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장 - 마무리
1장과 2장의 셋째 장단과 3장의 둘째 장단은 짧은 장단이고 나머지는 모두 긴 장단
각 장단의 처음은 1박의 시차(時差)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 장단을 연주하는 시간에 다소 차이가 생김 (연주자들 간의 호흡이 더욱 중요시되는 음악.)
남려(南呂)가 기음이 되는 남려 계면조(南呂界面調)로 남태고임의 4음음계.
곡의 흐름이 화려하고 가락이 힘이 있고 장중하며 박자와 선율의 흐름이 연주자의 선험적 교감으로 전개.
장단은 매우 불규칙. 피리가 주선률을 연주하면 소금, 대금, 해금, 아쟁 등은
이를 받아 연주하는 연음(連音)형식
삼현육각인(三絃六角)향피리2, 대금1, 해금1, 장고1, 북1로 편성되는 것이 원칙.
지금은 넓은 무대에서 연주되는 관계로 아쟁과 당적 등의 악기가 추가.
악기 편성도 경우에 따라 가감. 처용무를 반주할 때는 삼현육각으로 연주.
속도는 느리고 장중하며 우아함이 비길데 없는 아악곡.
수제천의 고악보는《대악후보(大樂後譜)》권 7 에 전함.
기보법(記譜法)은 오음약보(五音略譜)와
16정간(井間) 6대강(大綱)의 정간보(井間譜)를 병용.
대악후보에 전하는 조성(調性)은 계면조(界面調), 음역은 하오(下五)에서 상삼(上 三)에 이르는 한 옥타브와 완전 5 도이며, 장단은 4행을 단위로 하는 고고요 편쌍과 2행을 단위로 하는 고의 두 가지로 이루어져 오늘날의<수제천>에서 두 가지 장단이 쓰이는 것과 일치.
⑩ 고려사》악지와《악학궤범》권 5 무고조(舞鼓條)에 의하면<수제천>은 원래 무고정재(舞鼓呈才)의 반주로 쓰였고 춤을 추는 동안 기녀들은(井邑詞)를 노래 함.
1장과 2장의 셋째 장단과 3장의 둘째 장단은 짧은 장단이고 나머지는 모두 긴 장단
각 장단의 처음은 1박의 시차(時差)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 장단을 연주하는 시간에 다소 차이가 생김 (연주자들 간의 호흡이 더욱 중요시되는 음악.)
남려(南呂)가 기음이 되는 남려 계면조(南呂界面調)로 남태고임의 4음음계.
곡의 흐름이 화려하고 가락이 힘이 있고 장중하며 박자와 선율의 흐름이 연주자의 선험적 교감으로 전개.
장단은 매우 불규칙. 피리가 주선률을 연주하면 소금, 대금, 해금, 아쟁 등은
이를 받아 연주하는 연음(連音)형식
삼현육각인(三絃六角)향피리2, 대금1, 해금1, 장고1, 북1로 편성되는 것이 원칙.
지금은 넓은 무대에서 연주되는 관계로 아쟁과 당적 등의 악기가 추가.
악기 편성도 경우에 따라 가감. 처용무를 반주할 때는 삼현육각으로 연주.
속도는 느리고 장중하며 우아함이 비길데 없는 아악곡.
수제천의 고악보는《대악후보(大樂後譜)》권 7 에 전함.
기보법(記譜法)은 오음약보(五音略譜)와
16정간(井間) 6대강(大綱)의 정간보(井間譜)를 병용.
대악후보에 전하는 조성(調性)은 계면조(界面調), 음역은 하오(下五)에서 상삼(上 三)에 이르는 한 옥타브와 완전 5 도이며, 장단은 4행을 단위로 하는 고고요 편쌍과 2행을 단위로 하는 고의 두 가지로 이루어져 오늘날의<수제천>에서 두 가지 장단이 쓰이는 것과 일치.
⑩ 고려사》악지와《악학궤범》권 5 무고조(舞鼓條)에 의하면<수제천>은 원래 무고정재(舞鼓呈才)의 반주로 쓰였고 춤을 추는 동안 기녀들은(井邑詞)를 노래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