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 라 메트리(Julien Offray de la Metteie) - 인간 기계론(L'homme machine) (http://blog.naver.com/sonnova.do 참고)
인간이 만든 초창기의 움직이는 인형에서 지금 현실 세계의 가장 정교한 로봇에 이르기까지 모든 로봇(혹은 안드로이드)가 불러일으키는 불안이 있었다. 마술과 경이로움에는 근본적인 공포, 즉 우리가 너무나 쉽게 복제될 수 있으며, 무엇이 우리를 우리 자신이게 하는지에 대해 더 이상 확신할 수 없다는 공포가 섞여 있다.
3. 결론
“인간이나 인간성이라 불리는 것이 절대적인 존재는 아니다. 그것을 지키기 위해 고정화시키고 절대시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성 상실을 부르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한 오시이 마모루 “인간은 미완성이고 미숙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이 사실을 받아들이고 무언가를 고정시키는 게 아니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인간성이 실현”되지 않을까하는 그 나름대로의 해답을 들려주었다. 김도훈, 씨네 21,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 오시이 마모루의 〈이노센스〉해부
〈이노센스〉는 한 가지 정답(正答)을 알려주지 않는다. 우리가 무심히 지나쳤던 사실들을 질문으로써 던져주고 우리 나름의 답을 내리길 요구한다. 우리는 인간이 인간의 완벽한 모방을 만들고자 한다는 것이 진부한 소재라고 보기만 할 뿐,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려고조차 하지 않는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어쩌면 그것은 영원한 과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하는 인간성이나 정체성에 대해 좀더 진지하게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인간이 만든 초창기의 움직이는 인형에서 지금 현실 세계의 가장 정교한 로봇에 이르기까지 모든 로봇(혹은 안드로이드)가 불러일으키는 불안이 있었다. 마술과 경이로움에는 근본적인 공포, 즉 우리가 너무나 쉽게 복제될 수 있으며, 무엇이 우리를 우리 자신이게 하는지에 대해 더 이상 확신할 수 없다는 공포가 섞여 있다.
3. 결론
“인간이나 인간성이라 불리는 것이 절대적인 존재는 아니다. 그것을 지키기 위해 고정화시키고 절대시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성 상실을 부르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한 오시이 마모루 “인간은 미완성이고 미숙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이 사실을 받아들이고 무언가를 고정시키는 게 아니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인간성이 실현”되지 않을까하는 그 나름대로의 해답을 들려주었다. 김도훈, 씨네 21,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 오시이 마모루의 〈이노센스〉해부
〈이노센스〉는 한 가지 정답(正答)을 알려주지 않는다. 우리가 무심히 지나쳤던 사실들을 질문으로써 던져주고 우리 나름의 답을 내리길 요구한다. 우리는 인간이 인간의 완벽한 모방을 만들고자 한다는 것이 진부한 소재라고 보기만 할 뿐,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려고조차 하지 않는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어쩌면 그것은 영원한 과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하는 인간성이나 정체성에 대해 좀더 진지하게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은 아닐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