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목 적
Ⅱ. 기획의도
Ⅲ. 상품
Ⅳ. 기획의도
Ⅴ. 시장분석
Ⅵ. 경쟁분석 및 유사사례분석
Ⅶ. 컨셉설정
Ⅷ. 마케팅 전략
Ⅱ. 기획의도
Ⅲ. 상품
Ⅳ. 기획의도
Ⅴ. 시장분석
Ⅵ. 경쟁분석 및 유사사례분석
Ⅶ. 컨셉설정
Ⅷ. 마케팅 전략
본문내용
이외에도 과거의 모습을 체험한다는 목적으로 봉평장과 진부장 일대 전체를 과거의 모습으로 리모델링한다. 숙박시설을 과거의 모습으로 재조명시키며 실제 상인들 또한, 연합을 형성하여 민속적인 모습으로 전통의상을 갖추게 한다. 관광객들이 봉평장에 왔을 때만큼은 과거의 활발했던 봉평장의 모습으로 돌려놓는 민속관광 상품으로 기획한다.
대형 할인마트의 깔끔한 개념이 아닌 재래시장의 구수하고 또한 토속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 인해, 그리고 직접 과거의 전통적인 모습을 체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무언가 특별한 관광을 원했던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로 만드는 것이다.
Ⅷ. 마케팅 전략
■ 스폰서쉽
-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이해
대체로 상업권의 발전은 그 지역의 재정에 큰 이득을 남기기 마련이다. 더욱이 시장의 활성화에 따른 부가 효과는 상당하다. 봉평장과 진부장의 활성화 가능성과 관광자원으로 발전 가능성을 강조한다.
1. 강원도의 지원
봉평장의 활성화에 따른 평창군 일대의 지역 발전 가능성과 그로인한 강원도의 성장가능성, 봉평장을 찾아오는 관광객에 의해 인근 강원도의 다른 관광지와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강원도청에 적극적인 홍보 및 지원을 요청한다.
2. 평창군의 지원
간신히 명맥만 유지해 오고 있는 봉평장과 진부장의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지역의 홍보효과, 또한 부가 효과로 평창군 일대의 지역발전도 기대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평창군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유도한다.
또한 실제로 봉평과 진부에서 장사를 하는 상인들과 지역 주민들에게도 협조를 구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이익을 강조하여 적극적인 개발 찬성과 도움을 유도해내고 후에 직접적인 참여를 얻기 위해 노력한다.
■ 홍보전략
1. 인터넷 홍보
ㆍ각종 메이저 검색포털엔진에 광고 배너 등록. (야후, 네이버, 다음 등)
: 봉평 재래시장 관련 메인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배너를 클릭 시 바로 홈페이지로 접속, 봉평장에 관한 정보 검색을 용이하도록 하여 관심을 유발한다. (메일을 통한 광고도 가능하지만 자칫 스팸 메일로 오인 받을 수 있다.)홈페이지에 인터넷 상의 상거래도 가능하게 하여 ‘인터넷 재래시장’을 만들고, 회원제를 유지하여 회원 가입 시 상품권 증여 및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회원 우대 정책과 직접 봉평장 방문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쇼핑 시에도 마일리지 사용 가능)
ㆍ블로그 싸이트“싸이월드”에 미니홈피 제작.
: 젊은 세대의 주 정보교환 싸이트인 싸이월드를 통해 미니홈피를 제작하고 쪽지와 이벤트 등을 통해 봉평장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유도한다. 실제로 ‘붉은악마’에서 미니홈피를 제작,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참여시 소정의 상품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2. 포스터 및 전단지 홍보
ㆍ초, 중, 고등학교에 포스터와 전단지 배포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체험학습 및 수학여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ㆍ대학교의 학생서비스 센터 및 관광관련 학과의 게시판에 부착, 또는 안내책자 발행하여 관심을 유발한다.
ㆍ각 지역의 군청 및 동사무소, 우체국, 농협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의 게시판에 포스터를 부착하고 안내 책자를 배치한다.
3. 대중매체 (TV, 라디오 등)
ㆍ홍보 CF를 제작, 지상파 또는 케이블 위성 방송 및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방영한다.
ㆍ‘내고향 25시’등의 지역방문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봉평 재래시장의 현장을 촬영, 방영하여 홍보의 효과도 노려본다.
4. 인맥과 구전을 통한 홍보
ㆍ지역 주민들과 판매 상인들의 구전을 통한 홍보 효과와 평창군 및 강화도 소재 공무원 등의 적극적인 홍보 지원을 유도한다. 즉, 인맥을 동원한 홍보를 실시한다.
대형 할인마트의 깔끔한 개념이 아닌 재래시장의 구수하고 또한 토속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 인해, 그리고 직접 과거의 전통적인 모습을 체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무언가 특별한 관광을 원했던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로 만드는 것이다.
Ⅷ. 마케팅 전략
■ 스폰서쉽
-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이해
대체로 상업권의 발전은 그 지역의 재정에 큰 이득을 남기기 마련이다. 더욱이 시장의 활성화에 따른 부가 효과는 상당하다. 봉평장과 진부장의 활성화 가능성과 관광자원으로 발전 가능성을 강조한다.
1. 강원도의 지원
봉평장의 활성화에 따른 평창군 일대의 지역 발전 가능성과 그로인한 강원도의 성장가능성, 봉평장을 찾아오는 관광객에 의해 인근 강원도의 다른 관광지와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강원도청에 적극적인 홍보 및 지원을 요청한다.
2. 평창군의 지원
간신히 명맥만 유지해 오고 있는 봉평장과 진부장의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지역의 홍보효과, 또한 부가 효과로 평창군 일대의 지역발전도 기대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평창군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유도한다.
또한 실제로 봉평과 진부에서 장사를 하는 상인들과 지역 주민들에게도 협조를 구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이익을 강조하여 적극적인 개발 찬성과 도움을 유도해내고 후에 직접적인 참여를 얻기 위해 노력한다.
■ 홍보전략
1. 인터넷 홍보
ㆍ각종 메이저 검색포털엔진에 광고 배너 등록. (야후, 네이버, 다음 등)
: 봉평 재래시장 관련 메인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배너를 클릭 시 바로 홈페이지로 접속, 봉평장에 관한 정보 검색을 용이하도록 하여 관심을 유발한다. (메일을 통한 광고도 가능하지만 자칫 스팸 메일로 오인 받을 수 있다.)홈페이지에 인터넷 상의 상거래도 가능하게 하여 ‘인터넷 재래시장’을 만들고, 회원제를 유지하여 회원 가입 시 상품권 증여 및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회원 우대 정책과 직접 봉평장 방문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쇼핑 시에도 마일리지 사용 가능)
ㆍ블로그 싸이트“싸이월드”에 미니홈피 제작.
: 젊은 세대의 주 정보교환 싸이트인 싸이월드를 통해 미니홈피를 제작하고 쪽지와 이벤트 등을 통해 봉평장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유도한다. 실제로 ‘붉은악마’에서 미니홈피를 제작,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참여시 소정의 상품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2. 포스터 및 전단지 홍보
ㆍ초, 중, 고등학교에 포스터와 전단지 배포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체험학습 및 수학여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ㆍ대학교의 학생서비스 센터 및 관광관련 학과의 게시판에 부착, 또는 안내책자 발행하여 관심을 유발한다.
ㆍ각 지역의 군청 및 동사무소, 우체국, 농협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의 게시판에 포스터를 부착하고 안내 책자를 배치한다.
3. 대중매체 (TV, 라디오 등)
ㆍ홍보 CF를 제작, 지상파 또는 케이블 위성 방송 및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방영한다.
ㆍ‘내고향 25시’등의 지역방문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봉평 재래시장의 현장을 촬영, 방영하여 홍보의 효과도 노려본다.
4. 인맥과 구전을 통한 홍보
ㆍ지역 주민들과 판매 상인들의 구전을 통한 홍보 효과와 평창군 및 강화도 소재 공무원 등의 적극적인 홍보 지원을 유도한다. 즉, 인맥을 동원한 홍보를 실시한다.
추천자료
상품기획 및 MD 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상품기획/MD/마케팅/영업 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복지관광 활성화 방안 - 노령관광객 관광상품선호경향에 따른 관광상품개발.
축제 및 이벤트 활성화 - 부산다운 관광상품 개발
영어로 관광상품만들기
와인투어 관광상품 패키지
관광상품의 특성 및 마케팅 믹스
스타벅스와 카페베네(까페베네) 의 SWOT, 디자인, 마케팅, 4P, STP, 상품기획 분석
생활소비재(세제) 시장 조사 및 상품기획
[벤처기업 마케팅전략][벤처기업 마케팅전략 기술상품기획]벤처기업 마케팅전략의 의의, 벤처...
신상품개발기획서 - 시장진입, 성장전략, 고객 전략
★ 관광상품론 - 공유경제(Sharing Economy)
★ 관광상품론 - 관광상품개발 ( 안동, 문경 관광지를 통한 관광상품 개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