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소요질량)
P:피복층 하부의 투수지수(도참(5-11) 참조)
S:변형정도 : (표참(5-1) 참조)
N:작용하는 파의 수 (보통 1,000파)
도참(5-10)에서 은 외해측으로 거리에서의 값이고,는 환산심해파
변형정도는 피복석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지수이고 피해율의 일종이다.
KD
도참(5-10)
도참(5-11) 투수지수 P
표참(5-1) 2층피복의 경우에 있어서 각 단계의 피재(被災)에 대한 변형정도 S
사면구배
초기피재
중간피재
피 재
1 : 1.5
1 : 2
1 : 3
1 : 4
1 : 6
2
2
2
3
3
3~5
4~6
6~9
8~12
8~12
8
8
12
17
17
②이형블록(TTP)경우의 Ns
(참5-17)
여기서 : 피해도(피해정도를 나타내는 피해율의 하나로 방파제 法線方向의 폭 의 범위 내에서 이동한 블록의 갯수. 은 블록의 대표직경)
= 0.3 ( 피해율 대략 1%정도)
N : 파수 (=1.000파)
: 쇄파의 효과를 나타내는 계수, 도참(5-10)참조
(비쇄파영역 )
a, b : 블록의 형상이나 사면구배 등에 의한 계수
(값이 8.3의 이형블록으로 인 경우, a=2.32 , b=1.33
; 인 경우는 a=2.32 , b=1.42)
P:피복층 하부의 투수지수(도참(5-11) 참조)
S:변형정도 : (표참(5-1) 참조)
N:작용하는 파의 수 (보통 1,000파)
도참(5-10)에서 은 외해측으로 거리에서의 값이고,는 환산심해파
변형정도는 피복석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지수이고 피해율의 일종이다.
KD
도참(5-10)
도참(5-11) 투수지수 P
표참(5-1) 2층피복의 경우에 있어서 각 단계의 피재(被災)에 대한 변형정도 S
사면구배
초기피재
중간피재
피 재
1 : 1.5
1 : 2
1 : 3
1 : 4
1 : 6
2
2
2
3
3
3~5
4~6
6~9
8~12
8~12
8
8
12
17
17
②이형블록(TTP)경우의 Ns
(참5-17)
여기서 : 피해도(피해정도를 나타내는 피해율의 하나로 방파제 法線方向의 폭 의 범위 내에서 이동한 블록의 갯수. 은 블록의 대표직경)
= 0.3 ( 피해율 대략 1%정도)
N : 파수 (=1.000파)
: 쇄파의 효과를 나타내는 계수, 도참(5-10)참조
(비쇄파영역 )
a, b : 블록의 형상이나 사면구배 등에 의한 계수
(값이 8.3의 이형블록으로 인 경우, a=2.32 , b=1.33
; 인 경우는 a=2.32 , b=1.4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