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정신을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이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독립정신』을 통해 본 이승만의 미국 의존적 태도

3.『독립정신』- 만국공법 준수론과 대외인식

4. 이승만의 정치이념

5. 결 론

6. 논의점

본문내용

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아무런 강제력도 갖지 못한 그의 조직적인 막대한 자금으로 맹렬한 정치공세를 취하고 있던 공산당에 대한 선전포고가 되었다. 이리하여 그의 이같은 반공에 대한 태도는 남한 단독정부수립을 재촉하게 하였으며, 건국 후에는 비현실적 북진통일론 주장으로 이어졌고 6.25동란으로 인한 반공포로를 석방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던 것이다.
5. 결 론
이제까지 『독립정신』을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 주장, 대외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그는 일찍이 민중계몽과 대중적 정치운동에 있어 말과 글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그의 독립활동은 말과 글로써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으며 독립운동가 가운데 가장 많은 글을 남겼다. 또한 당시로서는 드물게 현실적인 국제 정세를 파악하여 외교로서 독립을 쟁취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정치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가 비록 미국의존적인 태도를 견지하여 자주의식이 부족하였고, 무장항일 투쟁을 현실 감각 없는 행동으로 비난했을 지라도 그것 또한 당시의 상황에 발맞춰 행동한 독립운동의 일환이라 생각한다. 이제껏 우리는 이승만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 이승만을 평가하기 전에 먼저 이승만에 대한 사실을 알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6. 논의점
1) 유길준의 사상이 『독립정신』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2) 서재필의 사상이 『독립정신』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3) 『청년 이승만의 자서전』, 『독립정신』 등의 저서에서 한국인에 대한 혐오감을 적날하게 표현한 대목을 어떻게 받아들어야 할까?
4) 이승만은 과연 독립운동가인가?
참고 문헌
박찬승, 『한국근대 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유형익, 『젊은 날의 이승만』,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이승만, 『독립정신』, 정동출판사, 1993.
이정식 저, 권기붕 역, 『이승만의 청년시절』, 동아일보사, 2002.
이한우, 『거대한 생애 이승만 90년』, 조선일보사, 1995.
이현희, 『이야기 이승만』, 신원문화사, 1995.
고정휴, 「독립운동기 이승만의 외교노선과 제국주의」,역사비평 1995년 겨울호, 역사문제연구소.
김지혜, 「『독립정신(1904)』에 나타난 이승만의 대한독립방안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5.
주진오, 「청년기 이승만이 언론 정치활동 해외활동」, 역사비평 1996 여름호, 역사문제연구소.
양상완, 「이승만 김구의 정치이념과 통일노선」, 북한연구소, 1991.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03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