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탐방 주제 및 목적
Ⅱ. 탐방의 필요성
Ⅲ. 탐방지역의 개괄적인 소개
Ⅳ. 일정
Ⅴ. 세부 활동 계획
Ⅵ. 예산 내역
Ⅶ. 앞으로의 전망
Ⅷ. 탐방 후 계획
Ⅸ. 참고문헌
Ⅱ. 탐방의 필요성
Ⅲ. 탐방지역의 개괄적인 소개
Ⅳ. 일정
Ⅴ. 세부 활동 계획
Ⅵ. 예산 내역
Ⅶ. 앞으로의 전망
Ⅷ. 탐방 후 계획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장이다. 사이공 시민들의 일상용품, 즉 과일, 야채, 의류,모자, 음식, 고기, 건어물, 수공예품 등 모든 물품이 구비되어 있어 사이공 시민들의 일상생활을 구경하고자 할 때 좋다. 이 시장은 시내의 렉스호텔에서 레 로이(Le Loi)거리를 따라 약 700m지점에 있다. 시장입구의 시계탑은 사이공의 또 하나의 상징이며 시장 앞 로터리는 사이공에서 가장 번화한 곳중 하나이며 중국의 침략을 막아낸 짠구엔한(Tran Nguyen Han)의 말 탄 동상이 서 있어 이정표 구실을 해준다. 시장이지만 오후6시면 문을 닫으므로 저녁장을 보려면 서둘러야 한다. 그래서 마지막 날에 벤탄 시장을 다시 한번 둘러보고 귀국하려고 한다. 벤탄시장에서 특히 살 만한 것은 대나무나 짚을 이용한 수공예품, 티셔츠 ,해먹, 과일 등이 있다.
Ⅵ. 예산 내역
여권, 비자
약 7만원
비행기 삯(왕복)
약 40만원
식대(하루5000×7)
약 3만5천원
교통비(하루4000×6)
약 2만4천원
숙박비(하루40000×6)
약 24만원
상비금
약 10만원
총계
약 86만9000원
Ⅶ. 앞으로의 전망
베트남 경제는 호치민에 집중되어 있다. 더이모이 정책 이후 시장경제체제가 유입된 이후에 지속적인 발전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 베트남은, 지역 연구를 위한 탐방이 아직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예측이 가능하다. 베트남 정부가 어떤 새로운 경제정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에서,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시장경제체제에 적응하고 받아들여 나가면서 발전하고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저기 다른 가게들과 국영 백화점과의 가격 비교를 통해 호치민시 안에서도 어떤 경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지, 얼마나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볼 수 있다. 눈에 띄는 몇몇 치안 상의 문제나 외국인들에 대한 우려먹기 식의 상술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늘어나는 관광객들과 상품 구매를 원하는 고객들을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호치민시는 베트남의 경제중심지의 역할을 더욱 확고하게 다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Ⅷ. 탐방 후 계획
호치민으로 떠나기 전에 세운 계획들이 차질 없이 이루어진다면, 다녀온 후에 직접 발품을 팔아 얻어낸 소중한 정보들을 토대로, 베트남의 시장경제체제를 더 깊이있게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 번 다녀온 후, 성과가 있을 것 같으면 한두번정도 더 다녀와서 좀더 확실히 호치민시에서의 시장을 직접 느끼며 공부해보고 싶다. 더이모이 정책으로 변화된 경제체제를 분석하고, 그 전의 정책과의 비교를 통해 베트남 경제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해 왔는가를 비교분석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나아가 베트남 경제체제와 우리나라 혹은 비슷하거나 상이한 다른 나라들의 경제 체제의 변화들을 베트남 경제발전 및 변화와 더불어, 함께 연구해 볼 예정이다.
Ⅸ. 참고문헌
베트남의 개혁개방정책과 한국 경제발전모델의 비교 -김연철(한남대)
베트남의 이해 -황귀연(부산외대)
세계를 간다 베트남 편 -랜덤하우스 중앙
경제개혁으로 21C를 여는 민족주의의 나라 베트남 -한국베트남학회(한국외대)
베트남, 앙코르와트 -시공사
강의자료(4/3) 베트남의 국가개관
http://www.vietnam.re.kr
http://www.hvs21.com
http://www.tourholic.com
http://www.hoteltravel.com
http://www.eyeofeagle.co.kr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http://cafe.daum.net/saigonghouse
http://lazion.com
http://www.travelg.co.kr
Ⅵ. 예산 내역
여권, 비자
약 7만원
비행기 삯(왕복)
약 40만원
식대(하루5000×7)
약 3만5천원
교통비(하루4000×6)
약 2만4천원
숙박비(하루40000×6)
약 24만원
상비금
약 10만원
총계
약 86만9000원
Ⅶ. 앞으로의 전망
베트남 경제는 호치민에 집중되어 있다. 더이모이 정책 이후 시장경제체제가 유입된 이후에 지속적인 발전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 베트남은, 지역 연구를 위한 탐방이 아직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예측이 가능하다. 베트남 정부가 어떤 새로운 경제정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에서,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시장경제체제에 적응하고 받아들여 나가면서 발전하고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저기 다른 가게들과 국영 백화점과의 가격 비교를 통해 호치민시 안에서도 어떤 경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지, 얼마나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볼 수 있다. 눈에 띄는 몇몇 치안 상의 문제나 외국인들에 대한 우려먹기 식의 상술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늘어나는 관광객들과 상품 구매를 원하는 고객들을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호치민시는 베트남의 경제중심지의 역할을 더욱 확고하게 다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Ⅷ. 탐방 후 계획
호치민으로 떠나기 전에 세운 계획들이 차질 없이 이루어진다면, 다녀온 후에 직접 발품을 팔아 얻어낸 소중한 정보들을 토대로, 베트남의 시장경제체제를 더 깊이있게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 번 다녀온 후, 성과가 있을 것 같으면 한두번정도 더 다녀와서 좀더 확실히 호치민시에서의 시장을 직접 느끼며 공부해보고 싶다. 더이모이 정책으로 변화된 경제체제를 분석하고, 그 전의 정책과의 비교를 통해 베트남 경제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해 왔는가를 비교분석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나아가 베트남 경제체제와 우리나라 혹은 비슷하거나 상이한 다른 나라들의 경제 체제의 변화들을 베트남 경제발전 및 변화와 더불어, 함께 연구해 볼 예정이다.
Ⅸ. 참고문헌
베트남의 개혁개방정책과 한국 경제발전모델의 비교 -김연철(한남대)
베트남의 이해 -황귀연(부산외대)
세계를 간다 베트남 편 -랜덤하우스 중앙
경제개혁으로 21C를 여는 민족주의의 나라 베트남 -한국베트남학회(한국외대)
베트남, 앙코르와트 -시공사
강의자료(4/3) 베트남의 국가개관
http://www.vietnam.re.kr
http://www.hvs21.com
http://www.tourholic.com
http://www.hoteltravel.com
http://www.eyeofeagle.co.kr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http://cafe.daum.net/saigonghouse
http://lazion.com
http://www.travelg.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