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일어난다. 직장 고정기구에는 천골 ·항문거근 ·괄약근 ·골반내장근막 ·복막 등 여러 인자가 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부적 여러 인자 외에도 만성 변비 ·장카타르 ·치핵, 그 밖의 항문 부근의 질환이 동기가 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항문부의 점막만이 배변시에 탈출하여 손으로 쉽게 밀어넣을 수가 있지만, 심하면 15cm 정도 나오는 경우도 있어 손으로 밀어넣기도 어려워지며, 표면도 짓무르게 된다. 치료는 수술에 의하지만 심한 것은 꽤 까다로우며, 그 방법도 원인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즉, 항문축소법 ·골반저성형술 ·직장고정법 ·절제술, 또는 교감신경에 수술을 가하기도 한다.
Rectovaginal fistula: 직장질 누공 질과 직장 사이의 개방이나 비정상적인 통로
Rubin`s test: 루빈검사. 나관의 개방성을 평가함으로써 불임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검사.
Salpingectomy: 난관절제술. 난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을 제거하고 농양을 절제하기 위해 시행되며, 양쪽 난관의 제거는 불임수술 또는 나관임신일때 시행된다. 수술은 종종 자궁절제술이나 난소적출술과 함께 시행된다. 척추마취나 전신마취를 한다. 수술 후에 환자는 대퇴나 무릎을 심하게 구부리지 않아야 한다. 지속적인 하부 요통이나 혈뇨 또는 핍뇨가 있으면 수술 도중 요관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Salpingitis: 난관염 난관에 발생하는 염증. 난관은 자궁의 위쪽 끝에서 난소 쪽으로 뻗어 있는 길이 8~10cm, 굵기 약 5mm의 가느다란 관인데, 난소에 가까운 쪽은 나팔 모양으로 복강을 향하여 열려 있어 나팔관이라고도 한다. 난관 ·난소 ·자궁 등의 내성기는 외부와 통하므로 세균에 감염되기 쉽다. 감염세균은 포도상구균 등의 그람양성균, 대장균 등의 그람음성 간균등이다. 난소 표면에 염증이 파급되면 난소염을 일으키는 일이 많다. 난관염과 난소염은 임상적으로 구별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합쳐 자궁부속기염이라고 한다. 증상은 감염 세균과 환자의 저항력에 따라 다르며, 급성 ·만성 ·잠복성 등 경과가 다양하다. 급성은 하부복통 ·요통이 심하며 발열 ·구토 등도 나타나고, 만성은 주로 난관유착에 의한 하복부둔통과 성교동통 등이 나타난다. 근년에는 임균 ·결핵균에 의한 감염은 옛날에 비해 적어졌으나,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에 의한 감염이 최근 주목되고 있다. 치료는 급성일 때는 절대안정이 필요하며 항생제를 복용한다. 염증성 종류·난관유착일 때는 불임증 ·자궁외임신이 되기 쉬우므로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 수술한다.
Sarcoma: 육종. 섬유조직, 지방조직, 근육조직, 활막조직, 혈관조직, 신경조직에서 발생하는 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보통 처음에는 무통성 종창으로 나타난다.
Schiller`s iodine test: 쉴러검사 희석한 디프테리아 독소를 혈관 내에 주사하여 디프테이라에 대한 면역성을 측정하는 피부반응검사, 감수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양성 반응은 주사 부위에 발적, 부종이 나타난다. 면역성을 나타내는 음성 반응은 발적이나 부종이 없다.
Speculum: 스페큘럼 연마 금속 또는 금속 필름을 사용한 유리로 만든 광학 기계용 반사경.
Stein leventhal cyst
Syphilis: 매독 나선충인 매독트레포네마(Treponema pallidum )라는 병원체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만성전염병. 매독은 대표적인 성전파질환의 하나로서 주로 매독 환자와의 성교 또는 입맞춤 등으로 감염되거나 간혹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옛날에는 서인도제도의 지방병이었는데, 콜럼버스의 원정대에 의해 1493년 유럽으로 들어왔으며, 차차 동양에까지 번졌다고 한다. 감염된 후 경과함에 따라 증세가 달라지는데, 제1기·제2기·제3기 및 변성 매독 등으로 구분되며, 태아가 자궁 내에서 감염된 것은 선천성 매독이라고 한다.
Teratoma: 기형종 다양한 조직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어떤 조직도이의 발생 영역 본래의 것은 아니다. 난소 또는 고환에 발생하는 것이 가장 많다.
Trendelenburg position: 트렌델렌부르그 체위 두부를 낮추고 몸체와 다리는 45˚정도로 경사지게 올린 체위. 이 체위는 가끔 복부 장기가 위호 향하도록 하거나, 저혈압이나 쇼크 상태에서 두부 쪽에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Trichomonas: 트리코모나스 편모충강 세모편모충과의 원생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5~40μm이고 서양배와 같이 길고 둥근 모양이며, 앞쪽에 3~5개의 편모가 있고 뒤쪽에 파동 막을 지닌 편모가 하나 있다. 대부분의 동물 및 사람의 입 안, 창자, 질 따위의 점막에 기생한다. 구강편모충, 질편모충 따위가 있다.
Vaginitis: 질염 질점막의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 병원균으로는 임질균·연쇄구균·포도상구균·대장균·칸디다·트리코모나스 등을 들 수 있으며, 결핵·매독·디프테리아·장티푸스·홍역 등 전염병의 한 부분증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일반적인 증세로는 대하가 많아지고, 더욱이 백색·황백색의 혼탁상이 되며, 때로 농성·혈성이 될 때도 있고, 대개는 악취가 난다.외음부가 늘 축축하고, 소양감(과 작열감이 있으며, 냉으로 인하여 짓무르게 되면 배뇨 때 통증이 있다. 항생물질의 질정을 삽입함으로써 치유되는 경우도 있으나, 조기에 완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의사의 진단에 의한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으로는 국부를 깨끗이 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Veneral disease(VD) 성전파 질환 일반적으로 생식기 접촉이나 성교에 의해서 얻는 전염성 지환. 이 질환은 대부분 전염성이 있고, 치료 및 진단 방법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빈도는 최근 몇 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역사적으로 5대 성병은 임질, 매독, 연성하감, 서혜부육아종, 림파육아종이다. 이러한 성병들에 옴, 음부포진, 항문호진, 사마귀, 이기생증, 트리코모나스증, 생식기 칸디다증, 전염성 연종 비특이성 요도염, 클라미디아 감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추가된다.
Wertheim`s operation:
Rectovaginal fistula: 직장질 누공 질과 직장 사이의 개방이나 비정상적인 통로
Rubin`s test: 루빈검사. 나관의 개방성을 평가함으로써 불임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검사.
Salpingectomy: 난관절제술. 난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을 제거하고 농양을 절제하기 위해 시행되며, 양쪽 난관의 제거는 불임수술 또는 나관임신일때 시행된다. 수술은 종종 자궁절제술이나 난소적출술과 함께 시행된다. 척추마취나 전신마취를 한다. 수술 후에 환자는 대퇴나 무릎을 심하게 구부리지 않아야 한다. 지속적인 하부 요통이나 혈뇨 또는 핍뇨가 있으면 수술 도중 요관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Salpingitis: 난관염 난관에 발생하는 염증. 난관은 자궁의 위쪽 끝에서 난소 쪽으로 뻗어 있는 길이 8~10cm, 굵기 약 5mm의 가느다란 관인데, 난소에 가까운 쪽은 나팔 모양으로 복강을 향하여 열려 있어 나팔관이라고도 한다. 난관 ·난소 ·자궁 등의 내성기는 외부와 통하므로 세균에 감염되기 쉽다. 감염세균은 포도상구균 등의 그람양성균, 대장균 등의 그람음성 간균등이다. 난소 표면에 염증이 파급되면 난소염을 일으키는 일이 많다. 난관염과 난소염은 임상적으로 구별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합쳐 자궁부속기염이라고 한다. 증상은 감염 세균과 환자의 저항력에 따라 다르며, 급성 ·만성 ·잠복성 등 경과가 다양하다. 급성은 하부복통 ·요통이 심하며 발열 ·구토 등도 나타나고, 만성은 주로 난관유착에 의한 하복부둔통과 성교동통 등이 나타난다. 근년에는 임균 ·결핵균에 의한 감염은 옛날에 비해 적어졌으나,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에 의한 감염이 최근 주목되고 있다. 치료는 급성일 때는 절대안정이 필요하며 항생제를 복용한다. 염증성 종류·난관유착일 때는 불임증 ·자궁외임신이 되기 쉬우므로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 수술한다.
Sarcoma: 육종. 섬유조직, 지방조직, 근육조직, 활막조직, 혈관조직, 신경조직에서 발생하는 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보통 처음에는 무통성 종창으로 나타난다.
Schiller`s iodine test: 쉴러검사 희석한 디프테리아 독소를 혈관 내에 주사하여 디프테이라에 대한 면역성을 측정하는 피부반응검사, 감수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양성 반응은 주사 부위에 발적, 부종이 나타난다. 면역성을 나타내는 음성 반응은 발적이나 부종이 없다.
Speculum: 스페큘럼 연마 금속 또는 금속 필름을 사용한 유리로 만든 광학 기계용 반사경.
Stein leventhal cyst
Syphilis: 매독 나선충인 매독트레포네마(Treponema pallidum )라는 병원체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만성전염병. 매독은 대표적인 성전파질환의 하나로서 주로 매독 환자와의 성교 또는 입맞춤 등으로 감염되거나 간혹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옛날에는 서인도제도의 지방병이었는데, 콜럼버스의 원정대에 의해 1493년 유럽으로 들어왔으며, 차차 동양에까지 번졌다고 한다. 감염된 후 경과함에 따라 증세가 달라지는데, 제1기·제2기·제3기 및 변성 매독 등으로 구분되며, 태아가 자궁 내에서 감염된 것은 선천성 매독이라고 한다.
Teratoma: 기형종 다양한 조직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어떤 조직도이의 발생 영역 본래의 것은 아니다. 난소 또는 고환에 발생하는 것이 가장 많다.
Trendelenburg position: 트렌델렌부르그 체위 두부를 낮추고 몸체와 다리는 45˚정도로 경사지게 올린 체위. 이 체위는 가끔 복부 장기가 위호 향하도록 하거나, 저혈압이나 쇼크 상태에서 두부 쪽에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Trichomonas: 트리코모나스 편모충강 세모편모충과의 원생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5~40μm이고 서양배와 같이 길고 둥근 모양이며, 앞쪽에 3~5개의 편모가 있고 뒤쪽에 파동 막을 지닌 편모가 하나 있다. 대부분의 동물 및 사람의 입 안, 창자, 질 따위의 점막에 기생한다. 구강편모충, 질편모충 따위가 있다.
Vaginitis: 질염 질점막의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 병원균으로는 임질균·연쇄구균·포도상구균·대장균·칸디다·트리코모나스 등을 들 수 있으며, 결핵·매독·디프테리아·장티푸스·홍역 등 전염병의 한 부분증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일반적인 증세로는 대하가 많아지고, 더욱이 백색·황백색의 혼탁상이 되며, 때로 농성·혈성이 될 때도 있고, 대개는 악취가 난다.외음부가 늘 축축하고, 소양감(과 작열감이 있으며, 냉으로 인하여 짓무르게 되면 배뇨 때 통증이 있다. 항생물질의 질정을 삽입함으로써 치유되는 경우도 있으나, 조기에 완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의사의 진단에 의한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으로는 국부를 깨끗이 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Veneral disease(VD) 성전파 질환 일반적으로 생식기 접촉이나 성교에 의해서 얻는 전염성 지환. 이 질환은 대부분 전염성이 있고, 치료 및 진단 방법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빈도는 최근 몇 년 동안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역사적으로 5대 성병은 임질, 매독, 연성하감, 서혜부육아종, 림파육아종이다. 이러한 성병들에 옴, 음부포진, 항문호진, 사마귀, 이기생증, 트리코모나스증, 생식기 칸디다증, 전염성 연종 비특이성 요도염, 클라미디아 감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추가된다.
Wertheim`s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