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을 시작하며
1. 시대와 인물에 따라 상이하게 기술된 천국관
2. 스베덴보리와 근대의 천국관
1. 시대와 인물에 따라 상이하게 기술된 천국관
2. 스베덴보리와 근대의 천국관
본문내용
영적인 발전 단계가 낮아 영매와 의사소통을 할 때 세속적인 것에 현혹되거나 속아 넘어가는 일도 종종 있다. 영들은 지적이고 창조적인 일을 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가장 놓은 단계의 천국에는 교육 기관이 아주 많다. 헨리 혼은 영적인 것은 “계속 변화하되, 늘 새롭게 재창조되고 정화된다. 도한 세속적인 것에서 영적인 것으로, 영적인 것에서 천상적인 것으로, 신성 그 자체에 도달할 때까지 높이 올라간다.고 역설한다. 하나님은 자신의 권능으로 우주를 창조하고 유지하며, 영적인 완성의 길 맨 끝에 서 있다. 영혼이 이 지점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지식이란 전혀 쓸모가 없으며, 그 영혼은 점차 “직관적인”존재로 변한다.
현대 기독교의 천국관에 대해 알아본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내세를 믿고 있으며 천국에 대한 이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천국에 대한 관념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의심 많은 기독교인이나, 비신앙인에게 있어 이것은 큰 문제로 부각되기 힘들지만, 신학자들 사이에서 만연한 천국에 대한 ‘회의주의’는 기독교 전체에 있어 크나큰 문제였다. 이 때 언급된 것이 “상징주의적 절충론”이다.
사제는 신학을 하나의 상징 체계로 보았으며,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영적 각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기독교인의 참 의미는 표면적인 것, 즉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신학적인 용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종교적 이미지 안에 있다는 것이다. 비록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지만, 그런 상징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진정한 영적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마르탱 뒤 가르는 성 바울의 고백 “어렸을때 나는 어린아이와 같이 말하고 어린아이 같이 생각하고 또 어린아이 같이 깨달았다. 하지만 어른이 되자 나는 어린아이의 방법을 버리게 되었다”라는 구절을 회상하였다. 성 바울의 말은 기독교 사상이 새롭고 성숙한 형태로 거듭나야 한다는 사실을 정당화시켜 주었던 것이다. 결국 장 바루아는 이런 상징주의적인 신앙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니버는 “성서의 상징들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한계를 가진 인간 정신으로는 역사를 초월해 있으면서도 그 역사를 성취시켜 나가는 어떤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상징이라는 유동적인 세상에서 그 세상 바깥에 잇는 완벽한 실재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에서 말하는 정밀함과 정확함은 있을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
이제는 사람들은 실현된 종말론으로서 현재에 주목한다. 하나님의 나라가 이 세상에 세워져야 한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서, 라우센부쉬는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신약성서』원래의 가르침으로 되돌아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예수님은 사회 정의가 사후의 세계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가르치지 않았다. 오히려 하나님의 나라, 즉 “의인들의 교제와 모임 fellowship of righteousness"은 이 세상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고 가르쳤다.
천국의 역사 / 콜린 맥다넬베른하르트 랑 지음(고진옥 옮김/이양호 감수)
천국의 역사 II/ 콜린 맥다넬베른하르트 랑 지음(고진옥 옮김/이양호 감수)
현대 기독교의 천국관에 대해 알아본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내세를 믿고 있으며 천국에 대한 이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천국에 대한 관념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의심 많은 기독교인이나, 비신앙인에게 있어 이것은 큰 문제로 부각되기 힘들지만, 신학자들 사이에서 만연한 천국에 대한 ‘회의주의’는 기독교 전체에 있어 크나큰 문제였다. 이 때 언급된 것이 “상징주의적 절충론”이다.
사제는 신학을 하나의 상징 체계로 보았으며,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영적 각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기독교인의 참 의미는 표면적인 것, 즉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신학적인 용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종교적 이미지 안에 있다는 것이다. 비록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지만, 그런 상징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진정한 영적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마르탱 뒤 가르는 성 바울의 고백 “어렸을때 나는 어린아이와 같이 말하고 어린아이 같이 생각하고 또 어린아이 같이 깨달았다. 하지만 어른이 되자 나는 어린아이의 방법을 버리게 되었다”라는 구절을 회상하였다. 성 바울의 말은 기독교 사상이 새롭고 성숙한 형태로 거듭나야 한다는 사실을 정당화시켜 주었던 것이다. 결국 장 바루아는 이런 상징주의적인 신앙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니버는 “성서의 상징들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한계를 가진 인간 정신으로는 역사를 초월해 있으면서도 그 역사를 성취시켜 나가는 어떤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상징이라는 유동적인 세상에서 그 세상 바깥에 잇는 완벽한 실재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에서 말하는 정밀함과 정확함은 있을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
이제는 사람들은 실현된 종말론으로서 현재에 주목한다. 하나님의 나라가 이 세상에 세워져야 한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서, 라우센부쉬는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신약성서』원래의 가르침으로 되돌아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예수님은 사회 정의가 사후의 세계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가르치지 않았다. 오히려 하나님의 나라, 즉 “의인들의 교제와 모임 fellowship of righteousness"은 이 세상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고 가르쳤다.
천국의 역사 / 콜린 맥다넬베른하르트 랑 지음(고진옥 옮김/이양호 감수)
천국의 역사 II/ 콜린 맥다넬베른하르트 랑 지음(고진옥 옮김/이양호 감수)
추천자료
[마케팅] 사업전략분석 - 스모커스헤븐(흡연의 천국)
루이스(C. S. Lewis)의 판타지문학에 나타난 기독교 변증- 지상의 고통과 천국의 소망을 중...
[영화감상문] 흥행작+명작 영화감상문 4종SET 해운대,국가대표,오만과편견,천국의아이들
[귄터그라스][귄터스라스소설 넙치]귄터 그라스 독일재통일관과 독일소시민관, 귄터 그라스 ...
끝이 보이지 않는 두 개의 입구 앞에서 - <천국의 열쇠>를 읽고 (A.J.크로닌, 황관순 역)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역사적배경, 우리나라 복지관의 현황, 지역사회복...
[독후감] 미치 앨봄(Mitchell David Albom)의 <천국에서 만난 다섯 사람>을 읽고
[A+] [사업계획서] 라면전문점 - 라면천국 창업계획서 라면시장분석 입지분석 타겟분석 ...
청소년복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나 영화를 1편 선정하여 감상문을 제출 - 천국의 ...
[연극과 희곡의 이해]뮤지컬 ‘천국과 지옥’을 보고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역사적배경, 우리나라 복지관의 영향, 특징, 해결...
[사회복지실습] 서울시 동대문구 「다일 작은 천국」 사회복지 실습보고서, 사회복지 실습, ...
[설교문][성경본문-레위기 22장 10-16절] 하나님의 천국잔치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33장 50-56절] 천국에 들어가려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