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군주론’의 시대적 상황과 저술 의도
․ 작품 분석 및 논평
․ ‘군주론’의 의의와 한계
․ 현대사회와 군주론 - 한국사회의 지도자상
․ 작품 분석 및 논평
․ ‘군주론’의 의의와 한계
․ 현대사회와 군주론 - 한국사회의 지도자상
본문내용
권에 들어오게 된 목적을 명확히 하고 지도자로서의 법적, 도덕적인 의무를 다해야 하며 사익보다는 공익을 먼저 추구하고, 그에 걸맞은 인격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치기술(정보)을 신속히 습득하고 식견을 높여 더 좋은 결정을 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론의 발달과 활발한 NGO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도덕적인 정치인은 금방 탄로 날 뿐더러 여론과 시민의 지지는커녕 처벌을 받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얻은 국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추진력을 가져야 하며 그것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대범함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대중을 안정시킬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며 자신의 결정에 책임을 가질 수 있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렇게 얻은 국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추진력을 가져야 하며 그것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대범함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대중을 안정시킬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며 자신의 결정에 책임을 가질 수 있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