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조경의 의의와 필요성
<1> 학교조경의 의의
<2> 학교조경의 필요성
2. 학교조경의 배경
3. 학교조경의 특성
4. 학교조경의 현황
5. 학교조경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학교조경의 문제점
<2> 개선방안
6. 학교조경의 사례
<1> 해외사례
<2> 국내사례
7. 학교조경 관련 뉴스 및 동영상
8.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1> 학교조경의 의의
<2> 학교조경의 필요성
2. 학교조경의 배경
3. 학교조경의 특성
4. 학교조경의 현황
5. 학교조경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학교조경의 문제점
<2> 개선방안
6. 학교조경의 사례
<1> 해외사례
<2> 국내사례
7. 학교조경 관련 뉴스 및 동영상
8.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하는 연구를 많이 한다. 그리고, 캐나다 역시 각 공간을 구성하고 나무 및 꽃을 심을 때는 아이들과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참여한다. 한마디로 말해 3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공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두 번째는 자생종을 이용한 서식처 복원, 세 번째는 학교구성원들의 참여가 에버그린 재단의 중심 키워드이다.
일본의 코가네 고등학교
이 자료는 2004년 4월19일 ~ 4월23일까지 생명의 숲 학교숲위원회가 진행한 일본 학교숲 벤치마킹 참관기입니다.
치바현 마츠도시에 위치해 있는 코가네 고등학교는 학생수가 약1,000명 정도이며 학교내에 물환경을 중심으로 약 1,800㎡의 비오톱을 치바현으로부터 1,800만 엔(약 1억 8천만원) 전액 지원받아 조성하였다. 조성된 비오톱은 코가네고등학교 생물부 학생들이 조성단계에서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과정을 정리하고 비오톱주변의 다양한 식물과 풀들의 천이과정을 조사하는 등 생태계복원의 실험지로 활용하고 있다.
비록 적은 면적, 짧은 기간 동안에 조성된 비오톱이었으나 학생들은 교내 비오톱에 대한 조성취지, 조성배경, 조성방법, 현재의 상태 등에 대하여 정확하게 그 내용을 알고 있었으며, 조성 후에는 비오톱에 찾아오는 생물에 대한 관찰과 연구 등 교과과정의 실질적인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2> 국내사례
서울화랑초등학교, 포항제철동초등학교, 부산아미초등학교, 성남혜은학교, 강릉사천초등학교, 풀무농업기술고등학교
6. 학교조경 관련 뉴스 및 동영상
1) 대학담장허물어작은공원으로…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ion_id2=&office_id=052&article_id=0000035108
2) 수원 일원초교 '학교숲' 큰 인기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130&article_id=0000005799&menu_id=115
7.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심우경, (1990) “학교 조경과 식재설계”, 서울, 조경식재설계론, 문운당
온형근, (1997), 학교 조경의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모색, 경기도 교사 현장 연구 발표 논문
이규목(1988), 도시와 상징, 서울, 일지사
강현영(1993), 도시청소년을 위한 환경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악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화(1998), “푸른 학교 가꾸기를 통한 생태교육”, 숲과 자연교육, 수문출판사
김귀곤(1997), “도시 자연 복원을 위한 일 공습지 조성에 관한연구”, 환경교육
김인호(1994), “환경 교육적 측면에서 초등학교 학교 조경의 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제 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을 위한 연구 -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인호(1997),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 환경과 생명
송영은(1998), 도시공원의 환경교육 기능 평가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정성혜(1998), “학교 조경의 해외사례와 경향-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전보-” 환경과 조경, 11월호
한국조경학회, 1990, 푸른학교 가꾸기 운동, 한국조경학회지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 필요성, 녹색교육, 통권23호,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 110~122.
박강리(1995),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모형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터넷자료
http://www-uterum.slu.se/schoolgrounds/index.phtml
http://www.edu.uleth.ca/ciccete/naceer.p...pubfiles/TV.ConfPress/StrandII/MaryB.htm
http://www.evergreen.ca/aboutus.html
http://www.evergreen.ca/resnsbcresourcepackage.html
http://www.nwf.org
http://www.stolaf.edu
http://www.tased.edu.au
http://www.schoolforest.or.kr
http://www.greencause.or.kr
http://www.biotope.co.kr
http://www.sgt.or.kr/
첫 번째는 공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두 번째는 자생종을 이용한 서식처 복원, 세 번째는 학교구성원들의 참여가 에버그린 재단의 중심 키워드이다.
일본의 코가네 고등학교
이 자료는 2004년 4월19일 ~ 4월23일까지 생명의 숲 학교숲위원회가 진행한 일본 학교숲 벤치마킹 참관기입니다.
치바현 마츠도시에 위치해 있는 코가네 고등학교는 학생수가 약1,000명 정도이며 학교내에 물환경을 중심으로 약 1,800㎡의 비오톱을 치바현으로부터 1,800만 엔(약 1억 8천만원) 전액 지원받아 조성하였다. 조성된 비오톱은 코가네고등학교 생물부 학생들이 조성단계에서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과정을 정리하고 비오톱주변의 다양한 식물과 풀들의 천이과정을 조사하는 등 생태계복원의 실험지로 활용하고 있다.
비록 적은 면적, 짧은 기간 동안에 조성된 비오톱이었으나 학생들은 교내 비오톱에 대한 조성취지, 조성배경, 조성방법, 현재의 상태 등에 대하여 정확하게 그 내용을 알고 있었으며, 조성 후에는 비오톱에 찾아오는 생물에 대한 관찰과 연구 등 교과과정의 실질적인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2> 국내사례
서울화랑초등학교, 포항제철동초등학교, 부산아미초등학교, 성남혜은학교, 강릉사천초등학교, 풀무농업기술고등학교
6. 학교조경 관련 뉴스 및 동영상
1) 대학담장허물어작은공원으로…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ion_id2=&office_id=052&article_id=0000035108
2) 수원 일원초교 '학교숲' 큰 인기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130&article_id=0000005799&menu_id=115
7.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심우경, (1990) “학교 조경과 식재설계”, 서울, 조경식재설계론, 문운당
온형근, (1997), 학교 조경의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모색, 경기도 교사 현장 연구 발표 논문
이규목(1988), 도시와 상징, 서울, 일지사
강현영(1993), 도시청소년을 위한 환경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악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화(1998), “푸른 학교 가꾸기를 통한 생태교육”, 숲과 자연교육, 수문출판사
김귀곤(1997), “도시 자연 복원을 위한 일 공습지 조성에 관한연구”, 환경교육
김인호(1994), “환경 교육적 측면에서 초등학교 학교 조경의 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제 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을 위한 연구 -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인호(1997),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 환경과 생명
송영은(1998), 도시공원의 환경교육 기능 평가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정성혜(1998), “학교 조경의 해외사례와 경향-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전보-” 환경과 조경, 11월호
한국조경학회, 1990, 푸른학교 가꾸기 운동, 한국조경학회지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 필요성, 녹색교육, 통권23호,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 110~122.
박강리(1995),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모형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터넷자료
http://www-uterum.slu.se/schoolgrounds/index.phtml
http://www.edu.uleth.ca/ciccete/naceer.p...pubfiles/TV.ConfPress/StrandII/MaryB.htm
http://www.evergreen.ca/aboutus.html
http://www.evergreen.ca/resnsbcresourcepackage.html
http://www.nwf.org
http://www.stolaf.edu
http://www.tased.edu.au
http://www.schoolforest.or.kr
http://www.greencause.or.kr
http://www.biotope.co.kr
http://www.sgt.or.kr/
추천자료
우리나라 학교환경과 개선방향
초등학교 환경 디자인 교육의 의의
-센트럴파크-조경사 레포트
[조경][학교조경][공원조경][실내조경][잔디조경][학교][공원][실내][잔디]학교조경과 공원조...
농업계 고등학교(농고)의 의미와 교육과정, 농업계 고등학교(농고)의 농업정보교육과 농업정...
[수해양계고교][수산해운계고교]수산해운계(수해양계) 고등학교 특징, 수산해운계(수해양계) ...
[연계교육]직업훈련과 직업교육의 연계교육, 조경학과와 고등학교의 연계교육, 초등학교와 교...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지침,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지향점, 초등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