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방송 프로그램의 제한적 게임 선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게임 산업성장에 따른 게임의 다양화

2.한국의 게임방송 채널

3.게임의 인기도와 게임방송 편성 비중의 비교

4. 게임의 분류와 분석

5. 게임을 방송하는데 있어서의 적합요소

6. 결론

본문내용

려 돈을 버는데 그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과 외화 반출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됨.
③그래픽(린2의 경우임, 캐릭터, 장비 등)
리니지2의 경우엔 3D 그래픽을 통해 화려한 그래픽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음. 캐릭터의 모습, 장비에 따른 이미지 변화, 스킬 사용시의 효과.
④공성, 혈전과 사냥이 모두 가능(pc vs pc, pc vs npc)
단지 몬스터를 사냥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성을 차지하고 그 성을 지키기 위해서 캐릭터간의 싸움등을 함으로 해서 단순한 사냥에 질린 게이머들에게 다른 재미를 부여함
⑤게임상의 커뮤니티가 가장 강함
혈이라는 게임상의 커뮤니티를 도입하여서 그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아지트를 살 수도 있고, 같은 서로 동맹을 하거나 성을 차지할 수도 있음.
⑥꾸준한 업데이트
현재 리니지는 클로니클이라는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서 게임을 만들어감.
리니지1은 클로니클5까지 업데이트 되었으며 리니지2는 현재 클로니클4까지 업데이트를 하였으며, 6월에 클로니클5를 업데이트 할 예정임
⑦가장 많은 사람이 즐길 수 있음
앞에서 소개한 게임들은 한 번에 모여서 게임을 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제한되어 있음. 하지만 리니지의 경우엔 한 서버에 접속한 사람들은 모두 같이 모일 수 있기 때문에 그로인한 대규모 사냥이 가능하며, 실제로 레이드라는 이름하에 보스 몬스터 사냥이 활발함. 여러 사람이 모여 있기에 게임보다 오히려 게이머들 간에 챗팅이 더 활발현 경우도 있음
⑧차별화 된 아이템을 통해 흥미 유발
레벨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아이템이 정해져 있으며 인첸트라는 아이템 강화가 가능해서 게임상의 다양한 아이템 효과를 구현하고 있음
⑨유료게임
앞에 소개한 게임들의 경우엔 게임들과 달리 유료 게임임. 월 29700원
4. 각 게임들의 방송 적합요소
ㄱ. 스타크래프트의의 방송 적합 요소
① e-sport가 큰 인기를 끌게 만든 게임.
② 종족간의 밸런스와 전략적인 요소, 다양한 맵을 통한 경기의 다양화
⑤ 게임시간
⑥ 스타플레이어
⑦ 프로화와 스폰서
ㄴ. 스페셜포스의 방송 적합 요소
② 게임 시간이 정해짐
③새로운 맵과 무기, 캐릭터의 추가
④리그(각종 게임방 대회 및 육참배 경기 등..)
⑥남, 녀 리그 분리
ㄷ. 카트라이더의 방송 적합 요소
④ 계속되는 업데이트
⑤ 빠른 진행
⑥ 남,녀 리그 분리
ㄹ. 리니지1, 2의 방송 적합 요소
⑥꾸준한 업데이트
5. 게임을 방송하는데 있어서의 적합요소
ㄱ. 게임을 겪어 본 사람이 많을 것
드라마, 영화, 코미디, 뉴스와 같은 프로그램과 달리, 그 게임을 즐길 줄 모른 사람은 그 게임의 방송을 보면서도 즐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스타크래프의 경우엔 가장 오랜 기간 인기를 끌었으며, 온라을 좀 해본 사람이라면 스타크래프트를 안해 본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이 게임의 경험자가 많다. 그러한 측면이 스타크래프트가 아직도 게임 방송에 있어서 주된 부류로 분류된 이유중에 하나인 것 같다.
ㄴ. 게임의 다양성
스타크래프트나 카트라이더, 스페셜포스의 모든 공통점은 게임의 다양성을 계속 유지시켜 나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와 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와의 차이점은 스타크래프트는 빌드오더에 따라 전혀 다른 게임이 되는 특수성이다. 맵이나 아이템의 추가 등, 제작자가 새로운 것을 추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게이머들 스스로가 게임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스타크래프트는 계속 진화중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반해 리니지는 새로운 추가는 계속 되고 있지만, 사냥이 주가 되는 게임이다 보니 계속해서 반복되는 사냥이 계속되는 것이다. 심지어 게임을 하는 사람조차 지치게 되는 것이다 단지 캐릭터의 업을 위해서, 그리고 게임머니를 벌기 위해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한 면은 방송에서 매우 부적합 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리니지의 사냥 팁 등이 방영이 된 경우는 있지만 그 사냥장면이 방영이 되지 않는 것이다.
ㄷ. 시간성
방송은 제한된 시간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다보니 무한히 사냥을 해야 하는 리니지의 경우엔 방송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그에 반해, 방송 주류, 방송 부주류 게임들은 짧은 시간 안에 반전이 끝나며 그 안에서 반전이나 스릴등이 생길 수 있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다.
ㄹ. 여성 공략
이 부분은 스타크래프트의 경우엔 해당이 되지 않는다. 현재 여자 프로게이머들이 존재하고, 여성부 리그를 시도하였지만 이미 실패를 겪은 상태이다. 하지만 카트라이더 같은 경우엔 여성 게이머들을 잘 공략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게이머들이 여자인 경우가 많다. 카트 여성부 리그인 ‘퀸 오브 카트’ 같은 경우엔 남성부보다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도 한다. 그리고 리니지2의 경우엔 많은 게이머들이 여성이다. 대부분 예쁜 캐릭터 때문에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지만 이 한 요소만으로 방송에 적합한 게임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ㅁ. 스타플레이어
한명의 스타플레이어로 인해 그 분야에서 붐이 일어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을 한다. 박세리가 LPGA에서 우승을 했을 때엔, 골프에 대한 붐이 많이 일어났고, 거기에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가졌다. 스타크래프트에는 임요한이라는 부동의 스타플레이어를 비롯하여 많은 스타플레이어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상업성은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의 인기에 있어서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6. 결론
ㄱ. 정리
게임 방송이 현재 스타크래프트라는 한 가지 게임에 집중이 많이 되어 있다. 그렇다고 이 게임이 현재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게임이 아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을 하는 이유는 방송에서 선택될 만한 상업적인 가치가 있다고 판단이 되었다. 그래서 스타크래프트, 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 리니지1, 2를 통해서 게임상에서 상업적인 요소로 ①게임을 겪어 본 사람이 많을 것,②게임의 다양성, ③시간성, ④여성공략, ⑤스타플레이어, 이 다섯 가지를 찾아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2005게임백서 / 한국게임산업개발원 / 2005
한국게임산업개발원(http://www.gameinfinity.or.kr)
온게임넷(http://www.ongamenet.com)
엠비씨게임(http://www.mbcgame.co.kr)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