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침출수란?
2. COD처리
2.1 생물학적 침출수처리
2.1.1 혐기성소화
2.1.2 포기식 라군(Aerated Lagoon)
2.1.3 회전원판(R.B.C)
2.1.4 접촉산화법(Trickling Filters)
2.1.5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
2.2 물리·화학적 처리
2.2.1 화학적 응집침전(Chemical Precipitation and Flocculation)
2.2.2 역삼투(Reverse Osmosis)
2.2.3 화학적 산화(Chemical Oxidation)
3. 맺은말
2. COD처리
2.1 생물학적 침출수처리
2.1.1 혐기성소화
2.1.2 포기식 라군(Aerated Lagoon)
2.1.3 회전원판(R.B.C)
2.1.4 접촉산화법(Trickling Filters)
2.1.5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
2.2 물리·화학적 처리
2.2.1 화학적 응집침전(Chemical Precipitation and Flocculation)
2.2.2 역삼투(Reverse Osmosis)
2.2.3 화학적 산화(Chemical Oxidation)
3. 맺은말
본문내용
낮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침출수는 각종 오염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량과 수질이 계절과 매립경과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므로 적절히 처리하기 어려운 폐수중의 하나로 쓰레기 처리방법이 약 60%이상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여건상 이러한 침출수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침출수의 특성상 단일 처리공정만으로는 안정적인 방류수질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유기물질 외에 질소가 새로이 방류기준에 추가된 상태에서는 한층 더 적정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효율적인 침출수처리를 위해서 많은 연구를 실시하여 왔으며 최근에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처리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수시로 변화되는 침출수 발생량과 수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처리공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공정만으로 침출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는 매우 어렵고 처리비용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침출수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질소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생물 처리공정과 물리·화학 처리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질소는 생물공정으로 잔류 유기물질은 물리화학 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 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처리를 위한 생물공정은 대개의 국내 매립장 침출수처리방법이 활성슬러지 또는 포기식 라군으로 설치운영중인 것을 고려할 경우 신규 처리시설을 증설, 보완하는 것보다는 이들 생물처리공정을 질산화/탈질시설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류 유기물질은 응집 또는 펜톤산화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질산화/탈질에 의하여 질소가 제거될 경우 COD 처리효율의 상승과 응집, 펜톤산화시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알카리도의 감소로 운전비용은 질소가 제거되기 전에 비하여 약 20∼30% 정도까지 절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침출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하수에 비하여 5∼20배까지 많은 처리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이것이 전체적인 쓰레기 처리비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침출수 처리공정 개발에 많은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출 처 : 환경관리연구소 http://www.envitop.co.kr
http://airlab.wkhc.ac.kr/acidrain/envdb/ham5/5-7.htm
환경폐기물처리 교재 인용.
침출수는 각종 오염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량과 수질이 계절과 매립경과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므로 적절히 처리하기 어려운 폐수중의 하나로 쓰레기 처리방법이 약 60%이상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여건상 이러한 침출수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침출수의 특성상 단일 처리공정만으로는 안정적인 방류수질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유기물질 외에 질소가 새로이 방류기준에 추가된 상태에서는 한층 더 적정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효율적인 침출수처리를 위해서 많은 연구를 실시하여 왔으며 최근에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처리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수시로 변화되는 침출수 발생량과 수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처리공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공정만으로 침출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는 매우 어렵고 처리비용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침출수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질소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생물 처리공정과 물리·화학 처리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질소는 생물공정으로 잔류 유기물질은 물리화학 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 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처리를 위한 생물공정은 대개의 국내 매립장 침출수처리방법이 활성슬러지 또는 포기식 라군으로 설치운영중인 것을 고려할 경우 신규 처리시설을 증설, 보완하는 것보다는 이들 생물처리공정을 질산화/탈질시설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류 유기물질은 응집 또는 펜톤산화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질산화/탈질에 의하여 질소가 제거될 경우 COD 처리효율의 상승과 응집, 펜톤산화시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알카리도의 감소로 운전비용은 질소가 제거되기 전에 비하여 약 20∼30% 정도까지 절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침출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하수에 비하여 5∼20배까지 많은 처리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이것이 전체적인 쓰레기 처리비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침출수 처리공정 개발에 많은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출 처 : 환경관리연구소 http://www.envitop.co.kr
http://airlab.wkhc.ac.kr/acidrain/envdb/ham5/5-7.htm
환경폐기물처리 교재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