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장애인의 진단, 치료, 장애인 지원실태, 생활상태 등등 모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된 장애의 진단 및 치료

2) 일상생활 지원

3) 재활보조기구

4) 취업 및 직업재활

5) 결혼생활

6) 여가 활동

7) 생활만족도

본문내용

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애유형별로는 간장애, 지체장애, 신장장애, 뇌병변장애의 경우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다른 장애의 경우 일반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다.
5. 종교현황
장애인들의 종교현황에 있어서는 재가장애인 중의 42.9%는 종교가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불교가 24.3%로 가장 많았고, 개신교는 23.3%, 천주교 8.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의 종교분포(무교 46.1%, 불교 47.0%, 개신교 36.8%, 천주교 13.7%)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통계청, 2004). 장애유형별로는 호흡기장애의 28.5%가 불교라고 응답하여 가장 많았고, 발달장애는 개신교를 39.4%, 안면장애는 천주교를 27.1%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6. 문화 및 여가활동
장애인들은 일반적으로 문화 및 여가활동으로 유선방송이나 비디오를 포함한 TV시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수응답이 가능한 문화 및 여가활동 내용은 이다. 전체 응답자의 95.2%가 TV시청으로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 밖의 문화 및 여가활동으로는 사교 일(친구만남, 모임 등)에 54.2%, 가사잡일 45.2%, 독서, 신문이나 잡지 읽기 33.7% 등이었고, 감상.관람(연극, 영화 등), 창작적 취미(미술, 서예, 음악연주 등), 사회자원봉사활동, 스포츠, 학습활동 등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문화 및 여가활동을 일반인들과 비교하여 보면, 일반인도 TV시청이 26.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휴식.수면 16.1%, 가사일 12.1%, 사교관련 11.4%, 가족과 함께 9.3%, 컴퓨터 게임.PC통신 6.9%, 여행 5.2%, 문화예술관람 2.3%의 순으로 나타나 장애인과 일반인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통계청, 2004).
7) 생활만족도
장애인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다. 결과, ‘건강이 나쁜 편이다’라고 응답한 장애인이 42.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교적 건강하다’ 34.5%, ‘매우 건강이 나쁘다’ 19.9%, ‘매우 건강하다’ 2.7%의 순이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62.8%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장애인(37.2%)에 비해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2000년도 실태조사에서의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이 나쁘다’라고 응답한 장애인이 더 많았던 것(58.4%)과 동일한 결과로, 장애인들은 자신의 건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겠다. 장애유형별로는 내부장애 유형의 장애인들이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더 많았는데, 특히 호흡기장애(93.6%), 간장애(90.4%), 심장 장애(89.6%), 신장장애(86.7%)의 경우에 더 많은 장애인들이 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다’고 응답한 장애인은 발달장애가 90.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정신지체(70.6%), 안면장애(55.7%)였다.
2.가족과의 관계 만족도
장애인들은 현재 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가족관계, 현재의 삶, 친구의 수, 살고 있는 곳, 건강상태, 월수입, 여가활동, 하는 일, 결혼생활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가족과의 관계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에 대해서는 79.4%의 장애인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20.6%의 장애인은 ‘불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가족관계에서의 만족정도가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발달장 애(100.0%)와 장루.요루장애(89.7%)였고, ‘불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간질장애(40.3%)와 정신장애(39.8%)였다.
3. 현재의 삶에 대한 만족도
장애인들은 현재의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에 대해서 54.9%의 장애인이 현재의 삶에 ‘불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45.0%의 장애인은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현재 삶에 대한 만족 정도에서는 불만족이 약간 더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현재 삶의 만족정도에서 ‘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발달장애(100.0%)와 정신지체(61.8%)였고, ‘불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심장장애(74.5%)와 간장애(72.3%)였다.
3.사귀는 친구의 수에 대한 만족도
장애인들은 사귀는 친구들의 수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에 대해서 61.7%의 장애인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38.3%의 장애인은 ‘불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친구 수에 대한 장애인의 만족정도가 불만족정도보다 더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사귀는 친구수에 ‘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100.0%)와 안면장애(78.4%)였고, ‘불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정신장애 (62.0%)와 뇌병변장애(58.7%)였다.
4.한 달 수입에 대한 만족도
장애인들은 현재 한달 수입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에 대해서 85.6%의 장애인이 ‘불만 족한다’고 응답하였고, 14.4%의 장애인은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한달 수입에 대한 만족정도에 있어 불만족정도가 약간 더 높았다. 장애유형별로는 현재 한달 수입에 ‘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33.9%)와 정신지체(26.7%)였고, ‘불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안면장애 (91.7%)와 뇌병변장애(90.2%)였다.
5.현재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
현재 직장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 현재 하고 있는 일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에 대해서 52.6%의 장애인이 ‘만족하다’고 응답하였고, 47.5%의 장애인은 ‘불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불만족하다는 경우가 약간 더 많았다. 장애유형별로는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간장애(100.0%)와 정신지체(73.6%)였고, ‘불만족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장애유형은 심장장애 (76.4%)와 언어장애(57.8%)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