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축구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식축구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식축구의 역사.

2. 미식축구의 현황.

3. 볼(BOWL)이란?

4. 포지션

5. 시설&용구

6. 경기방법

7. 한국의 미식축구

본문내용

고, 그 공을 받은 지점에서 첫 번째 공격을 하게 된다.

** 공격 방법 **
* 공을 가지고 뛰는 공격 방법을 러닝 플레이(Running Play)
* 공을 던져서 받는 공격을 패싱 플레이(Passing Play)
* 공을 차는 공격을 킥킹 플레이(Kicking Play)

(1)러닝 플레이
공을 가진 선수가 공격 라인맨의 사이로 돌파하거나, 외곽 방향으로 돌파하는 공격으로,
돌파하는 위치에 따라 명칭이 정해지기도 하고 플레이 성격으로도 구분하기도 한다.
① 센터 러시(Center Rush) 공을 가지고 센터와 가드 사이로 돌파하는 공격을 센터 러시라고 한다.
② 오프 가드(Off Guard) 공을 가지고 가드와 태클 사이로 돌파하는 공격을 오프 가드라고 한다.
③ 오프 태클(Off Tackle) 공을 가지고 태클과 엔드 사이로 돌파하는 것을 오프 태클이라고 한다.
④ 엔드 런(End Run) 공을 가지고 엔드 바깥쪽으로 뛰는 공격을 엔드 런이라고 한다.
⑤ 다이브 플레이(Dive Play) 공을 가진 선수가 다이브(Dive)하면서 라인맨 사이로 돌파하는 공격으로
짧은 거리(1-2야드)를 확실하게 전진하여야만 되는 상황에서 자주 쓰인다.
⑥ 옵션 플레이(Option Play) 쿼터백(QB)이 하프백(HB)에게 공을 주는 동작을 취하면서
수비 엔드(DE)의 동작에 따라 풀백(FB)D에게 공을 던지거나, 본인이 직접 뛰는 것을 옵션 플레이(Option Play)라 한다.
⑦ 스윕 플레이(Sweer Play) 공격 팀의 리드 블로커(Lead Blocker)가 2명 이상인 러닝 플레이를 스윕 플레이라고 한다.
⑧ 리버스 플레이(Reverse Play) 러닝 공격 도중, 러닝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바뀌는 러닝 플레이 말한다.

(2)패싱 플레이(Passing Play)
공격 팀의 패서(Passer)가 공격 팀의 백맨이나 엔드, 와이드 리시버(Wide Receiver)에게 공을 던지는 공격을 패싱 플레이라고 하며,
패스(Pass)의 방향, 길이, 패서의 뛰는 방향에 따라 그 명칭이 붙게 된다. 패스 플레이에서 공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선수는
엔드, 백맨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보통 2-3명의 리시버(Receiver)가 공을 받으러 나가게 된다.
① 드롭 백패스(Drop Back Pass 스냅(Snap)을 받은 쿼터백(QB)이 곧바로 7-8야드 뒤로 후퇴하여 던지는 패스 플레이를 말 한다.
② 스프린터 아웃 옵션 패스(Sprint Out Option Pass) 쿼터백(QB)이 롤 아웃(Roll Out)하면서 패스를 하든가, 뛰든가를 선택하는 패스 플레이를 말한다.
③ 스프린터 아웃 패스(Sprint Out Pass) 쿼터백(QB)이 45°각도로 롤 아웃(Roll Out)하여 던지는 패스 플레이를 말한다.
④ 스크린 패스(Screen Pass) 쇄도하여 들어오는 수비를 끌어들이고, 공격 라인맨이 이동하여 블로킹 막(Screen)을 형성한 후, 그 막 뒤쪽에 위치한 리시버(Receiver)에게 던지는 플레이를 말한다.

(3)킥킹 플레이(Kicking Play)
킥 플레이는,
①전, 후반전의 시작이나, 득점 후에 경기를 시작할 때 사용되는 프리 킥(Free Kick)과,
②득점을 시도할 때 사용하는 필드 골(Field Goal) 킥, 또
③공격권을 넘겨줄 때 사 용되는 펀트 킥(Punt Kick)의 3가지가 있다.

① 펀트 킥(Punt Kick)이란? 4번의 공격권 중, 이미 3번을 사용하였으나 10야드를 전진 못하여,
만약 4번째 공격을 시도 하다가 상대팀에게 공격권을 넘겨주게 되므로, 게임을 안전하게 풀어 나가기 위하여,
4번째 공격 시에 공격권을 상대팀에게 넘겨주면서 거리상의 이익을 취하기 위하여(약 40야드)길게 킥할 때 사용하는 킥이다.
킥(Kick)하는 순간 공격권은 상대팀에게 자동으로 넘어가게 되고, 공을 받는 선수가 뛰다가 쓰러진 지점이나,
공이 상대팀에게 자동으로 넘어가게 되고, 공에서 정지되거나, 엔드 라인 (End Line)을 벗어나게 되면 20야드 지점에서 상대팀의 공격이 시작된다.

② 필드 골 킥(Field Goal Kick) 펀트킥과 동일한 상황, 즉 4번째 공격 지점이 엔드 존(득점 지역)과 너무 가까워서 펀트 킥 을 하여도
거리상의 큰 이득이 없는 경우, 펀트 대신에 득점(3점)하기 위하여 에이치 골(H Goal)을 향하여 킥하는 공격 플레이다.
대부분의 필드 골 킥은 득점 지역(엔드 존)과의 거리가 30야드 이내이거나, 경기 종료 시간 이 가까워지고
3득점하게 되면 경기를 역전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시도하게 된다.

③ 프리 킥(Free Kick 프리 킥은 전·후반전의 경기를 시작하거나, 득점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 경기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킥(Kick)으로써
자기 진영 35야드 지점에서 상대팀 쪽으로 킥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공을 고정시켜주는 티(Tee)라는 받침대를 사용한다.
7. 한국의 미식축구
미식축구가 한국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46년 김영달(金永達)·전득수(田得秀)·장박(張博) 등이 조선미식축구협회를 창립한 데서 비롯되었다. 당시 미군정청의 협조로 서울운동장에서 한·미 친선경기를 가졌고, 48년 보인상업고등학교에 미식축구부가 창설되어 전국체육대회에서 시범경기가 거행되었다. 60년대에는 고려대학교·경희대학교·서울대학교·성균관대학교·중앙대학교·한양대학교에 미식축구팀이 창단되었고, 76년 부산에 대한미식축구협회 지부가 창설되었다. 86년 현재 서울에는 고려대학교·서울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성균관대학교·연세대학교·한양대학교 등에, 지방에는 경북대학교·계명대학교·동아대학교·동의대학교·부산대학교·경성대학교·영남대학교 및 해양대학·해군사관학교 등에 미식축구팀이 창단되어 있다. 96년 현재 대학을 중심으로 총 27개 팀이 활동하고 있다. 전국 규모의 경기는 1년에 3차례 열리는데, 춘계(5월 말∼6월 초) ·추계(11월 말∼12월 초) ·동계(1월 초순)로 나누어 전국대학미식축구선수권대회가 열린다. 그 중 춘계와 추계 경기는 서울에서, 동계 경기는 부산에서 개최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1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3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