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단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학협력단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학협력 현황 및 문제점
1. 산학협력 현황
2. 現 산학협력 체제의 문제점

Ⅱ. 산학협력단 관련법의 이해
1. 산학협력단의 고유목적 사업
2. 산학협력단의 법적 성격
3. 산학협력단의 업무
4. 산학협력단과 통합 관리
5. 산학협력단의 회계
6. 산학협력단의 수입 지출

Ⅲ. 대학유형별 산학협력단 운영모델
1. 연구중심대학 산학협력단 운영모델
2. 지역거점대학 산학협력단 운영모델
3. 기술교육대학 산학협력단 운영모델

본문내용

기술이전사업
- 지역특화형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 특허 DB 및 선형기술 조사
공동장비 및 정보유통사업
- 대학내 연구장비 공동이용 추진
- 시험 및 분석지원
- 신기술 및 제품 발표회 개최
교육 및 인력교류사업
- 지역내 중소, 벤처기업 CEO 교육, 경영전문 교육
- 전문창업강좌 개설
- 전산전문교육
지역거점대학의 산학협력단 조직구축시에는 지역내 다양한 산학연 지역협력사업을 총괄하여 지원하는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연구비규모나 기술이전이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대학으로부터 상당부분 재정지원이 있어야 되므로 초기에는 최소한의 지원조직으로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거점대학 산학협력단 수익모델 확보방안으로는 단기방안으로 간접연구비 현실화를 위한 사전적 제도 정비, 산학협력단 발전기금조성, 특성화된 교육사 업 수행, 유휴장비 사용료 수입증대 등이 있으며 중장기 방안으로는 창업보육 센터 전문화, 기술이전사업의 전문화, 산학협력단 연구단지 조성, 특성화된 학 교기업 운영, 산학협력단 투자회사 운영이 대안으로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지역거점대학 산학협력 사례로는 이스라엘 히브루대학의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영국의 Imperial College Innovations, 캐나다의 University of Waterloo의 기술이전프로그램 등을 외국사례로 제시하였으며 국내대학 산학 협력 사례로는 경북대학교의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인 샌드위치교육과정, 영남 대학교의 경북테크노파크 사업들이 사례로서 제시되고 있다.
3. 기술교육대학 산학협력단 운영모델
기술교육대학형 산학협력단은 지역의 학부중심의 4년제 대학과 기술교육을 전 문으로 하는 전문대학이 해당된다고 하겠으며 이러한 유형의 산학협력단의 구 체적 사업모델은 다음과 같다.
<기술교육대학형 산학협력단 사업개요>
구 분
중점 업무 영역
공동연구개발사업
- 지역중소기업대상 현장애로기술 개발추진
- 중소기업공동개발을 위한 DB 구축
- 중소기업 기술혁신과제 발전
- 학문분야별 공동연구센터 설립추진
- 지역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산학연 컨소시엄 사업추진
창업보육사업
- 지역중소기업 경영지원을 위한 체제구축(경영세무법률 등 )
- 중소기업 대상 창업 강좌 개설
공동장비 및 정보유통사업
- 지역기술교육대학의 연구인력(교수, 연구원)과 실험실습 장비 및 연구장비를 지역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지역중소기업간의 정보교류를 위한 매개역할
기술지도사업
- 대학과 기업체, 중기청이 참여하는 중소기업체 애로기술 및 첨단 기술 개발사업추진
교육 및 인력교류사업
- Fusion Education 신직업 교육시스템 도입 지원(공통 및 전공분 야 학생들이 그룹형식으로 산업체를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
- 지역중소기업 수요반영 교육프로그램 확산지원
- 수출중소기업 외국어 지원사업 운영
학교기업사업
- 산학협력 기술 및 상품개발을 위한 LAB 공장 운영지원
- 일반기업형 학교기업의 학내공장 운영지원
- 전문대학 산업교육기술단지 조성 지원
기술교육대학형 산학협력단 조직유형으로는 지역중소기업과의 연계강화를 위한특성화된 지원조직이 필요하며 특히 지역의 소규모의 기술교육대학의 경우에는 행정지원조직도 최소한으로 운영하는 등 경제성 원리에 입각한 조직운영이 바람직하다.
기술교육대학 산학협력단의 수익모델 확보방안으로는 단기적으로 기술교육성격에 부합하는 학교기업 육성추진, 특성화된 기술교육사업 추진, 공공연구개발 추진, 특성화된 창업보육센터 육성 등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스타급 학교기업 육성, 지역특화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기부금유치 추진 등이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다. 기술교육대학형 산학협력 사례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현장 연구학기제 프로그램, 우송공업대학의 중소기업 컴닥터 프로그램, 영국 Stockport College의 유연학습 프로그램, 호주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의 샌드위치 교육프로그램, 영국 Kingston Polytechnic의 산학협력교육프로그램, 미국 Northwestern Michigan College의 학교기업, 미국 Wenatchee Valley College의 학교기업 등이 주요 산학협력 사례들로 제시되고 있다.
※ 참고문헌
1. 산학협력단 운영사례 및 예ㆍ결산 작성(2006, 한국사학진흥재단)
2. 산학협력단 회계 해설 및 프로그램 설명서(2004, 교육인적자원부)
3. 대학 경영ㆍ재정 전문가 연수 자료(2005, 한국사학진흥재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0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