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ldegard E. Peplau 페플라우의 대인관계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ildegard E. Peplau 페플라우의 대인관계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페플라우의 생애와 업적

페플라우 이론과 간호의 Metaparadigm

주요개념
(1) 정신역동적 간호 (Psychodynamic nursing)
(2) 간호사 - 환자 관계 (Nurse- Patient Relationship)
①예비단계 (Orientation)
②확인단계 (Identification)
③이용단계 (Exploitation)
④해결단계 (Resolution)
(3) 〔 간호과정과 Peplau의 대인관계 과정비교 〕

의사소통 (Communication)
① 언어적 의사소통
② 비언어적 의사소통

패턴 상호작용 혹은 통합패턴(pattern interaction, integration)
① 보완적 패턴(complementary pattern integration)
② 상호적 통합패턴(mutual pattern integration)
③ 길항적 통합패턴(antagonistic pattern integration)

인간의 內的과정
특수임상에서의 개념
대인관계 이론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선입견을 알아 야 하며 관계의 진행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인상의 경우에는 특히
잘 알아야 한다.
⑥ 선입견 : 서로를 알기 전에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첫인상
⑦ 자기 이해 : 자기성찰과 감독
(4) 자신감
실무를 통해 발전되는 기술
인간이 대인적 문제해결 능력이 자신감이 된다.
특수한 자신감을 발전적인 관계를 통해 개발되며 간호사 또한 이러한 관계를 통해 자신감 개발 가능
특수임상에서의 개념
(1) 고독
① 혼자 있을 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알 수 없는 무능력
② 외로움이나 쓸쓸함과는 비교됨
③ 초기 대인관계가 어려울 때 형성
④ 방어기전 - 시간에 대한 불평, 타인에 대한 과도한 친밀감, 무관심한 태도
⑤ 치료적 관계의 성립을 통해 고독한 대상자를 도울 수 있음
(2) 환각
① 착각의 한 형태로서 마치 현실과 같이 지각
② 불안을 피하거나 고독을 완화시키려는 시도에서 발전된 것
③ 환각 경험은 대상자에게 있어서 매우 현실적인 것
④ 간호사는 대상자의 환각을 현실로 받아줌으로써 환각을 강화시키지 않도록 주의 깊게
⑤ 언어사용
대인관계 이론에 대한 고찰
페플라우의 이론은 대인관계 이론으로써 정신역동간호의 기본으로 이 모델을 주장한다. 여기서 정신역동적 간호는 다른 사람의 인식으로는 느끼기 어려운 어떤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게 해주고 모든 경험수준에서 일어나는 문제 대한 인간관계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나는 페플라우 이론 중 이런 정신역동적 간호라는 말이 가장 마음에 든다. 왜냐하면 간호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인간의 성향은 같은 듯하면서도 제 각기 다른 면모를 가지고 있어서, 타인에 대해서 이해하고 공감한다는 사실은 실로 많이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는 이러한 각기 다른 타인의 성향과 행동을 이해하고 접근하여 원마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환자와 간호사의 관계는 어떠한가? 페플라우는 예비, 확인, 이용, 해결 단계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각 단계는 분리되기도 하나, 관계의 진행 속에서 중복되어 발생하기도 하며, 간호사와 대상자의 관계는 단순한 선형과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비록 어떤 단계가 우세하게 나타날지라도 전 단계에 대한 반성이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 날 수 있다. 이러한 대인관계과정은 간호과정과 비교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 둘의 공통점은 연속적,치료적 대인관계에 초점을 두었으며 환자의 욕구 만족을 최대로 목표로 대상자와 간호사가 함께 문제 해결 기술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간호과정은 환자를 집단적읜 것으로 다루어 전체적인 환경을 더 중요시하는 반면 페플라우는 환자와 간호사 관계에서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서 중요하게 살펴 보아야 할 점은 간호 초점의 변화이다. 즉, "대상자에게 간호하는 것"=> "대상자와 함께 간호하는 것"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대상자와 함께.. 여기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본다, 현 의료에서는 대상자와 함께..라는 말이 맞는지를... 내가 생각하기엔 아직도 현 의료는 대상자와 함께 라기 보다는 대상자에게 간호를 하는 것이 더 맞다라는 생각이 든다. 간호활동을 하면서 대상자를 간호활동에 참여시키기 보다는 대상자에게 의사 oder에 의한 무조건적인 간호활동을 먼저 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대상자와 함께 간호한다는 것은? 대상자를 간호활동에 참여시킴으로서 치료과정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면서 간호사와 대상자가 함께 대상자 자신의 질적능력을 향상시키는 목표에 도달하는데 훨씬 쉽게 도달 할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간호사와 대상자는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필수적인 수단으로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의사소통은 언어적과 비언어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감정이입적 연합, 몸짓, 자세 및 패턴에 의해 표현된다. 그런나 이 비언어적 의사통은 언어적 메시지와 반대로 나타나기도 한다. 즉, 예를 들면, "나는 흥분하지 않았어!"라고 소리치는 경우 언어적은 흥분하지 않았지만,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고, 씩씩거리는 소리를 보면서 그 사람은 흥분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대상자와 간호사 사이에는 여러 가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며, 간호사는 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을 정확히 해석하여 접근하여야 하며, 반대로 이러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예술적 측면으로 다가가서 하나의 치료의 과정으로 사용되어야 될 것이다라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모든 인간과 체계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관습적 패턴을 가지고 있고, 통합패턴은 둘 이상의 개인이나 체계에서 형성된 패턴간 상호작용의 산물로써, 페플라우는 보완적, 상호적, 길항적, 혼합적 패턴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간호의 메타패라다임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인간은 불안정한 평형상테에서 살고 있는 유기체로서 대인관계를 통해 발전한다. 환경은 대인관계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인간발달에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간호란 치료적 대인관계 과정을 말한다.
여기까지 페플라우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간호란 치료적 대인관계 과정으로써 대상자와 간호사간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을 한다. 그러나, 대인관계에는 여려가지 패턴이 있고, 개인마다의 성향이 다르므로 정신역동간호가 필요하다. 즉,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고 인간관계의 원리를 적용 해야된다. 또한, 대상자에게 간호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와 함께 간호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임상실습을 하지 않아도 실제 사회경험에서도 대인관계는 필수불가결적으로 맺어가야 되지만, 우리는 이러한 대인관계를 제대로 인지 하지 못하고, 나와 다른 타인의 차이점을 인지하지 못하고 트러블이 생길 때가 많았다. 하지만, 간호사로써 대상자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해하지 못하면 원만한 대인관계는 물론, 치료적 관계조차 맺을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는 의사소통 또한 중요하게 자리하는 만큼, 우리 간호사는 대인관계의 패턴과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는데 주력하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6.28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