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ARM 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RM] ARM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RM HISTORY

2. ARM 이란?

3. ARM Architecture 특징

4. ARM Core 특징

5. ARM Instruction Set

6. ARM11 Microarchitecture 주요 이점

7. ARM11 Microarchitecture 주요 특징

8. ARMv6 Architecture

9. ARMv6- 성능의 기초

10. ARM11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비교

11. ARM 7과 ARM 9, ARM10, ARM11 차이점

12. ARM Embedded

13. 간단한 ARM 프로그램 작성

14. Arm compiler 사용법(SDK)

15. ARM에 대해 이해를 하고 나서 정리

본문내용

.)
Arm compiler 사용법(SDK)
SDK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폰에 올리려면 개발하신 소스를 ARM Compiler로 다시 컴파일 한다.
현재 Qualcomm에서 추천하는 컴파일러는 ARM Developer Suite 1.0.1입니다.
(현재 ADS1.1이 발표되었으나 Brew는 이전 버전인 1.0.1을 사용하도록 권한다.)
→ Make 파일을 작성: Makefile의 Sample은 BREW SDK를 설치시 생성된 Examples\\에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make 파일이 함께 들어 있습니다.(만일 application이름이 ishellusage라면 ishellusage.mak라는 이름의 파일이 makefile입니다.). 이중 하나를 제작하신 어플리케이션 소스가 있는 디렉토리로 복사하신후 make 파일내의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부분과 각 모듈을 지정하는 부분만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수정하신 후 명령프롬프트 창을 띄워 해당 디렉토리에서 “nmake /f *****.mak“ 라고 쳐주시면 됩니다. (nmake는 MSVC나 기타 개발툴을 설치하신 경우에 설치되는 파일로 만일 Path를 찾지 못하면 MSVC의 bin 디렉토리를 실행경로에 포함시켜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실행하고 나면 확장자가 .mod인 파일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폰에 올리면 됩니다
예를 들어 Brew SDK를 “C:\\Program Files\\Brew” 에 설치하셨고 ARM Compiler를 “C:\\ads” 에 설치하셨다면 make 파일에서 수정해 주셔야 할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컴파일 중 정상적인 경로를 써주었는데도 경로와 관련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설치경로에 빈칸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브루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이 고친다.
AEE_DIR = c:\\progra~1\\brew
SUPPORT_DIR = c:\\progra~1\\brew\\src
SUPPORT_INCDIR = c:\\progra~1\\brew\\inc
Arm compiler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이 고친다.
ARMBIN = c:\\ads\\bin # ARM ADS application directory
ARMINC = c:\\ads\\include # ARM ADS include file directory
ARMLIB = c:\\ads\\lib # ARM ADS library directory
TARGET = 에는 생성된 mod 파일의 이름을 적는다.
MAKE_TARGET = 에는 지금 수정하고 있는 make 파일 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mak 빼고)
마지막으로 APP_OBJS = 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 제작하신 소스들이 이름을 확장자를 .o로 바꿔 서 모두 써 넣으시면 됩니다.
ZA = -za 라고 되어 있는부분을
ZA = -zo 이렇게 변경시켜야 한다.
ARM Compiler는 Qualcomm developer Extranet에 가입하시면 1500달러에 구입하실 수 있으며 http://www.arm.com/aboutarm/ARM_Korea/OpenDocument 에서 트라이얼 버젼을 구하실 수도 있다. 물론 상용화 이전까지는 반드시 구매를 하셔야 한다.
→ 추가된 내용
프로젝트안에 .c, .h 가 여러개 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주석 내용에 상관없이 추가해야 한다.
APP_OBJS = AEEAppGen.o \
AEEModGen.o \
aaabbb.o \
$(TARGET).o
# ------------------------------
# DO NOT EDIT BELOW THIS LINE
AEEAppGen.o : $(SUPPORT_DIR)\AEEAppGen.c
AEEAppGen.o : $(SUPPORT_INCDIR)\AEEAppGen.h
AEEModGen.o : $(SUPPORT_DIR)\AEEModGen.c
AEEModGen.o : $(SUPPORT_INCDIR)\AEEModGen.h
aaabbb.o : aaabbb.c
aaabbb.o : aaabbb.h
$(TARGET).o : $(TARGET).c
#$(TARGET).o : $(TARGET).h
$(TARGET).o : $(SUPPORT_INCDIR)\AEEAppGen.h
$(TARGET).o : $(SUPPORT_INCDIR)\AEEModGen.h
$(TARGET).o : aaabbb.h
ARM에 대해 이해를 하고 나서 정리
→ ARM이 도대체 뭔지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알아본 결과 ARM은 회사가 아니라 연구기관이라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곳은 제품을 만들어서 판매 하지 않습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AMD나 Intel은 자기들이 CPU를 만들어서 판매 하지만 ARM이라는 회사는 CPU의 설계도를 만든 후에 이에 대한 라인센스 비용을 받아고, 그 기술을 이전을 해서 하는 것입니다. 만약 PDA 에서 ARM 9 이라는 프로세서라면 ARM사에서 만든 ARM 9이라는 것이 아니라, ARM사에서 라이센스한 다른 회사 노키아나 모토로라 텔슨 등 회사들이 만든 라이센스를 자기들이 제조한 ARM 9이라는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쉽게 생각하여 말씀을 드리면 ARM 라이센스는 국내 삼성에서도 되어 있습니다. 삼성에서 최근에 보면 자기네들이 핸드폰에 칩을 자율화한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까? 이것은 ARM사에서 ARM 11의 라이센스를 따서, 이것을 가지고 헨드폰에 쓸 수 있는 ARM11 CPU를 본격적으로 생산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라이센스 비용은 칩당 얼마의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물론 노티아나, Ti(테사스인스투루먼트) 등 또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옛날에 보면 Intel의 SA1110이라는 CPU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스트롱암이라고 불리는데요. 이것은 바로 ARM 9 코어를 가지고 라이센스를 해서 변형을 한 CPU입니다.
저는 맨 처음 ARM이 뭔지 자세히 몰랐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은 확실하게 말 할 수 있습니다. ARM이라는 연구기관입니다. ARM은 단지 제품을 만들지 않고, 기술 팔아 회사를 유지하는 기업 즉 회사라고 생각을 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