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연보
Ⅱ. 작품 줄거리
Ⅲ. 작품분석
1. 1930년대 현실반영 - 작가의 상황인식
2. 해학성의 美 - 작가의 상황 극복의 원리
3. 상징성과 토속성 - 작품의 맛깔스런 양념
4. 아이러니 - 작품의 문학적 장치
Ⅳ. 마치며
Ⅱ. 작품 줄거리
Ⅲ. 작품분석
1. 1930년대 현실반영 - 작가의 상황인식
2. 해학성의 美 - 작가의 상황 극복의 원리
3. 상징성과 토속성 - 작품의 맛깔스런 양념
4. 아이러니 - 작품의 문학적 장치
Ⅳ. 마치며
본문내용
아이러니(시치미를 뚝 떼고 꾸며내는 것)이다. 『금 따는 콩밭』에는 언어적 아이러니와 상황적 아이러니가 포함되어 있다.
언어적 아이러니는 작품의 제목에서 나타난다. 작품의 제목 “금 따는 콩밭”은 인물들의 목표이자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을 의미한다. 하지만, 작품에서 인물들은 콩밭에서 금을 캐지 못하므로 작품명 『금 따는 콩밭』은 언어적 아이러니이다. 상황적 아이러니는 작품의 끝에 나타난다.
영식은 기쁨보다 먼저 기가 탁 막혔다. 웃어야 옳을지 울어야 옳을지. 다만 입을 벌린채 수재의 얼굴만 멍하니 바라본다. “이리 와 봐. 이게 금이래.”
(중략)
“그 흙 속에 금이 있지요?” 영식의 처가 너무 기뻐서 코다리에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 제 수재는 시원스러이, “네, 한포대에 50원씩 나와유” 하고 대답하고 오늘밤에는 꼭 정녕코 꼭 달아나리라 생각하였다. 위의 책, 250쪽.
금이 나오지 않는 다는 것을 수재와 작품을 읽고 있는 독자는 알고 있다. 하지만, 영식과 영식의 아내는 수재의 말을 믿고 콩밭에서 금이 나온 줄 알고 기뻐한다. 즉, 영식과 영식의 아내의 상황에 대한 인식 능력 부족으로 인해 독자가 기대한 행동과 주인공들의 행동의 불일치가 일어남으로써 웃음의 효과를 내는 상황적 아이러니가 나타난다.
Ⅳ. 마치며
김유정의 작품의 대표적인 특징은 해학이다. 이때 김유정이 작품에서 생산하고 있는 웃음은 단순하게 그냥 웃어버릴 수 있는 웃음이 아니다.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는 작품 속 절망적인 세계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의지와 행동이 우리의 마음에 진한 여운을 남기기 때문이다. 즉, 김유정은 웃음 뒤에 현실의 비극성도 함께 제시하면서 독자에게 그 당시의 아픔을 전달하고 있다.『금 따는 콩밭』도 일제의 식민지 정책 속에 순수하고 어리숙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의 참담함과 절망감을 웃음에 담아 부조리한 현실을 리얼하게 나타내고 있다. 무거운 주제 의식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특정 이데올로기를 작품의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농민의 삶과 당대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렸으며, 해학성이 가미되었기 때문이다. 즉, 김유정은 참담한 삶의 사람들을 사실적으로 포착하면서도 이를 독특한 해학과 슬픔의 정서로 녹여낸, 한국 현대소설의 전개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작가이다.
Report
김유정의
『금 따는 콩밭』을 읽고
학 과 :
학 번 :
이 름 :
과 목 :
교수님 :
제출일 :
언어적 아이러니는 작품의 제목에서 나타난다. 작품의 제목 “금 따는 콩밭”은 인물들의 목표이자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을 의미한다. 하지만, 작품에서 인물들은 콩밭에서 금을 캐지 못하므로 작품명 『금 따는 콩밭』은 언어적 아이러니이다. 상황적 아이러니는 작품의 끝에 나타난다.
영식은 기쁨보다 먼저 기가 탁 막혔다. 웃어야 옳을지 울어야 옳을지. 다만 입을 벌린채 수재의 얼굴만 멍하니 바라본다. “이리 와 봐. 이게 금이래.”
(중략)
“그 흙 속에 금이 있지요?” 영식의 처가 너무 기뻐서 코다리에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 제 수재는 시원스러이, “네, 한포대에 50원씩 나와유” 하고 대답하고 오늘밤에는 꼭 정녕코 꼭 달아나리라 생각하였다. 위의 책, 250쪽.
금이 나오지 않는 다는 것을 수재와 작품을 읽고 있는 독자는 알고 있다. 하지만, 영식과 영식의 아내는 수재의 말을 믿고 콩밭에서 금이 나온 줄 알고 기뻐한다. 즉, 영식과 영식의 아내의 상황에 대한 인식 능력 부족으로 인해 독자가 기대한 행동과 주인공들의 행동의 불일치가 일어남으로써 웃음의 효과를 내는 상황적 아이러니가 나타난다.
Ⅳ. 마치며
김유정의 작품의 대표적인 특징은 해학이다. 이때 김유정이 작품에서 생산하고 있는 웃음은 단순하게 그냥 웃어버릴 수 있는 웃음이 아니다.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는 작품 속 절망적인 세계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의지와 행동이 우리의 마음에 진한 여운을 남기기 때문이다. 즉, 김유정은 웃음 뒤에 현실의 비극성도 함께 제시하면서 독자에게 그 당시의 아픔을 전달하고 있다.『금 따는 콩밭』도 일제의 식민지 정책 속에 순수하고 어리숙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의 참담함과 절망감을 웃음에 담아 부조리한 현실을 리얼하게 나타내고 있다. 무거운 주제 의식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특정 이데올로기를 작품의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농민의 삶과 당대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렸으며, 해학성이 가미되었기 때문이다. 즉, 김유정은 참담한 삶의 사람들을 사실적으로 포착하면서도 이를 독특한 해학과 슬픔의 정서로 녹여낸, 한국 현대소설의 전개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작가이다.
Report
김유정의
『금 따는 콩밭』을 읽고
학 과 :
학 번 :
이 름 :
과 목 :
교수님 :
제출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