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과 급성 질환의 확인과 조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전염병과 급성 질환의 확인과 조치
1. 아픈 유아 식별

2. 일반 전염병

3. 특별한 관심

4. 일반적인 급성 질환
1) 감기
2) 기저귀 발진
3) 설사
4) 현기증
5) 귀앓이
6) 졸도
7) 열
8) 두통
9) 땀띠
10) 라임병
11) 레이증후군
12) 인후염
13) 복통
14) 젖니
15) 치통
16) 구토

본문내용

경련성 통증인지 알아본다. 두 번째로, 열이 있는지 그리고 유아가 계속 뛰어 놀 수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이때 만일 열이 없다면 위통은 별로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를 화장실에 가도록 권하고 배뇨나 배변통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아픈 것이 가셨는지 알오보기 위해 유아를 조용히 쉬게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어떤 약을 먹고 있는지 부모들에게 알아본다.
14) 젖니
젖니가 나는 과정은 각 아기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크게 불편함이나 행동의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그러나 젖니가 돋아나는 며칠동안 침을 흘리고 씹는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아기가 열, 설사 또는 고토를 할 때는 이가 나기 때문이 아니고 다른 병의 징조롤 보아야 한다. 특히, 아기의 젖니가 돋아나려고 잇몸을 부을 때는 아기가 씹을 수 있도록 만든 고무젖꼭지 또는 질긴 물건을 차게 해서 잇몸에 대어주면 효과가 있다.
15) 치통
치통은 일반적으로 충치 때문에 발병한다. 치통이 시작되면 유아들은 경우에 따라 귀속까지 욱신거리는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다. 이때 충치가 있는 잇몸 주위가 붉게 부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뜨겁거나 매우 단 음식은 통증을 더 심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치통은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발 병 즉시 치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진찰 받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통증을 경감해 주기 위해 치통이 있는 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대어주는 것이 좋다. 그와 동시에 유아의 부모들은 통증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비아스피린계 약을 제공 할 수도 있다.
16) 구토
유아들이 구토를 할 때는 구토의 횟수, 양, 그리고 내용물을 기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구토로 말미암아 아기들에게는 탈수와 신체의 화학적 균형이 파괴될 수 있고, 때로는 구토가 계속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린 유아들에게 있어서 구토는 기분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토 자체가 매우 당황스럽고 놀라운 일이다. 따라서 유아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특별한 배려를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영아들이 토할 때는 질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엉덩이와 다리를 그들의 가슴 위치보다 약간 높이 세워서 토한 물질이 입박으로 나오도록 한다.
- 참고문헌 -
조경자, 이현숙(1998), 유아건강교육, 학지사
정연강, 조정순(1995), 유아영양과 건강, 양서원
김주성(1998), 아동의 건강과 영양, 학문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2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