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자연휴양림 정책의 목표 및 목적
2. 본 평가연구의 목표
Ⅱ. 평가 고안 및 평가방법(총괄평가)
1. 평가 고안단계
2. 정책 결과에 관한 평가기준과 평가지표
3. 자료수집 방법
Ⅲ. 평가결과
1. 자연휴양림 정책의 목표 및 목적
2. 본 평가연구의 목표
Ⅱ. 평가 고안 및 평가방법(총괄평가)
1. 평가 고안단계
2. 정책 결과에 관한 평가기준과 평가지표
3. 자료수집 방법
Ⅲ. 평가결과
본문내용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시설이나 서비스의 개선점
가장 빈번히 지적되는 사항은 교통관련 사항이었다.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도심과의 거리로 인하여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점 등이다. 철도나 버스와 연계될 수 있는 방안 등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3) 재방문 의사
자연휴양림을 방문한 사람들 중 대부분은 다시 방문할 의사를 밝혔다. 자연휴양림의 보건휴양시설로서의 장점을 인식하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판단된다.
3. 평가연구로 부터의 교훈
자연휴양림정책은 산림청이 시행한 정책들 중 성공한 정책의 하나이다. 자연휴양림은 공공성을 지니는 동시에 책임기관(agency)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이 정책에 대한 평가는 과정평가 보다 총괄평가가 더 중요하다. 특히 성과와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정량적 평가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세미나 개최와 실무자 면접 및 관계전문가들에 의한 포럼 형식에 의한 담론적 평가방법을 병행하여 질적 평가를 하는 것이 평가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평가연구를 마치면서 지속적으로 결과, 성과 그리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개발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예컨대 형평성은 자연휴양림의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주요한 기준이 되겠으나 개념 자체의 추상성과 다의미성으로 인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적시성과 접근성도 자연휴양림정책의 효과는 장시간이 지난 후에야 평가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본 평가연구에서 제외되었다.
◆ 참 고 ◆
김문성. 현대사회와행정(2002. 4.). 제12권 1호. 119-141
(2) 시설이나 서비스의 개선점
가장 빈번히 지적되는 사항은 교통관련 사항이었다.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도심과의 거리로 인하여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점 등이다. 철도나 버스와 연계될 수 있는 방안 등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3) 재방문 의사
자연휴양림을 방문한 사람들 중 대부분은 다시 방문할 의사를 밝혔다. 자연휴양림의 보건휴양시설로서의 장점을 인식하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판단된다.
3. 평가연구로 부터의 교훈
자연휴양림정책은 산림청이 시행한 정책들 중 성공한 정책의 하나이다. 자연휴양림은 공공성을 지니는 동시에 책임기관(agency)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이 정책에 대한 평가는 과정평가 보다 총괄평가가 더 중요하다. 특히 성과와 효과가 중요하다. 그러나 정량적 평가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세미나 개최와 실무자 면접 및 관계전문가들에 의한 포럼 형식에 의한 담론적 평가방법을 병행하여 질적 평가를 하는 것이 평가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평가연구를 마치면서 지속적으로 결과, 성과 그리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개발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예컨대 형평성은 자연휴양림의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주요한 기준이 되겠으나 개념 자체의 추상성과 다의미성으로 인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적시성과 접근성도 자연휴양림정책의 효과는 장시간이 지난 후에야 평가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본 평가연구에서 제외되었다.
◆ 참 고 ◆
김문성. 현대사회와행정(2002. 4.). 제12권 1호. 119-14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