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 복지시설의 개념
*장애인 복지시설의 필요성
⇨ 장애인 복지시설의 과제 포함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시설 비교
*장애인 복지시설의 종류
*장애인 복지시설의 설치 ․ 운영기준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와 문제점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장애인 복지시설의 현황
⇨ 장애인 수 포함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보도자료
*장애인 복지시설의 필요성
⇨ 장애인 복지시설의 과제 포함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시설 비교
*장애인 복지시설의 종류
*장애인 복지시설의 설치 ․ 운영기준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와 문제점
*장애인 복지시설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장애인 복지시설의 현황
⇨ 장애인 수 포함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보도자료
본문내용
1,481
879
602
55
29
26
248
138
110
500
315
185
41,579
23,295
18,284
1,506
962
544
33,026
18,027
14,999
16
12
4
12,705
7,819
4,886
578
339
239
2,559
1,503
1,056
9,440
5,892
3,548
11,635
9,234
2,401
2,159
1,633
526
3,256
2,602
654
6,220
4,999
1,221
5,126
3,986
1,140
882
701
181
1,136
903
233
1,296
1,043
253
9,520
6,067
3,453
14
11
3
163
105
58
715
520
195
6,624
3,755
2,869
112
65
47
753
427
326
1,959
1,111
848
126,764
77,750
49,014
37,483
22,282
15,201
50,559
30,566
19,993
38,501
24,762
13,739
9,466
7,813
1,653
3,364
2,728
636
4,373
3,630
743
1,728
1,455
273
63,323
35,265
28,058
9,811
5,671
4,140
33,162
18,519
14,643
20,341
11,072
9,269
* 장애인복지시설 현황
통계자료 ( 2006.12.31 *가장 최근 통계 자료입니다 )
서울
34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3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0개, 중증요양시설:15개, 장애영·유아시설:2개)
부산
18개 (지체장애시설:4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2개, 정신지체시설:7개, 중증요양시설:2개, 장애영·유아시설:2개)
대구
12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4개, 중증요양시설:5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인천
12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3개, 중증요양시설:3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실비장애시설:1개
광주
11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5개,
중증요양시설:2개)
대전
11개 (지체장애시설:1개, 시각장애시설:1개, 정신지체시설:6개, 중증요양시설:2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울산
4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개, 중증요양시설:2개)
경기
54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2개, 청각언어시설:3개, 정신지체시설:26개, 중증요양시설:21개)
강원
17개 (시각장애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0개, 중증요양시설:6개)
충북
18개 (지체장애시설:1개, 시각장애시설:3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6개,
중증요양시설:7개)
충남
18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8개)
전북
20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9개, 중증요양시설:6개)
전남
12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4개, 중증요양시설:3개)
경북
21개 (지체장애시설:3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10개)
경남
16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6개)
제주
10개 (정신지체시설:7개, 중증요양시설:3개)
자료에는 시설명이나 시설장 주소, 전화번호도 있었지만 전부다 기입하면 너무 양이 많아서 적지 않았음.
자세한 내용이나 도움을 청하려면
http://jejubokji.x-y.net/?doc=bbs%2Fgnuboard.php&bo_table=data&page=1&wr_id=92
또 2007년도 상반기에 6개의 실비장애인들을 위한 시설이 개원 될 예정이다.
*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보도 - 가장최근
"아름다운 장애, 우리를 자랑하자"
4월 26일
(서울=연합뉴스) 서울특별시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26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제4회 서울특별시 장애인복지시설 체육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장애인, 교사, 자원봉사자, 후원인 등 2천500여 명이 참가해 스피드 줄다리기, 줄잡고 달리기, 공전달하기, 등의 체육경기를 비롯해 비보이 축하공연, 페이스페인팅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마련됐다.
특히 폐회식에는 참가시설 장애인 중 어려운 환경과 장애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했거나 이겨내려고 노력하는 장애인 32명에게 상장이 수여됐다.
“ 편견 없는 마음을, 차별 없는 세상을 ”
4월 20일
(서울=연합뉴스) 제27회 장애인의 날 기념식이 20일 한덕수 국무총리,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편견 없는 마음을, 차별 없는 세상을'로, 공모를 통해 431개 응모작 중에서 선정됐다.한덕수(韓悳洙) 국무총리는 이날 기념사를 통해 "장애인 일자리 확충에 주력하겠다"며 정부방침을 소개했다.장애인 교육과 관련, 한 총리는 "장애아동에 대해 2010년부터 유치원과 고등학교에서도 의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그는 또 "장애등록 판정체계 개선을 통해 장애인 소득보장, 직업재활 등 장애인 개개인의 복지수요와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면서 "지하철 역사마다 승강기를 설치하는 등 장애인 이동권의 증진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약속했다.이와 함께 그는 장애인 차별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 4일 서명식을 가진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홍보에 주력하고, 사회인식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장애인의 날은 1981년 유엔이 정한 세계 장애인의 해를 기념해 4월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15개 장애인단체들이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를 구성, 매년 기념행사를 공동 개최해 오고 있다.한편 이번 장애인의 날을 맞아 50년간 시각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한 원충의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강원도지부 강릉시 지회장을 비롯한 유공자들이 각종 훈ㆍ포장을 받았다.
879
602
55
29
26
248
138
110
500
315
185
41,579
23,295
18,284
1,506
962
544
33,026
18,027
14,999
16
12
4
12,705
7,819
4,886
578
339
239
2,559
1,503
1,056
9,440
5,892
3,548
11,635
9,234
2,401
2,159
1,633
526
3,256
2,602
654
6,220
4,999
1,221
5,126
3,986
1,140
882
701
181
1,136
903
233
1,296
1,043
253
9,520
6,067
3,453
14
11
3
163
105
58
715
520
195
6,624
3,755
2,869
112
65
47
753
427
326
1,959
1,111
848
126,764
77,750
49,014
37,483
22,282
15,201
50,559
30,566
19,993
38,501
24,762
13,739
9,466
7,813
1,653
3,364
2,728
636
4,373
3,630
743
1,728
1,455
273
63,323
35,265
28,058
9,811
5,671
4,140
33,162
18,519
14,643
20,341
11,072
9,269
* 장애인복지시설 현황
통계자료 ( 2006.12.31 *가장 최근 통계 자료입니다 )
서울
34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3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0개, 중증요양시설:15개, 장애영·유아시설:2개)
부산
18개 (지체장애시설:4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2개, 정신지체시설:7개, 중증요양시설:2개, 장애영·유아시설:2개)
대구
12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4개, 중증요양시설:5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인천
12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3개, 중증요양시설:3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실비장애시설:1개
광주
11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5개,
중증요양시설:2개)
대전
11개 (지체장애시설:1개, 시각장애시설:1개, 정신지체시설:6개, 중증요양시설:2개, 장애영·유아시설:1개)
울산
4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개, 중증요양시설:2개)
경기
54개 (지체장애시설:2개, 시각장애시설:2개, 청각언어시설:3개, 정신지체시설:26개, 중증요양시설:21개)
강원
17개 (시각장애시설:1개, 정신지체시설:10개, 중증요양시설:6개)
충북
18개 (지체장애시설:1개, 시각장애시설:3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6개,
중증요양시설:7개)
충남
18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8개)
전북
20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9개, 중증요양시설:6개)
전남
12개 (지체장애시설:3개, 시각장애시설:1개, 청각언어시설:1개, 정신지체시설:4개, 중증요양시설:3개)
경북
21개 (지체장애시설:3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10개)
경남
16개 (지체장애시설:2개, 정신지체시설:8개, 중증요양시설:6개)
제주
10개 (정신지체시설:7개, 중증요양시설:3개)
자료에는 시설명이나 시설장 주소, 전화번호도 있었지만 전부다 기입하면 너무 양이 많아서 적지 않았음.
자세한 내용이나 도움을 청하려면
http://jejubokji.x-y.net/?doc=bbs%2Fgnuboard.php&bo_table=data&page=1&wr_id=92
또 2007년도 상반기에 6개의 실비장애인들을 위한 시설이 개원 될 예정이다.
*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보도 - 가장최근
"아름다운 장애, 우리를 자랑하자"
4월 26일
(서울=연합뉴스) 서울특별시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26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제4회 서울특별시 장애인복지시설 체육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장애인, 교사, 자원봉사자, 후원인 등 2천500여 명이 참가해 스피드 줄다리기, 줄잡고 달리기, 공전달하기, 등의 체육경기를 비롯해 비보이 축하공연, 페이스페인팅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마련됐다.
특히 폐회식에는 참가시설 장애인 중 어려운 환경과 장애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했거나 이겨내려고 노력하는 장애인 32명에게 상장이 수여됐다.
“ 편견 없는 마음을, 차별 없는 세상을 ”
4월 20일
(서울=연합뉴스) 제27회 장애인의 날 기념식이 20일 한덕수 국무총리,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편견 없는 마음을, 차별 없는 세상을'로, 공모를 통해 431개 응모작 중에서 선정됐다.한덕수(韓悳洙) 국무총리는 이날 기념사를 통해 "장애인 일자리 확충에 주력하겠다"며 정부방침을 소개했다.장애인 교육과 관련, 한 총리는 "장애아동에 대해 2010년부터 유치원과 고등학교에서도 의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그는 또 "장애등록 판정체계 개선을 통해 장애인 소득보장, 직업재활 등 장애인 개개인의 복지수요와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면서 "지하철 역사마다 승강기를 설치하는 등 장애인 이동권의 증진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약속했다.이와 함께 그는 장애인 차별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 4일 서명식을 가진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홍보에 주력하고, 사회인식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장애인의 날은 1981년 유엔이 정한 세계 장애인의 해를 기념해 4월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15개 장애인단체들이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를 구성, 매년 기념행사를 공동 개최해 오고 있다.한편 이번 장애인의 날을 맞아 50년간 시각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한 원충의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강원도지부 강릉시 지회장을 비롯한 유공자들이 각종 훈ㆍ포장을 받았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시설의 나아갈 방향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아동복지시설 목적과 현황 및 개선 방향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유형구분과 노인복지시설 운영현황작성(설립동기 및 목적,주요사업 및 프로그...
사회복지시설
[지역사회복지론] 재가복지의 개념 및 도입배경,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재가복지서비스의 종...
한국의 아동복지시설(생활, 이용)의 종류와 세부사업내용을 서술하고 아동들의 보호차원에서 ...
[아동복지 공통] 시설복지서비스와 재가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
사회복지시설 평가가 시설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자신의 입장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시설의 변천사] 사회복지사업의 역사 사회복지시설사업의 발달과정(발전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