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및 간호
① 기관지 삽관하에 흡인 및 세정
② 신생아 가사의 치료 (O₂투여, acidosis 개선)
③ 폐렴예방 위해 항생제 투여
간호과정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빈호흡, 간헐적 무호흡, 약한 울음, 호흡부전을 보임
간호진단
태변 흡인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및 계획
- 세포 신진대사를 위해 적절하게 산소공급을 유지한다
- 호흡부전의 증상 및 징후가 사라진다
- 적절한 산소화를 보일 것이다
간호수행
- 최적의 공기교환이 가능하게끔 횡경막의 위치, 에너지 소비 감소
를 위해 복위를 취해줌
- 기관의 직경을 감소시키므로 목을 과도하게 신전시키지 않음
- 구주사기로 적절한 흡인을 적용함
- Oxygen hood를 사용하여 3ℓ/min으로 O₂를 공급함
- 호흡기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모니터 함
- 기저귀 교환시에는 발과 다리를 들어 올리지 않음
- 수유 중에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측위로 눕힘
평가
- sPO₂를 계속 모니터 하면서 O₂공급을 유지시켰다
- 호흡이 규칙적이고 노력하지 않는 호흡이다
#1. 태변 흡인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Stool얼룩, 태변흡인 분비물이 나옴
간호진단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및 계획
감염의 증거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수행
- V/S Check
- 신생아를 다루기 전후에 손을 철저히 씻음
- 신생아와 접촉하는 모든 기구는 깨끗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함
- 보육기를 청결하게 유지함
- 헤파박스 진(TF) 를 0.5㏄ injec함
- 활동정도를 계속적으로 모니터함
- 배변 후 항상 청결을 유지시켜줌
- 제대는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줌
- 안염 예방절차를 수행함
평가
- 움직임과 울음이 활발해졌다
- 둔부가 부드러워지고 발진은 일어나지 않는다
#2.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둔부에 배변얼룩, 목과 겨드랑이 부위가 뻘겋게 보임
간호진단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및 계획
-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 피부의 손상이 적을 것이다
간호수행
- 신생아를 다루기 전후에 손을 철저히 씻음
- 깨끗한 물이나 안정된 세제로 피부를 씻음
- 알칼리성 세정제나 로션은 사용하지 않음
- 태지를 억지로 닦아내지 않음
- 기저귀를 자주 Check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심한 손상은 없었으며 기저귀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3.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① 기관지 삽관하에 흡인 및 세정
② 신생아 가사의 치료 (O₂투여, acidosis 개선)
③ 폐렴예방 위해 항생제 투여
간호과정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빈호흡, 간헐적 무호흡, 약한 울음, 호흡부전을 보임
간호진단
태변 흡인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및 계획
- 세포 신진대사를 위해 적절하게 산소공급을 유지한다
- 호흡부전의 증상 및 징후가 사라진다
- 적절한 산소화를 보일 것이다
간호수행
- 최적의 공기교환이 가능하게끔 횡경막의 위치, 에너지 소비 감소
를 위해 복위를 취해줌
- 기관의 직경을 감소시키므로 목을 과도하게 신전시키지 않음
- 구주사기로 적절한 흡인을 적용함
- Oxygen hood를 사용하여 3ℓ/min으로 O₂를 공급함
- 호흡기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모니터 함
- 기저귀 교환시에는 발과 다리를 들어 올리지 않음
- 수유 중에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측위로 눕힘
평가
- sPO₂를 계속 모니터 하면서 O₂공급을 유지시켰다
- 호흡이 규칙적이고 노력하지 않는 호흡이다
#1. 태변 흡인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Stool얼룩, 태변흡인 분비물이 나옴
간호진단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및 계획
감염의 증거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수행
- V/S Check
- 신생아를 다루기 전후에 손을 철저히 씻음
- 신생아와 접촉하는 모든 기구는 깨끗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함
- 보육기를 청결하게 유지함
- 헤파박스 진(TF) 를 0.5㏄ injec함
- 활동정도를 계속적으로 모니터함
- 배변 후 항상 청결을 유지시켜줌
- 제대는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줌
- 안염 예방절차를 수행함
평가
- 움직임과 울음이 활발해졌다
- 둔부가 부드러워지고 발진은 일어나지 않는다
#2.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둔부에 배변얼룩, 목과 겨드랑이 부위가 뻘겋게 보임
간호진단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및 계획
-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 피부의 손상이 적을 것이다
간호수행
- 신생아를 다루기 전후에 손을 철저히 씻음
- 깨끗한 물이나 안정된 세제로 피부를 씻음
- 알칼리성 세정제나 로션은 사용하지 않음
- 태지를 억지로 닦아내지 않음
- 기저귀를 자주 Check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심한 손상은 없었으며 기저귀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3.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추천자료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RDS)
신생아 고위험 간호과정
신생아실 간호사례연구(설사)
신생아 청색증 케이스 (NR/NICU 케이스)
에드워드 증후군 (Edward syndrome)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정의와 현황,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증상과 증후...
급성 호흡성 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진단중재 Case Study
아동 주요 질환 (요로감염, 뇌막염, 발작, 천식, 급성편도염, 패혈증, 봉와직염(연조직염), ...
신생아기의 미숙아와 과숙아
미숙아 문헌고찰 - Prematurity(미숙아) , Hyaline membrane disease(유리막질환)=호흡곤란증...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AIDS : 에이즈)
[유전인자와 염색체의 이상] 유전인자의 이상(우성인자와 열성인자에 의한 결함), 성염색체 ...
[특수전염병] 신증후군성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증,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간호,case study,아동(학령전기),nephrotic syndrome,신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