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게 그리고 열심히 공부하는 공대인들이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단무지라면서 비하되는 것을 많이 봤다. 또한 사회에 진출하신 선배님들을 보면서 공대 출신의 사회적 지휘와 위상이 인문대 출신에 비해서 많이 낮은 것을 보았다. 어떤 교수님께서는 한국의 정말 유능한 엔지니어들은 많은 경제적 혜택과 사회적 존경을 받을 수 있는 미국에 가 있다고 하셨다. 이와 현실 때문에 최근 이공계 기피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내가 공대를 나와 과연 사회에서 얼마만큼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도 컸던 것이 사실이였다. 하지만 피터 드러커가 제시한 지식사회의 모습에서 많은 희망을 찾을 수 있었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존경받고 우대받는 사회. 다가올 지식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이제부터라도 대비하여야겠다.
추천자료
My Ideal Society (영작문)
Blinded by Society
a aging in a changing society chapter 2 번역 노인의 사회세계 노인의 사회화
Topic: Western society has a great responsibility to fat people.
The old is the best - The amish : A small society
[현대사회문제] 노인문제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와 노인(노인의 개념과성격), 노인문...
사회복지전문화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와 ‘...
[독후감상문(경제/경영/경제사상/경제이론)]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The Mak...
[가족정책론] 사회 변화(change of society) 전망 - 사회의 양극화 심화, 저출산 및 고령화의...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 (줄거리, 주인공의 역할, 영화의 한계점).ppt
[원서번역] Regulating the Poor - The Functions of Public Welfare (저자 - Frances Fox Pi...
[교직실무] 사회변화change of society에 따른 유아교사의 역할 및 교직의 변화에 대해 논하...
기술사회technological society의 패러다임
[독후감] 'Naver inside'를 읽고-Next Human Networ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