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급성복증(acute abdomen) 의 진단하에 응급 개복수술을 필요로 할 때도 있다.
6) 지방변성(fatty degeneration)
지방변성은 매우 드무나 진행된 초자변성에서 발생될 수 있다.
7) 육종성 변성(sarcomatous degeneration)
발생빈도는 매우 낮으나(0.1~0.6%) 자궁근종에서 육종성 변성이 나타날 수 있다. 주로 폐경기 이후에, 자궁근종이 갑자기 커지거나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던 여성이 출혈이 일어 나면 육종성 변성을 감별하여야 한다.
6. 진단
1) 양수 골반진찰(bimanual pelvic examination)
방광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양수 골반 진찰하여 근종의 크기와 자궁 내의 위치를 예측한 다. 근종의 크기는 반드시 센티메터(cm)로 표현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인 사물이나 과일 의 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표현하는 것을 정확성이 없다.
2) 자궁내막소파검사(endometrial curettage)
자궁근종이 있을 경우 자궁내막에는 악성종야이나 자궁내막증식증이 같이 동반될 수 있으 므로 자궁내막 소파검사를 환자에게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막하근종 (submucosal myoma)은 자궁내에서 발생하므로 자궁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자궁내 소파술로 확인하여 악성질환이나 다른 양성 질환과 감별진단을 할 수 있다.
3) 이학적 검사
가임여성기에서는 우선 임신반응검사, 자궁경부 세포진검사(pap smear), 일반혈액검사 (CBC), 대변검사를 기본적으로 하여야 한다. 골반내 종양을 감별할 때 종야표지물질(CA 125)을 널리 이용하고 있으며 자궁근종, 골반내 염증질환, 자궁내막증과 같은 양성질환에 서도 종양표지물질 CA 125가 혈중 내에 상승된다.
4) X-선 검사
단순복부 촬영은 자궁근종을 진단하는데 1차적 진단방법은 아니지만 골반내 종야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골반 내에 조양이 있으면서 빈뇨와 방광의 압박감을 느끼는 비뇨기 계통의 증상이 있을 경우 정맥성 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m)이나 방광조영술 (cystogram)을 시행하여 근종에 의한 요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하여 둔다.
5) 영상진단(Imaging studies)
(1) 초음파 검사(ultrasonography)
골반내 종양을 발견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단방법 중의 하나이며 다른 장기에서 발 생된 종양을 감별하는데 사용된다.
(2) 자궁경검사(hysteroscopy)
자궁내막의 병리나 자궁내막의 점막하 근종을 발견할 수 있다.
(3) 복강경검사(laparoscopy)
골반내 종양을 감별하고 양성과 악성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되며 종야의 원천(orgin)을 알 기 위하여 사용이 될 수 있다.
(4) 컴퓨터단층촬영(CT) 및 자기공명단층촬영(MRI)
자궁근종의 1차적 진단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악성종양이 강력하게 의심되거나 부 인과적인 종양이 아닐 수 있는 의심이 갈 때 이용할 수 있다.
7. 치료(treatment)
1) 비수술 요법
자궁근종은 환자의 연령, 출산력, 임신상태, 출산욕구, 다른 질환과의 합병상태, 환자의 건강상태, 증상, 근종의 크기 위치 등에 의하여 수술 요법이 결정되어야 한다. 임상적 증상이 없는 작은 근종이 발견되었을 때 6개월마다 정기적 진단을 하고 근종의 발육과정을 파악한다. GnRH 효능제(GnRH agonist)의 사용으로 자궁근종 부피를 40~60% 정도 감소시킨다고 한다. 그러므로 GnRH 효능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혈중 저에스트로젠 현상은 자궁근종을 치료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가역적 골다공증(reversible bone loss) 증세와 안면홍조(hot flush)증과 같은 증세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호르몬 요법은 단기간 동안 사용되어야 하며 저용량의 호르몬 요법이 바람직하다. 치료받은 여성의 반수 이상에서 GnRH효능제(GnRH agonist)를 사용 후 작아진 자궁근종의 크기가 다시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자궁근종 환자에서 GnRH효능제(GnRH agonist)의 사용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1) 커다란 자궁근종을 갖고 있는 여성에서 임신을 원하는 경우 또는 자궁근종 결절을 절제 하기 전에 저 치치를 요하는 경우
(2) 수술 전에 있었던 빈혈 상태를 정상 혈중 헤모그로빈 수치까지 교정하는데 소요되는 기 간동안 투여한다.
(3) 수술을 피하고자 하는 폐경기에 가까운 여성
(4) 커다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여성중 질식 자궁적출을 받고자 하거나 복강경으로 인 한 자궁적출술을 받고자 하는 경우
(5) 건강 상태의 이상으로 인하여 수술요법이 부적합한 경우
또한 GnRH효능제(GnRH agonist)외에 다른 호르몬 요법 중 프로제스테론 제제를 사용하여 자궁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월경을 초래케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치료 성공 여부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2) 외과적 치료(surgical treatment)
(1) 근종절제술(myomectomy)
근종절제술은 생식능력을 유지하여야 할 여성들에게서 시행하며 개복술에 의한 방법이나 질 내에 돌출되어 있는 점막하근종인 경우에는 질식(vaginally)으로 제거하는 경우도 있 다.
(2) 자궁절제술(hysterectomy)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는 자궁근종은 수술적응에 해당이 되지 않는다. 반드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수술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비정상적 자궁출혈로 인하여 빈혈을 초래하는 경우
② 월경과다(hypermenorrhea)를 동반하는 점막하근종
③ 유경성 근종(pedunculated myoma)
④ 방광 및 직장이 근종에 의하여 압박 증상이 나타날 때
⑤ 광간막 근종(intraligament)
⑥ 골반염, 자궁내막증과 같이 다른 골반질환과 같이 있을 때
⑦ 근종이 급히 자랄 때(rapid growing myoma)
자궁절제술은 자궁근종으로 인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절대적인 수술 적응증이 되며 일반적으로 폐경기 이전에 개복할 경우 한쪽 내지 양측의 난소는 남겨두는 것이 생리적 기능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한다.
6) 지방변성(fatty degeneration)
지방변성은 매우 드무나 진행된 초자변성에서 발생될 수 있다.
7) 육종성 변성(sarcomatous degeneration)
발생빈도는 매우 낮으나(0.1~0.6%) 자궁근종에서 육종성 변성이 나타날 수 있다. 주로 폐경기 이후에, 자궁근종이 갑자기 커지거나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던 여성이 출혈이 일어 나면 육종성 변성을 감별하여야 한다.
6. 진단
1) 양수 골반진찰(bimanual pelvic examination)
방광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양수 골반 진찰하여 근종의 크기와 자궁 내의 위치를 예측한 다. 근종의 크기는 반드시 센티메터(cm)로 표현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인 사물이나 과일 의 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표현하는 것을 정확성이 없다.
2) 자궁내막소파검사(endometrial curettage)
자궁근종이 있을 경우 자궁내막에는 악성종야이나 자궁내막증식증이 같이 동반될 수 있으 므로 자궁내막 소파검사를 환자에게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막하근종 (submucosal myoma)은 자궁내에서 발생하므로 자궁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자궁내 소파술로 확인하여 악성질환이나 다른 양성 질환과 감별진단을 할 수 있다.
3) 이학적 검사
가임여성기에서는 우선 임신반응검사, 자궁경부 세포진검사(pap smear), 일반혈액검사 (CBC), 대변검사를 기본적으로 하여야 한다. 골반내 종양을 감별할 때 종야표지물질(CA 125)을 널리 이용하고 있으며 자궁근종, 골반내 염증질환, 자궁내막증과 같은 양성질환에 서도 종양표지물질 CA 125가 혈중 내에 상승된다.
4) X-선 검사
단순복부 촬영은 자궁근종을 진단하는데 1차적 진단방법은 아니지만 골반내 종야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골반 내에 조양이 있으면서 빈뇨와 방광의 압박감을 느끼는 비뇨기 계통의 증상이 있을 경우 정맥성 선우조영술(intravenous pyelogram)이나 방광조영술 (cystogram)을 시행하여 근종에 의한 요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하여 둔다.
5) 영상진단(Imaging studies)
(1) 초음파 검사(ultrasonography)
골반내 종양을 발견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단방법 중의 하나이며 다른 장기에서 발 생된 종양을 감별하는데 사용된다.
(2) 자궁경검사(hysteroscopy)
자궁내막의 병리나 자궁내막의 점막하 근종을 발견할 수 있다.
(3) 복강경검사(laparoscopy)
골반내 종양을 감별하고 양성과 악성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되며 종야의 원천(orgin)을 알 기 위하여 사용이 될 수 있다.
(4) 컴퓨터단층촬영(CT) 및 자기공명단층촬영(MRI)
자궁근종의 1차적 진단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악성종양이 강력하게 의심되거나 부 인과적인 종양이 아닐 수 있는 의심이 갈 때 이용할 수 있다.
7. 치료(treatment)
1) 비수술 요법
자궁근종은 환자의 연령, 출산력, 임신상태, 출산욕구, 다른 질환과의 합병상태, 환자의 건강상태, 증상, 근종의 크기 위치 등에 의하여 수술 요법이 결정되어야 한다. 임상적 증상이 없는 작은 근종이 발견되었을 때 6개월마다 정기적 진단을 하고 근종의 발육과정을 파악한다. GnRH 효능제(GnRH agonist)의 사용으로 자궁근종 부피를 40~60% 정도 감소시킨다고 한다. 그러므로 GnRH 효능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혈중 저에스트로젠 현상은 자궁근종을 치료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가역적 골다공증(reversible bone loss) 증세와 안면홍조(hot flush)증과 같은 증세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호르몬 요법은 단기간 동안 사용되어야 하며 저용량의 호르몬 요법이 바람직하다. 치료받은 여성의 반수 이상에서 GnRH효능제(GnRH agonist)를 사용 후 작아진 자궁근종의 크기가 다시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자궁근종 환자에서 GnRH효능제(GnRH agonist)의 사용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1) 커다란 자궁근종을 갖고 있는 여성에서 임신을 원하는 경우 또는 자궁근종 결절을 절제 하기 전에 저 치치를 요하는 경우
(2) 수술 전에 있었던 빈혈 상태를 정상 혈중 헤모그로빈 수치까지 교정하는데 소요되는 기 간동안 투여한다.
(3) 수술을 피하고자 하는 폐경기에 가까운 여성
(4) 커다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여성중 질식 자궁적출을 받고자 하거나 복강경으로 인 한 자궁적출술을 받고자 하는 경우
(5) 건강 상태의 이상으로 인하여 수술요법이 부적합한 경우
또한 GnRH효능제(GnRH agonist)외에 다른 호르몬 요법 중 프로제스테론 제제를 사용하여 자궁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월경을 초래케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치료 성공 여부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2) 외과적 치료(surgical treatment)
(1) 근종절제술(myomectomy)
근종절제술은 생식능력을 유지하여야 할 여성들에게서 시행하며 개복술에 의한 방법이나 질 내에 돌출되어 있는 점막하근종인 경우에는 질식(vaginally)으로 제거하는 경우도 있 다.
(2) 자궁절제술(hysterectomy)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는 자궁근종은 수술적응에 해당이 되지 않는다. 반드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수술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비정상적 자궁출혈로 인하여 빈혈을 초래하는 경우
② 월경과다(hypermenorrhea)를 동반하는 점막하근종
③ 유경성 근종(pedunculated myoma)
④ 방광 및 직장이 근종에 의하여 압박 증상이 나타날 때
⑤ 광간막 근종(intraligament)
⑥ 골반염, 자궁내막증과 같이 다른 골반질환과 같이 있을 때
⑦ 근종이 급히 자랄 때(rapid growing myoma)
자궁절제술은 자궁근종으로 인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절대적인 수술 적응증이 되며 일반적으로 폐경기 이전에 개복할 경우 한쪽 내지 양측의 난소는 남겨두는 것이 생리적 기능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한다.
추천자료
생산자동화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에 대한 사례분석)
환경오염의 유형별 실태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피해사례제시)
베스킨라빈스의 한국시장 진출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
ALL(급성림프성 백혈병)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
[마케팅] CRM에 대한 설명 및 마케팅 성공 실패 사례 연구
유리천장 현상의 사례와 유리천장의 법 위반 소지에 대한 연구
육군가치관중 충성, 용기의 모범적 실천사례/ 교훈, 후보생 생활 간에 실천해야 할 방안에 대...
청소년문제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A+, 학교폭력의문제점, 학교폭력의실태, 학교폭력사례,외국...
연구개발의 글로벌화와 신제품 개발 IBM 기업에 대한 사례
[사회심리학 공격성] 좌절-공격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사례분석 및 조사 연구[2012년 A+...
[사회심리학 공격성] 좌절-공격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사례분석 및 조사 연구 (2012년 ...
[한류열풍 연구 레포트] 한류의 정의,등장배경,한계점분석및 한류에 대한 중국,일본태도분석...
[마케팅 연구레포트] 마케팅 개념,필요성,발전과정분석과 마케팅 기업사례(스타벅스,대한항공...
[감성마케팅 연구] 감성마케팅 개념과 기업성공사례(애플,스타벅스,오리온,대한항공)분석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