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의 순환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포유류의 순환계
(1) 순환계의 정의
(2) 척추동물의 순환계
(3) 포유류의 순환계


순환기 계통
1. 심장
2. 혈관=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다.
3. 피
4. 혈액의 순환
5. 심장주기
6. 심장 박동의 자동성
7. 혈압 측정
8. 모세혈관 혈류량의 조절
9. 모세혈관 내외의 물질 이동
10. 혈액응고
11. 혈구의 분화

본문내용

심방
1) 혈압
①좌심실에서 멀어질수록 혈압이 낮아진다.
②대동맥과 동맥에서의 혈압은 심실수축기 혈압(최대혈압)과 심실이완기(최저혈압)사이에서 변화한다.
③소동맥에서는 마찰에 의한 혈관저항력 때문에 혈압이 급격하게 감소하며 굴곡이 나타나지 않는다.
2) 혈류속도
① 동맥>정맥>모세혈관
② 혈관 직경이 좁을수록 저항력이 커져서 느려진다.
3) 혈관 총단면적
① 모세혈관>정맥>동맥
② 총단면적이 클수록 혈류속도가 느려진다.
4) 정맥에서의 혈액이동:골격근의 수축력, 호흡에 의해 이동.판막존재
5. 심장주기
1) 이완기(0.4초) :심방과 심실이 모두 이완되는 시기로 대정맥, 폐정맥으로부터 심방으로 혈액이 들어오고, 심방의 혈액을 심실로 이동한다.
2) 심방 수축기(0.1초) :심방이 수축하여 심실이 혈액으로 꽉채워지는 시기이며, 정맥에 판막이 있어서 혈액이 역류하지 않는다.
3) 심실 수축기(0.4초) :심실이 수축하여 대동맥, 폐동맥을 통해 혈액이 나가는 시기로 방실판막(삼첨판, 이첨판)이 닫히고 반월판이 열린다.
*심박출량:1분동안 좌심실을 통해 대동맥으로 나가는 혈액량
*심장이 '뚝딱'하고 뛰는 소리 :뚝(1심음)-방실판이 닫힐 때, 딱(2심음)-반월판이 닫힐 때 나는 소리
6. 심장 박동의 자동성
1) 심장은 외부 자극과 관계없이 스스로 박동할 수 있다.
2) 심장 박동 속도는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된다.
3) 경로
① 박동원(동방결절:SA node)흥분→심방 수축
② 박동원의 흥분신호가 방실결절(AV node)을 통과하면서 약간 지체
③, ④ 방실결절의 흥분 신호는 특별한 근섬유(번들 가지, 푸르킨예 섬유)를 지나 심실을 수축시킨다.
7. 혈압 측정
1) 공기주머니(커프)에 공기를 넣어 동맥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동맥이 막혀 혈액이 흐르지 않는다.
2) 커프에서 공기를 서서히 빼면 압력이 낮아지며, 혈압과 같아지면 혈액이 혈관벽에 부딪히는 소리가 들린다.
3) 처음 소리가 들릴 때의 압력이 최고혈압이며, 마지막으로 소리가 들릴 때의 압력이 최저 혈압이 된다.
8. 모세혈관 혈류량의 조절
1) 소동맥 벽의 민무늬근이 수축하면 모세혈관으로 흐르는 혈류량이 감소한다.
2) 전모세혈관 괄약근
* 이완: 모세혈관망으로 혈액이 많이 흐른다.
* 수축: 모세혈관망으로 혈액이 적게 흐른다.
3) 전모세혈관 괄약근의 조절:자율신경계,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4) 혈류량과 기관의 활동:활발하게 활동하는 기관으로의 혈류량이 많아야 하며, 이 때 전모세혈관 괄약근이 이완된다.
(예) 운동할 때 근육에 분포한 전모세혈관 괄약근은 이완되며, 소화관에 분포한 전모세혈관 괄약근은 수축한다. → 골격근의 혈류량은 많고 소화관의 혈류량은 감소한다.
9. 모세혈관 내외의 물질 이동
1) 이동경로
상피세포를 통한 단순확산
상피세포막을 통한 내포작용, 외포작용
상피세포 틈을 통한 이동
2) 이동량:혈압과 혈장 삼투압의 차이에 의해 이동한다.
* 혈압 : 모세혈관내의 혈장 성분을 조직쪽으로 내보내는 힘으로 작용하며 정맥쪽으로 갈수록 혈압이 낮아진다.
* 혈장 삼투압 : 조직액이 모세혈관내로 유입되는 힘으로 작용하며 일정하게 유지된다.
① 동맥쪽 모세혈관 : 혈압이 혈장삼투압보다 높아 조직쪽으로 물질 이동(100%)
② 정맥쪽 모세혈관 : 혈압보다 혈장삼투압이 더 높아 모세혈관 쪽으로 물질 이동(99%)
* 모세혈관으로 유입되지 못한 1%의 조직액은 림프관을 통해 정맥으로 유입된다.
10. 혈액응고
1) 상처가 나면 혈소판이 결합조직에 부착하여 다른 혈소판을 붙이는 물질 분비
2) 혈소판 덩어리(혈소판 마개)가 임시로 혈액이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3) 혈소판,손상세포, 칼슘, 비타민K 등의 성분에 의해 프로트롬빈이 트롬빈으로 활성화된다.
4) 트로빈은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키며, 피브린은 혈구 세포를 결합시켜 혈병을 형성하게 한다.
5) 혈병은 상처 조직이 원상 회복될 때 까지 상처난 곳을 봉합하고 있다.
11. 혈구의 분화
1) 1차(master)조혈모세포가 각각 다른 두 종류의 2차 모세포로 분화된다.
2) Lympoid stem cell은 두 종류의 림프구로 분화된다. (T림프구, B림프구)
3) Myeloid stem cell은 적혈구, 혈수판, 4종류의 백혈구로 분화된다.
4) 백혈병
① Myeloid stem cell로부터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많이 생성되는 현상
②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억제됨 → 빈혈 유발, 혈액 응고 불량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26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