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 조봉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일제하 조봉암의 민족해방투쟁과 공산주의 운동
(2) 해방과 정치활동 - 민주주의민족전선 참여, 공산당과 결별
(3) 해방과 정치활동 - 민주주의독립전선 결성
(4) 해방과 정치활동- 510총선 참여와 대한민국 정부수립
(5) 한국전쟁기의 신당조직 운동과 ‘대남간첩단 사건’
(6) 진보당의 창당과 불법화, 그리고 조봉암의 처형

3.결론

본문내용

질렀음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조봉암의 노선은 시대를 앞서갔었던 문제는 있었지만, 문제를 잘못 파악하고 잘못 이끌려고 시도하지는 않았다. 그는 특히 민중에 대한 애정과 실천에 있어 ‘목적윤리’ 만이 아니라 ‘책임윤리’를 중시한 인물이었다.
조봉암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30년이 흐른 후인 1988년 7월에 ‘죽산 조봉암 선생 추모회’가 결성되고, 이 조직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조봉암의 명예회복운동이 전개되어 왔다. 그 결과 1991년 10월 25일 ‘죽산 조봉암 선생 사면복권에 관한 청원’이 국회에 제출되었는데 ‘간첩’인 조봉암의 명예 회복에 대해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 전체가 동참하였다는 점은 조봉암에 대한 ‘정치적’의미에서의 복권은 사실상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적 시장경제, 평화통일의 주자이 보편적 시대정신으로 자리잡은 현실을 보면서 우리는 반세기전 조봉암이 지녔던 정신과 영혼, 추구했던 사회와 국가민족의 발전전력, 그리고 실천의 방도를 재삼 깊이 음미하지 않으면 안 된다. ‘통일’이라는 ‘제2의 건국’의 아버지들이 정치와 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조봉암의 선견적 사상을 실현하려고 할 때 21세기의 통일국가는 바람직한 민주사회를 전설할 수 있을 것이다.
조봉암 그는 우리 한국 근현대사에서 고민스러운 인물이다. 그는 정말로 공산주의자였으며 북한에 의한 간첩이었을까, 아니면 진보란 사상을 내걸고 이승만 독재정권에 도전하여 희생된 비운의 정치가였을까, 아직도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 그는 역사상 비운의 혁신계 정치가로 기록될 것이다.
나는 조봉암이 주장했던 평화통일노선은 지금 우리 현대사에서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 1970년 이후 한국의 모든 역대 정부는 평화통일 정책을 택했는데, 조봉암의 그리고 진보당의 평화통일 노선과 그 이후 한국 역대 정부의 평화통일 정책 사이에는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더더욱 조봉암 선생의 평화통일 정책은 높은 가치를 매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는 ‘민주 진영의 대단결’을 내걸면서 이대통령을 반대하는 세력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당을 만들 것을 제의한 것이다. 이는 이승만 세력에 도전하는 유일한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고 비판하는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해냈다. 우리 근현대사에 있어서 조봉암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독재정권에 대항하여 희생된 비운의 정치가였기에, 그리고 독재정권에 대항하여 싸운 유일할 정치가였기에 그는 업적은 더더욱 높이 평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조봉암 선생님에 대한 발표 레포트를 준비하기 전까지는 조봉암 선생님에 대해 알고 있는게 없었지만, 또한 조봉암 선생님에 대해 공부를 하고 여러분들에게 제가 공부한 내용을 알려주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는데요.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 정치가 조봉암 선생님에 대한 명예회복 운동도 일고 있는데, 여러분 어떠세요? 조봉암 선생님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조봉암 선생의 유언에 이런 글이 있습니다. “이박사는 소수가 잘살기 위한 정치를 했고 나와 나의 동지들은 국민 대다수를 고루 잘살게 하기 위한 민주주의 투쟁을 했다. 나에게 죄가 있다면 많은 사람이 고루 잘살 수 있는 정치운동을 한 것밖에 없다. 나는 이박사와 싸우다 졌으니 승자로부터 패자가 이렇게 죽음을 당하는 것은 흔히 있을수 있는 일이다. 다만 내 죽음이 헛되지 않고 이 나라의 민주 발전에 도움이 되기 바랄뿐이다.”
참고 문헌
- 죽산 조봉암 전집: 한국 현대사와 조봉암 노선(세명서관,1999)
-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역사비평사 한국학 연구 총서,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6.0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