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한국의 스타벅스 진출 전략
‘인사동’ 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공예품, 화랑, 그리고 전통찻집 등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전통의 거리라 불리우는 인사동 거리에 가면 우리말로 ‘스타벅스’ 라고 써 있는 큰 커피 전문점을 보게 되었다. 인사동 거리에 왠 커피전문점일까? 비록 좀 안 어울리는 듯 하지만 이는 나름대로 큰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영어 아닌 그 나라 고유의 말로 쓰여진 스타벅스의 간판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한글 이름으로 쓰여진 전통문화 거리에서의 외국커피 인 것이다. 그런데 만약 인사동 거리에 영어로 쓰여있다면 어울렸겠는가? 이것이 바로 글로벌 기업의 현지화를 말하는 아주 작은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경영에서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는 본사 고유 문화와 현지화 전략에 관한 내용이었다. 우리는 기업 고유 문화와 현지화 전략에 대해서 대립적으로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둘은 글로벌 기업에서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가치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타벅스는 이 둘의 예를 보여주는 사례로 적당할 것이다. 본사 고유의 문화와 그에 따른 표준화전략 그리고 세계 각지에 퍼져서 그 지방 고유의 문화를 접목시켜 일약 세계 1위의 커피 기업으로 떠오른 스타벅스.. 이 기업을 살펴보면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프랑스의 스타벅스 진출 전략
① 유럽에 진출한 지 6년 만의 일
② 이로써 영국,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7개국에서 점포를 갖게 됨
③ 파리 중심부의 비싼 임대료 때문에 스타벅스가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④ 프랑스인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문화적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않는 방법 필요
⑤ 기회요인: 300년간 커피 문화에 익숙한 프랑스에도 젊은층의 수요에 대한 테이크 아웃 커피점이 늘고 있음
⑥ 일례로 맥도날드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입맛을 자랑하는 프랑스인들이지만 최근엔 생활이 바쁜 나머지 맛보다는 빠르고 값싼 식사를 선호하는 일반 대중이 늘어나 지난 20년간 맥도날드가 프랑스 전역에 걸쳐 990개로 증가하였음.
⑦ 스타벅스는 프랑스인의 문화적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와상과 각종 초콜릿을 판매.
‘인사동’ 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공예품, 화랑, 그리고 전통찻집 등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전통의 거리라 불리우는 인사동 거리에 가면 우리말로 ‘스타벅스’ 라고 써 있는 큰 커피 전문점을 보게 되었다. 인사동 거리에 왠 커피전문점일까? 비록 좀 안 어울리는 듯 하지만 이는 나름대로 큰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영어 아닌 그 나라 고유의 말로 쓰여진 스타벅스의 간판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한글 이름으로 쓰여진 전통문화 거리에서의 외국커피 인 것이다. 그런데 만약 인사동 거리에 영어로 쓰여있다면 어울렸겠는가? 이것이 바로 글로벌 기업의 현지화를 말하는 아주 작은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경영에서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는 본사 고유 문화와 현지화 전략에 관한 내용이었다. 우리는 기업 고유 문화와 현지화 전략에 대해서 대립적으로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둘은 글로벌 기업에서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가치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타벅스는 이 둘의 예를 보여주는 사례로 적당할 것이다. 본사 고유의 문화와 그에 따른 표준화전략 그리고 세계 각지에 퍼져서 그 지방 고유의 문화를 접목시켜 일약 세계 1위의 커피 기업으로 떠오른 스타벅스.. 이 기업을 살펴보면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프랑스의 스타벅스 진출 전략
① 유럽에 진출한 지 6년 만의 일
② 이로써 영국,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7개국에서 점포를 갖게 됨
③ 파리 중심부의 비싼 임대료 때문에 스타벅스가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④ 프랑스인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문화적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않는 방법 필요
⑤ 기회요인: 300년간 커피 문화에 익숙한 프랑스에도 젊은층의 수요에 대한 테이크 아웃 커피점이 늘고 있음
⑥ 일례로 맥도날드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입맛을 자랑하는 프랑스인들이지만 최근엔 생활이 바쁜 나머지 맛보다는 빠르고 값싼 식사를 선호하는 일반 대중이 늘어나 지난 20년간 맥도날드가 프랑스 전역에 걸쳐 990개로 증가하였음.
⑦ 스타벅스는 프랑스인의 문화적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와상과 각종 초콜릿을 판매.
추천자료
풀무원, 라네트, 비타500, 스타벅스의 마케팅전략, 촉진전략 분석
디자인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 스타벅스 커피 전문점
교내 다국적 커피 프랜차이즈체인(스타벅스)의 성공적인 입점을 위한 마케팅 조사계획서
[서비스마케팅]'스타벅스'의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A+리포트)
[브랜드마케팅]감성을 자극하는 '스타벅스'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A+리포트)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 감성 마케팅 - 스타벅스
브랜드 서비스 전략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스타벅스,이너지,모토로라)
커피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와 성장배경, 리더십).ppt
[국제경영] 해외진출전략 - 스타벅스 & 헬로 키티의 산리오 & 화장품 해외진출 선봉 ...
국제적인 음료사의 마케팅 사례(코카콜라,스타벅스,네슬레,진로)
카페베네 마케팅 전략- 카페베네 4P,스타벅스 4P,커피시장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카페베네 (Caffe bene) 스타벅스감성마케팅, 커피시장분석, 카페베네경영전략, 브랜드마케팅,...
글로벌 전략 현지화 전략,스타벅스현지화전략사례,BBQ 글로벌전략 현지화전략,서비스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