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7. 퇴적물의 퇴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7. 퇴적물의 퇴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 내려 퇴적암 표면에 빗방울 자국이 형성된 퇴적암
(6) 촉석루, 뒤벼리 등지의 지층 관찰해 보자.
⇒ 뒤벼리의 강변도로의 지층은 단단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된 지층의 반으로 나누는 듯한 보이는 돌이 널려 있었고, 단면이 칼로 깎아 논듯이 날카로워 보였다.
(7) 퇴적암이 다른 암석과 다른 점
① 지층을 이루며 화석을 관찰할 수 있다.
② 층무늬(층리)가 관찰된다.
③ 입자가 둥글고 색깔은 비교적 단순하다.
④ 다른 암석에 비해 덜 단단하다.
아쉬운 점
& 알게된 점
모든 실험의 과정을 실제로 해 보았으면 좋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듣는 수업 시간에는 실험 과정들이 앞 반에 의해 다 실행되어서 우리가 속한 반에서는 설치된 장치에 거의 관찰만 하는 수준이라서 퇴적물이 섞인 플라스틱 통을 흔들고 섞는 작업만 할 뿐이다. 실험을 처음부터 과정별로 진행해서 더욱더 자세히 관찰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이러한 퇴적물과 퇴적암, 지층의 구조를 설명할 때 퇴적암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실물을 구해서 보여주고 직접 산이나 도로로 가서 퇴적암을 구분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하면 큰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 같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