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기조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향기공조시스템

2.냉매의 오존층 파괴와 대체냉매

3. Green Building

4.열병합발전방식(co-generation system)

5. 빙축열 냉방시스템

6. GHP(gas engine driven heat pump) system

7. Clean room과 Bioclean room

본문내용

20cm까지 연결가능
실내 인테리어를 고급스럽고 따뜻한 분위기로 연출가능
-콤펙트하고 다양한 실내기 선택 간능(20type, 111가지 모델)
지하 및 실내공간 활용 극대화 기여
-실외기 옥상(지상) 설치 및 실내기 천정형으로 설치시
7. Clean room과 Bioclean room
(1) Clean room 의 개요
클린룸이란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가 한정된 청정도 이하로 관리되고, 또한 그 공간에서 공급되는 재료, 약품, 물 등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청정도가 유지되며, 필요에 따라서 온도, 습도,압력 등의 환경조건 등에 대해서도 관리가 행하여지는 공간을 말한다. 그 이외에 실내 기류 형상과 속도, 유해가스, 진동, 실내 조도 등이 관리항목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Clean Room은 반도체 산업뿐이 아니라 정밀산업, 전자산업, 의학품 제조, 식품 제조 산업, 광학 기계, 병원, 실험실 등 광범위한 범위까지 다양하게 요구된다.
(2) Clean room의 종류
① Industrial Clean room
최근 전자공업, 정밀 기계공업 등 첨단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그 생산제품에는 정밀화, 미소화, 고품질화 및 고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공장, FILM 공장 또는 정밀 기계공장 등에서는 실내 부유 미립자가 제조 중인 제품에 부착되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고,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의 생산에 저해요소가 되어 제품의 신뢰성과 수율(생산원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공장 전체 또는 중요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에 대응하는 청정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런 목적의 청정 공간을 Industrial Clean Room 이라고 하며, 대단히 높은 청정상태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② Biological Clean room
제약공장, 식품공장, 병원의 수술실 등에서는 제품의 오염방지, 변질방지 및 환자의 감염방지를 위해 무균에 가까운 상태가 요구된다. 일반 박테리아는 고성능 Filter에 잡혀 제거되지만,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에 비해 대단히 작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는 제거가 곤란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는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에 부착해서 존재하므로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함으로써 세균류도 제거가 가능하다. 공기 중의 세균을 제거하는 것으로는 자외선 또는 염화리튬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살균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근래 에는 고성능 Filter를 통해서 공기를 정화함으로 무균에 가까운 상태를 얻는다. 이러한 목적의 청정공간을 Biological Clean Room이라고 한다.
(3) Clean room의 규격
본격적인 ICR(공업용클린룸)규격으로 1963년 미국연방규격 209B(Federal Standard 209B)가 제정되었다. 규격은 청정도 이외, 압력, 기류속도, 온도, 습도, 조도에 의해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FS209는 1988년의 209D, 1992년의 209E와 수회 변경되었다. 한편, 다른 나라에서는 FS209를 참고로 하여 독자의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있는 입자경이 0.1㎛이상의 입자수를 10의 자승으로 표시한 지수 (10N/㎥의 N)를 클라스 표시로 하고 있다. 그리고 1999년 청정도에 관한 국제규격인 ISO14644가 발표되어 세계적 규격의 통일에 한발 전진하게 되었다. 표1에 각각을 비교 했다. BCR(생물용클린룸)규격은 NASA규격에 규정되어 있고, NHB 5340.1과 5340.2가 있다. 이들 규격의 내용은 FS209B와 거의 같지만, 미생물 농도를 더하고 있다. 표 2의는 이들 규격에서 생물입자에 관한 규정만을 추출한 것이다. 미생물은 큰 것은 단독으로 작은 것은 미입자에 부착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기 때문에 미립자를 제어 하는 것은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외의 관련 규격으로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가 있고, 의약품제조공장에서 생산단계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부유 미립자의 측정은 광산란식입자계수기(OPC/LPC등) 또는 응축핵계수기(CPC/CNC)를 이용한다. 미생물 측정은 공중부유균, 낙하균, 표면부착균으로 나누고, 상황에 따른 측정법이 있지만 이들 모두가 소정의 배양법으로 발육시킨 균집락(colony)수를 측정한다.
(4) Clean room 의 4원칙
① 실내에 미생물, 먼지의 유입, 침투방지
② 실내에서 먼지, 미생물 발생방지
③ 실내에서 먼지의 집적, 미생물의 활동방지
④ 실내먼지, 미생물의 신속배제
(5) Clean room 의 방식
▶ 층류방식(Laminal Flow)
실내의 기류를 층류로 해서 오염원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
① 수직 층류형(Vertical Laminar Flow)
기류가 천정 면에서 바닥으로 흐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청정도 CLASS 100 이하의 고청정 공간을 얻을 수 있다. 취출 풍속은 0.25 ∼ 0.5 m/sec 이다.
② 수평 층류형(Horizontal Laminar Flow)
기류가 한쪽 벽면에서 마주보는 벽면으로 흐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 방식의 특징은 상류 측의 작업의 영향으로 하류 측에서는 청정도가 저하하는 것이다. 상류 측에서는 Class 100 이하, 하류 측에서는 상류 측의 작업내용에 따라 Class 1,000 정도의 청정도를 얻을 수 있다. 취출 풍속은 0.45 m/sec 이상이다.
▶ 난류방식(Turbulent Flow)
기본적으로 일반 공조의 취출구에 HEPA Filter를 취부한 방식으로 청정한 취출공기에 의해 실내오염원을 희석하여 청정도를 상승시키는 희석법이다. 청정도는 CLASS 1,000∼100,000 정도를 얻을 수 있다. 환기회수는 20∼80 회/hr 정도이고, HEPA Box 또는 BFU (Blower Filter Unit)를 사용하여 공조기로부터 Make Up된 공기를 취출하고 청정유지에 필요한 풍량을 순환시킨다. 이 방식의 Clean Room에서는 동일한 실내조건에서 청정도를 80회 이상 (예를들어 100 회/hr)으로 올린다 하더라도 청정도의 향상효과는 비례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