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 않을 것이다. 이 글을 끝까지 읽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인내심을 요구했지만, 책이 재밌지는 않았지만 책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나에게는 책의 내용이 재밌으려하기엔 너무 어렵다. 항상 읽고 나서 나의 지적 부족함을 느낀다. 지금까지 이 글을 읽은 후, 나름대로 플라톤의 사상에 대한 나의 생각들을 써보았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상은 현재의 상황에서 고찰해 볼 때, 플라톤과 소크라테스가 살던 시대적상황이 지금과는 많이 달라서인지 현실보다는 지나치게 이상을 강조했다는 생각이 든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사상 중에 현대사회와 맞지 않는 것들을 발견하고 시대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해 나아간다면, 더 나은 철학사상을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며 우리의 사회도 보다 윤택해 질 것이다.
추천자료
플라톤의 [국가], 베르크손의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 감상
기독교와 플라톤의 관계
플라톤 <국가> 요약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교육철학-현대적함의
폴리테이아의 교육철학: 플라톤
서양철학이 현대에 미친 영향 -플라톤-
[사회학] 사회형성 이론의 연원- 극단적인 자유주의와 플라톤 정의의 맹점
칼포퍼의 플라톤 비판
플라톤 국가 요약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소피스트, 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피스트,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플라톤의 정치교육) 인간 본성과 정치교육 및 본성에 따른 정치교육 방법
플라톤 정치교육의 사회과학적 함의) 본성과 교육의 동일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