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내분비계의 구조

2. 내분비계의 이해

3. 선(glands)

4. 호르몬(Hormone)

5. 내분비계 질환

본문내용

ent diabetes mellitus(제2형 당뇨병)
① [정 의]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식이요법, 운동요법, 경구혈당강하제의 도움으로 병세를 조절 할 수 있으며 비만한 성인에서 많이 나타나고 증세도 느리게 진행됨
② [성별/나이] - 성인 남녀에서 모두 발생
③ [증상]
- 비만, 피로, 식욕 증가, 빈뇨, 심한 구갈(갈증)
-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
- 요로 감염, 피부, 입, 질 등에 진균감염이 일어나기 쉬움
④ [원인]
-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생성치 못하기 때문
-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체내의 세포가 인슐린을 잘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
⑤ [위험인자]
- 비만한 성인
- 스트레스
- 임신
- 경구용 피임약, Thiazide계 이뇨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Phenytoin (항경련제) 같은 약 물의 사용
-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⑥ [예방법]
- 비만증에 걸리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함
⑦ [합병증]
- 발작, 동맥경화증, 관상 동맥 질환 등의 심장혈관계 질환
- 시력 손상
- 말초혈관 장애
- 발, 다리의 괴저, 남성의 경우 발기불능
- 경구용 혈당 강하제 사용 시 저혈당 생김
⑧ [치료전망]
- 체중 감량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당뇨병으로 조절을 잘 하면 합병증이 생기지 않을 수 도 있음
- 경우에 따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으로 진행되어 더 심각해질 수도 있음
⑨ [치료법]
1. 일반요법
요당 측정 방법을 배움
당뇨병 치료법 및 합병증의 증상 징후를 알아둠
체중을 정상치로 조절
감염이나 상처가 생기면 즉시 전문인에게 문의함
2. 약물요법
필요한 경우 전문인의 지시에 따라 혈당강하제 사용(chlorpropamide, glibenclamide, gliclazide, glipizide, metformin, acarbose)
체중이 정상으로 되면 약물 복용 중단함
3. 식이요법
전문인의 지시에 따라 특별한 식이요법 행함
체중감소
탄수화물 섭취제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균형적인 섭취
식물성 섬유를 많이 섭취
⑩ [생활시 유의사항]
생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함
5) 갑상선 기능항진증 ( Hyperthyroidism )
① [정 의]
- 갑상선의 활동이 지나치게 활발해져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과 다해져서 혈액속의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한 상 태를 말함
- 갑상선은 모든 신체기능을 조절해주는 내분비선임- 신진대사가 불필요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안정을 취하고 있어도 맥이 빨라져 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식욕이 왕성해져 많이 먹는데도 불구하 고 야위는 증세가 나타남
② [성별/나이]
- 20~50세의 성인, 대부분의 경우 여성임
③ [증 상]
- 과도한 행동
- 항상 열이 나는 듯함
- 진전
- X
- 선 치료
- 땀을 흘림
- 피로와 쇠약
- 피부 가려움증
- 과식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감소됨 고령일수록 체중이 증가함
- 근심이 커지고 불안해짐
- 잠을 이루지 못함
- 심장 박동이 빠르고 불규칙적임
- 안구가 튀어나오고 시야가 이중으로 보임
- 머리가 빠짐
- 갑상선 종
④ [원인]
- 갑상선 종양
- 뇌하수체의 이상 질환
- 난소의 이상 질환
⑤ [위험인자]
- 가족 중에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걸린 사람이 있는 경우
- 스트레스
⑥ [합병증]
- 울혈성 심부전
- 모든 증세가 갑자기 악화되어 생명에 위협을 줄 정도로 위급하게 됨
- 정신병적인 근심 반응으로 오진될 수 있음
⑦ [치료전망]
- 보통 약물 요법과 외과적 수술로 치료될 수 있음
- 상태를 안정화 위해 6개월 정도 치료를 받아야 함
⑧ [치료법]
- 약물요법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는 갑상선 기능 억제제(propylthiouracil, methimazole)
빠른 심박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타-아드레날린 차단제(propranolol, reserpine, guanethidine)
갑상선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방사성 요오드
6)갑상선 기능저하증 ( Hypothyroidism )
① [정 의]
-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 분비 등을 하고 있는 갑상선의 작용이 저하되기 때문에 혈액속의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저하된 상태를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고 함. 갑상선 호르몬의 혈 액속 농도 저하가 심해지면, 체내에서 여러 가지 물질 대사가 원 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몸이 나른하고 기력이 떨어지며, 동작이 느슨해지는 등의 증세가 나타남.
② [성별/나이]
- 성인 남녀 모두에서 발생 가능하나 여성의 경우에서 많이 생김
③ [증 상]
- 감기에 대한 저항성 감소
- 땀을 적게 흘림
- 식욕저하
- 변비
- 신경과민
- 혼수
- 성욕 감퇴
- 월경 불순
- 빈혈
- 목소리가 쉼
- 손과 발이 마비되거나 누르면 아픔
- 가슴에 통증을 느낌
- 피부가 거칠어짐
- 약제에 대한 내성 감소
- 모발이 거칠어지거나 느리게 자람
- 심장 박동이 느리거나 빠름 또는 불규칙함
- 체중 증가 또는 사지가 가늘어짐
- 우울증 정신병, 기억력 저하 등의 정신 장애
- 체액 저류 (특히 눈 주위에)
- 얼굴 표정이 둔해지고 눈꺼풀이 무거워짐
④ [원인]
- 자가 면역 질환으로 면역계가 비정상적으로 기능하며 갑상선에 손상을 입은 경우
- 요오드 방사선 치료를 한 경우
-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수술을 받은 경우
-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하는 뇌하수체 분비선의 활성이 감소된 경우
- 갑상선 기능 저하시키는 리튬 같은 약물을 복용한 경우
⑤ [위험인자]
- 비만증
- X선 치료
-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수술을 받은 경우
- 60세 이상의 노인인 경우
⑥ [합병증]
- 예측된 것은 없음
⑦ [치료전망]
-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 줌으로써 치료될 수 있음
- 치료의 목적은 신체 기능에 충분한 갑상선 물질을 제공해주는 것임
- 갑상선 호르몬을 어느 정도 공급해주어야 하는가를 알기위해 수개월간의 의학적 측정이 필요함
⑧ [치료법]
- 약물요법
전문인이 갑상선 호르몬(L-thyrosin, L-triiodothyronine)을 보충하도록 지시할 수 있 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6.1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