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다이나모폰/텔하모니움(Dynamophone/Telharmoniun, 1897)
2.테레민(Theremin, 1917)
3.트라우토늄과 믹스투르 트라우토늄(Trautonium & Mixtur Trautonium, 1930)
1) 트라우토늄(Trautonium)
2) 믹스투르 트라우토늄(Mixtur Trautonium)
2.테레민(Theremin, 1917)
3.트라우토늄과 믹스투르 트라우토늄(Trautonium & Mixtur Trautonium, 1930)
1) 트라우토늄(Trautonium)
2) 믹스투르 트라우토늄(Mixtur Trautonium)
본문내용
인 트라우토늄은 매우 잘 만들어져 있다. 진공관을 3개 밖에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값도 저렴하다‥‥‥“ 라고 보고한다. 당시 트라우트바인 박사는 텔레푼켄(telefunken)이 전쟁 군비를 위한 주문 작업에 치중하자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 어 보급을 포기하게 된다.
2) 믹스투르 트라우토늄(Mixtur Trautonium)
1차 세계대전 후인 1952년 잘라(Oscar sala)는 트라우토늄을 개량한 믹스투르 트라우토
늄을 제작하였다. 이 악기는 트라우트늄과 유사한 생산기술을 사용하다가 1960년대 악기들은 보다 정밀한 주파수를 내기 위해 3극 진공 램프 대신 세미콘덱터(semi conductor)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하모늄과 비슷한 구조를 가졌으며 주 발진기의 선율에 병행되는 아래 배음열이 생기게 하여 마치 중세의 오르가눔을 연상시키는 것이었다. 이 악기의 음색은 임의의 많은 배음군이 생성되는 전기적 공진회로 안에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제작자인 잘라 이외는 악기를 잘 연주해 낼 수 있는 사람이 없었고 당시로는 너무나 고가였기에 실용화에 실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악기의 특기할 만한 사항은 음을 잘라 새긴점, 악음과 소음의 혼합을 위한 소음발진기를 사용한 점, 생성된 음에 잔향을 가미하는 등 현재의 신디사이저의 기본적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쟁 이후 잘라는 베를린에서 영화음악을 위한 연구집회를 정착시켰다. 그 곳에서 히치콕(Hitchcock,1899--1950)감독의 영화"The birds"에서 음악을 담당하였다 그는 오늘날까지 계속하여 음악을 작곡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미혜, 동아대학교 대학원(1999), 전자악기 발전에 관한 고찰 -187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Electronic Muxcal Instrument 1870-1990 (http://www.obsolete.com/120_years/)
Theremin World (http://www.thereminworld.com/default.asp)
Telharmonium (http://en.wikipedia.org/wiki/Telharmonium)
Synthuseum.com (http://www.synthmuseum.com/magazine/0102jw.html)
Workroom (http://blog.empas.com/barkgeunho/16135248)
2) 믹스투르 트라우토늄(Mixtur Trautonium)
1차 세계대전 후인 1952년 잘라(Oscar sala)는 트라우토늄을 개량한 믹스투르 트라우토
늄을 제작하였다. 이 악기는 트라우트늄과 유사한 생산기술을 사용하다가 1960년대 악기들은 보다 정밀한 주파수를 내기 위해 3극 진공 램프 대신 세미콘덱터(semi conductor)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하모늄과 비슷한 구조를 가졌으며 주 발진기의 선율에 병행되는 아래 배음열이 생기게 하여 마치 중세의 오르가눔을 연상시키는 것이었다. 이 악기의 음색은 임의의 많은 배음군이 생성되는 전기적 공진회로 안에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제작자인 잘라 이외는 악기를 잘 연주해 낼 수 있는 사람이 없었고 당시로는 너무나 고가였기에 실용화에 실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악기의 특기할 만한 사항은 음을 잘라 새긴점, 악음과 소음의 혼합을 위한 소음발진기를 사용한 점, 생성된 음에 잔향을 가미하는 등 현재의 신디사이저의 기본적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쟁 이후 잘라는 베를린에서 영화음악을 위한 연구집회를 정착시켰다. 그 곳에서 히치콕(Hitchcock,1899--1950)감독의 영화"The birds"에서 음악을 담당하였다 그는 오늘날까지 계속하여 음악을 작곡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미혜, 동아대학교 대학원(1999), 전자악기 발전에 관한 고찰 -187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Electronic Muxcal Instrument 1870-1990 (http://www.obsolete.com/120_years/)
Theremin World (http://www.thereminworld.com/default.asp)
Telharmonium (http://en.wikipedia.org/wiki/Telharmonium)
Synthuseum.com (http://www.synthmuseum.com/magazine/0102jw.html)
Workroom (http://blog.empas.com/barkgeunho/16135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