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철학노트필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철학노트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교철학이란

Ⅱ. 철학이란 무엇인가?

Ⅲ. 신앙과 이성(Faith and Reason, Glauben und Wissen)

Ⅳ. 신의 속성(Attribute of God)

Ⅴ. 신 존재 증명의 문제

Ⅵ. 무신론의 문제

Ⅶ. 종교다원주의와 종교다원화 상황

본문내용

ty) : 기술적(記述的), 객관적, 종교학적 용어
종교다원주의(religious pluralism) : 가치판단적, 주관적, 신학적 용어
2. 토착화 : 비서구세계에서의 비기독교 수용 문제
Ⅱ. 종교다원화 상황
*지구촌(world-village, global village) 현상. 국제평화 및 “세계윤리”(Weltethik) 정립
*globalization & localization : 世界化와 地域化의 창조적 긴장
1. 정치적 상황. 수많은 나라가 정치적 자유를 얻어 독립을 했다. 백가쟁명의 시대이다.
2. 문화적 상황. 각 나라의 가치가 존경을 받게 되었다.
3. 기술적 상황. 기술이 발달하여 생산성이 급성장하고, 세계의 거리가 짧아졌다.
Ⅲ. 기독교와 세계종교와의 만남
*Arnold Toynbee
“역사연구”라는 12권짜리 책을 씀. 20세기에는 여러 가지 일들이 있었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독교와 다른 종교(불교)와의 만남일 것이다(역사가가 본 종교).
*Wilfred Cantwell Smith(하버드대 종교사학자) : 기독교와 제 3의 충격. 기독교에 미친 세상의 영향은 어떤 것이 있는가? 역사적인 흐름에 따른 분석.
1. 기독교와 헬레니즘과의 만남 : 철학적 신학. 기독교 신학은 헬라 철학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기독교에 미친 헬라의 영향은 어마어마하다.
2. 기독교와 근대문명과의 만남 : 자유주의 신학. 과학이 기독교의 중요한 동반자로 부상되는 시기.
3.기독교와 세계 종교와의 만남 : 종교신학의 대두. 우월한 지위에서가 아니라 동등한 입장에서 타종교와 대화를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종교학이 큰 이슈가 될 것이다.
이제는 타종교(이웃)을 이해하는 정도가 인류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다.
"The meaning & end of religion" (종교의 의미와 목적, 스미스, 분도 출판사) 참고.
*Hans Frei과 George Lindbeck의 postliberal theology(후기자유주의, 脫자유주의 신학)
1. pre-modern : 고대, 중세
2. modern : 근대.
3. post-modern : 후기근대 혹은 탈근대.
1. dogmatic-propositional : 교조적-명제적
2. experiential-expressive : 경험적-표현적
3. cultural-linguistic : 문화적-언어적
Ⅳ. 종교다원주의의 문제(다른 종교를 대하는 태도, 알렌 라이스)
1. 배타주의(exclusivism). 종교뿐 아니라 다른 교단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 타교단의 목사의 사역 문제.
2. 포괄주의(inclusivism). 다른 교단과 종교에도 나름대로 가능성은 있다. 주로 가톨릭 이 이 입장을 주장한다. 가톨릭 신학자 Karl Rahner는 포용주의의 입장에서 익명의 기독교인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김. 타종교인들도 구원의 가능성을 가진 자들이다. 그러 나 최고의 진리는 가톨릭이다.
3. 다원주의(pluralism).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
1. 교회중심주의(ecclesiocentrism). 교단과 교회를 중심으로 구원을 생각.
2. 그리스도중심주의(christocentrism). 구원은 오직 예수 이름으로만 이루어진다. 그리 스도가 중심이 될 때 누구든 받아들일 수 있다.
3. 神중심주의(theocentrism). “하느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 예수는 걸림돌이다. 하 나님이 예수 안에서 모든 것을 드러낸 것은 아니다.
1.대화 가능성. 타종교와의 대화는 가능하다.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대화를 해야 한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의 신앙을 다시 한 번 발견하게 된다. passing-over를 거 coming-back하게 되는 것이다.
2. 진리 가능성. 주님은 궁극적인 진리(the Truth)이다. 다른 종교에는 truths가 있을 뿐이다. 다른 종교에도 나름대로 의미 있는 진리의 편린들(truths)이 있다. 이 입장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면 기독교의 순수성을 잃을 수도 있다.
3. 구원 가능성. 먼저 구원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해야 한다.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 한 속죄 받음의 결과이다. 여기서는 양보할 수 없다.
종 교 별
신 도 수
비 율
비 고
기 독 교
1,955,229,000
33.7%
개신교
404,020,000
7.0%
Roman Catholic
981,465,000
16.9%
성공회
69,136,000
1.2%
정교회
218,350,000
3.8%
기타
282,350,000
4.9%
이슬람
1,126,325,000
19.4%
힌두교
793,075,000
13.7%
불교
325,275,000
5.6%
중국민간신앙
220,971,000
3.8%
토속신앙
102,945,000
1.8%
유대교
13,866,000
0.2%.
유교
5,086,000
0.1%
무종교
886,928,500
15.3%
무신론
222,195,000
3.8%
심령주의
10,292,500
0.2%
신흥종교
106,015,000
1.8%

5,768,203,000
100%
세계 종교인구 조사
비고)*20세기 초에 비해 기독교는 약 400% 증가
이슬람은 약 600% 증가
*20세기 초 성경 출판 약 2천만 권
20세기 말 성경 보급 약 18억 3천만 권
*현재 기독교 전임사역자 5백 20만 명.
*전 세계 비기독교인은 약 39억 명
-----------------------------------------------------------------------
종교별
단체 수
신도 수
교당 수
교직자 수
유교
1
10,185,000
232
18,240
불교
40
22,710,417
12,004
25,598
천주교
1
3,294,451
982
2,257
정교회
1
2,000
8
6
개신교
132
15,055,609
48,256
52,312
이슬람교
1
33,640
5
5
민족종교
37
11,760,868
4,156
54,454
외래종교
12
2,510,463
1,580
9,459
합계
225
65,522,449
67,223
461,031
한국 종교인구 조사 우리나라 인구 : 44,453,000명 기준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