저.서울:홍신 문화사
*김충기,김현옥 공역.(1993). 상담과 심리 치료의 원리와 실제.Gerald corey 저.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서울:성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