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작품 활동을 했던 프로스트의 시들의 특징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의 작품들 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색을 살펴보겠다.
◎자연시인 프로스트
프로스트의 작품들의 특징을 요약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들이다. 프로스트가 ‘진정한 미국적 재능’이라 평가될 때 의레 따라붙는 이미지는 ‘자연 시인’이라는 것이다. 특히 그는 미국 동북부 뉴잉글랜드라는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자연과 인생을 관조했는데 그의 가장 우수한 시집 중 하나로 평가받는 North of Boston에서 마지막 작품집 In the Cleaning 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대다수의 시가 뉴잉글랜드, 특히 뉴햄프셔와 버몬트 지방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또한 배경 뿐 아니라 취급되는 소재 대부분이 ‘자연’에서 빌려온 점을 감안하면 자연시인 이라는 정의는 시인 프로스트에 대한 기존 통념들과 맞아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T. S. 엘리엇(T. S. Eliot),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등 모더니즘이 꽃피우던 시기에 전통적 형식을 고수하면서 자연과 인간을 노래한 그는 소박하고 섬세한 감수성으로 뉴잉글랜드의 자연의 모습을 평이한 구어체와 억양으로 표현했다. 도발적인 도시서정, 화려하고도 이지적인 감수성, 현란한 기법 등이 발휘된 유럽의 대도시를 근거로 둔 모더니즘과 달리 그의 순수한 자연의 묘사는 충분히 대립적인 입장이라 할 수 있겠다. 그의 시가 주로 산문체로 되어 있다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읽는 즐거움 주는 동시에 보다 빠르고 직접적인 감동으로 그의 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평이성은 소박한 전원적 생활 속에서 드러나는 일상과 자연의 묘사에 연유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묘사와 사실적 표현들은 그가 미국의 국민시인으로서 독자와의 간격을 좁히는 데 큰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뉴잉글랜드의 자연과 일상을 그들의 언어로 표현했기에 비평가들은 그의 시를 다분히 뉴잉글랜드적 이라고 한다. 그리고 특히 토박이 백인 ‘양키정신’의 본고장인 뉴잉글랜드에 깊이 뿌리박은 시를 써냈다는 점에서 그를 전형적인 미국시인이라고 한다.
◎프로스트시의 이중성
우리가 프로스트의 시를 자연시로써 자연에 대한 적절한 묘사에 의미를 둘 때 그의 자연에 대한 묘사 방법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그를 순수한 자연시인으로만 해석한다는 것은 그의 시의 본질을 흐리게 할 위험성이 있다. 그는 그의 시에서 단순히 순수한 자연의 묘사를 통해 자아에 대한 삶의 즐거움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연을 복잡한 인생살이와 연결시키는 등 시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즉 프로스트는 자연을 잇는 그대로 묘사하는 시인이 아니라 이원론을 가진 복잡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자신의 작품에서 자연과 일상에서 채용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때 그의 관심은 항상 외적 세계의 현상에만 안주하지 않고 내적 세계에 얽힌 사건들을 적용해 풀어나간다. 따라서 그의 시는 뉴잉글랜드 지역의 제한된 자연묘사에서 탈피하여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여러 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존 J. 린넨(John F. Lynen)은 「현대시인으로서의 프로스트」라는 논문에서 이중성(duality)이 그의 사상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하면서, 프로스트 시에 나타난 자연은 인간이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전 세계의 환경에 대한 이미저리, 즉 인간 상황(‘the human situation')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제임스 L. 포터(James L. Potter)도 그의 비평에 동조하여 프로스트는 단순한 정신의 소유자가 아니며, 항상 가치의 양면성을 인식하고 인간과 우주적인 문제의 복잡성과 다중성을 강하게 느낀 시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읽는 그의 시는 즐거움을 주기는 하지만 그러한 즐거움만이 그의 시를 돋보이게 하는 시상의 전부는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그의 시에는 이분화 된 독자 집단이 나타난다. 바로 자연의 묘사에 매혹된 자연시의 애독자와 외부적인 자연 경관의 예찬자가 아닌 지성인의 집단이다. 전자는 주로 낭만주의의 시인 군에 매혹된 자들이고 후자는 자연 속에 깊이 파묻혀 대한 상징과 은유적 표현으로 인생 문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다. 이는 그가 자신의 시론에서 “시는 환희에서 시작하여 지혜로 끝난다”(A poem begins with delight and ends with wisdom.)라고 언급한 것처럼 시를 통해 ‘환희’에 몰두하는 층과 ‘지혜’에 매혹된 부류로 나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의 대부분의 이분성 즉, 자연과 인간, 자연의 외부세계와 내면의 세계, ‘환희’와 ‘지혜’ 등은 상호 배타적이 아니라 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상징과 은유
프로스트의 작품 경향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상징과 은유기법이다. 이 사실은 그가 “The Constant Symbol"에서 은유야말로 시를 표현하는 요체이며, 은유를 모르고는 자신의 시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 그의 시론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프로스트는 그 자신이 깊은 관심을 두었던 인생의 의미를 조명하기 위하여 시골의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고독한 젊은 여인, 젊은 부부, 외로운 늙은이, 농사짓는 시인과 같은 주인공들을 등장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을 계기로 프로스트는 현대인의 비극과 현대인의 보편적인 문제들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노력을 표출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또한 그는 골목길, 황야, 숲, 오솔길, 숲, 담장 등 인간의 삶의 자연 배경이 되는 소재들을 상징들로 인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인간의 삶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활양식과 강한 관련을 맺고 있다. 자연 속에는 인간행동의 제약이 스며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징들은 흔히 접하고 있으면서 알고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던 독자에게 무엇인가를 기억해내고 느끼는 놀람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때의 감동은 인근 사물들에 대해 주의 하지 못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문득 이들을 유심히 보고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환희를 느끼게 한다. 한편 이 발견의 환희를 자아의 삶과 주의 세계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삼음으로서 지혜를 얻도록 해준다.
◎자연시인 프로스트
프로스트의 작품들의 특징을 요약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들이다. 프로스트가 ‘진정한 미국적 재능’이라 평가될 때 의레 따라붙는 이미지는 ‘자연 시인’이라는 것이다. 특히 그는 미국 동북부 뉴잉글랜드라는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자연과 인생을 관조했는데 그의 가장 우수한 시집 중 하나로 평가받는 North of Boston에서 마지막 작품집 In the Cleaning 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대다수의 시가 뉴잉글랜드, 특히 뉴햄프셔와 버몬트 지방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또한 배경 뿐 아니라 취급되는 소재 대부분이 ‘자연’에서 빌려온 점을 감안하면 자연시인 이라는 정의는 시인 프로스트에 대한 기존 통념들과 맞아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T. S. 엘리엇(T. S. Eliot),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등 모더니즘이 꽃피우던 시기에 전통적 형식을 고수하면서 자연과 인간을 노래한 그는 소박하고 섬세한 감수성으로 뉴잉글랜드의 자연의 모습을 평이한 구어체와 억양으로 표현했다. 도발적인 도시서정, 화려하고도 이지적인 감수성, 현란한 기법 등이 발휘된 유럽의 대도시를 근거로 둔 모더니즘과 달리 그의 순수한 자연의 묘사는 충분히 대립적인 입장이라 할 수 있겠다. 그의 시가 주로 산문체로 되어 있다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읽는 즐거움 주는 동시에 보다 빠르고 직접적인 감동으로 그의 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평이성은 소박한 전원적 생활 속에서 드러나는 일상과 자연의 묘사에 연유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묘사와 사실적 표현들은 그가 미국의 국민시인으로서 독자와의 간격을 좁히는 데 큰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뉴잉글랜드의 자연과 일상을 그들의 언어로 표현했기에 비평가들은 그의 시를 다분히 뉴잉글랜드적 이라고 한다. 그리고 특히 토박이 백인 ‘양키정신’의 본고장인 뉴잉글랜드에 깊이 뿌리박은 시를 써냈다는 점에서 그를 전형적인 미국시인이라고 한다.
◎프로스트시의 이중성
우리가 프로스트의 시를 자연시로써 자연에 대한 적절한 묘사에 의미를 둘 때 그의 자연에 대한 묘사 방법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그를 순수한 자연시인으로만 해석한다는 것은 그의 시의 본질을 흐리게 할 위험성이 있다. 그는 그의 시에서 단순히 순수한 자연의 묘사를 통해 자아에 대한 삶의 즐거움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연을 복잡한 인생살이와 연결시키는 등 시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즉 프로스트는 자연을 잇는 그대로 묘사하는 시인이 아니라 이원론을 가진 복잡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자신의 작품에서 자연과 일상에서 채용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때 그의 관심은 항상 외적 세계의 현상에만 안주하지 않고 내적 세계에 얽힌 사건들을 적용해 풀어나간다. 따라서 그의 시는 뉴잉글랜드 지역의 제한된 자연묘사에서 탈피하여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여러 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존 J. 린넨(John F. Lynen)은 「현대시인으로서의 프로스트」라는 논문에서 이중성(duality)이 그의 사상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하면서, 프로스트 시에 나타난 자연은 인간이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전 세계의 환경에 대한 이미저리, 즉 인간 상황(‘the human situation')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제임스 L. 포터(James L. Potter)도 그의 비평에 동조하여 프로스트는 단순한 정신의 소유자가 아니며, 항상 가치의 양면성을 인식하고 인간과 우주적인 문제의 복잡성과 다중성을 강하게 느낀 시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읽는 그의 시는 즐거움을 주기는 하지만 그러한 즐거움만이 그의 시를 돋보이게 하는 시상의 전부는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그의 시에는 이분화 된 독자 집단이 나타난다. 바로 자연의 묘사에 매혹된 자연시의 애독자와 외부적인 자연 경관의 예찬자가 아닌 지성인의 집단이다. 전자는 주로 낭만주의의 시인 군에 매혹된 자들이고 후자는 자연 속에 깊이 파묻혀 대한 상징과 은유적 표현으로 인생 문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다. 이는 그가 자신의 시론에서 “시는 환희에서 시작하여 지혜로 끝난다”(A poem begins with delight and ends with wisdom.)라고 언급한 것처럼 시를 통해 ‘환희’에 몰두하는 층과 ‘지혜’에 매혹된 부류로 나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의 대부분의 이분성 즉, 자연과 인간, 자연의 외부세계와 내면의 세계, ‘환희’와 ‘지혜’ 등은 상호 배타적이 아니라 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상징과 은유
프로스트의 작품 경향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상징과 은유기법이다. 이 사실은 그가 “The Constant Symbol"에서 은유야말로 시를 표현하는 요체이며, 은유를 모르고는 자신의 시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 그의 시론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프로스트는 그 자신이 깊은 관심을 두었던 인생의 의미를 조명하기 위하여 시골의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고독한 젊은 여인, 젊은 부부, 외로운 늙은이, 농사짓는 시인과 같은 주인공들을 등장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을 계기로 프로스트는 현대인의 비극과 현대인의 보편적인 문제들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노력을 표출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또한 그는 골목길, 황야, 숲, 오솔길, 숲, 담장 등 인간의 삶의 자연 배경이 되는 소재들을 상징들로 인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인간의 삶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활양식과 강한 관련을 맺고 있다. 자연 속에는 인간행동의 제약이 스며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징들은 흔히 접하고 있으면서 알고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던 독자에게 무엇인가를 기억해내고 느끼는 놀람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때의 감동은 인근 사물들에 대해 주의 하지 못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문득 이들을 유심히 보고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환희를 느끼게 한다. 한편 이 발견의 환희를 자아의 삶과 주의 세계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삼음으로서 지혜를 얻도록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