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전은 국내전(a civil war) or 국제전(a world war)?

2. 스탈린(소련) 무모한 모험주의? 얄타협정 무시하면까지 위협을 무릅쓰고 그들이 한국전쟁에 개입했던 이유는?

3. 모택동(중국) “그대가 날 속일 지라도?” 스탈린 자신을 이용해 전쟁의 책임회피를 획책하고 국내적으로 장개석 정부와의 싸움이 끝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택동은 왜 스탈린의 푸들을 자처했는지, 중국의 진의는 무엇이었나?

4. 스탈린은 대국 균형론, 모택동은 자국옹호론, 그럼 위대한 김일성 수령님께서는?

5. 미국은 중국의 참전계획을 전혀 몰랐을까?

6. 맥아더 ‘바보스런 야망’ or ‘barbarous ambitions(야욕)?’

본문내용

련과 김일성 정권 사이에 협의된 주요 내용은, 한국군의 북진 공격을 어떻게 격퇴하고 스스로의 방어 체제를 강화할 것 인가였다.
P.60 <모택동은 왜 한국전쟁에 개입했을까?>
1월 17일 평양에서 개최된 이주연 대사의 베이징 부임 송별 연회
(김일성, 박헌영, 소련의 슈티코프 대사, 이그나체프와 페리센코 두 참사관)
김일성:
“(중략)최근에 나는 전국 통일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생각하느라 잠을 못 이루고 있다. 만약 한반도 남부 인민의 해방과 조국 통일의 사업이 뒤로 미루어진다면 나는 인민의 신뢰를 잃고 말 것이다.”
5. 미국은 중국의 참전계획을 전혀 몰랐을까?
미국정보부는 맥아더에게 끊임없는 정보보고에도 불구하고 중국군의 개입가능성을 묵살하고 38도선 이북으로의 북진을 단행했다. 그 결과 미군 역사상 최대의 치욕으로 기억되는 장진호 패배를 당하는 등 중국군에 크게 밀린 상황이 연출되었다.
6. 맥아더 ‘바보스런 야망’ or ‘barbarous ambitions(야욕)?’
미국 역사상 맥아더만큼 상반된 평가를 받는 군인도 없다. 그는 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한민국의 수호자이자 은인인가, 자신의 전쟁수행과정에서 판단착오를 은폐하기위해 한반도를 벼랑 끝까지 내몰았던 자아도취적 소아병 환자였나?
만약 1951년 맥아더의 계획대로 만주폭격을 감행했을 경우 우리는 조선일보의 주장대로 통일된 한국을 만들어 지금의 분단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었을까? 맥아더는 당시 합동참모본부에게 주장했던 내용은 목표지점 26곳을 선정하여 보고하면서 즉각적인 1차 원자폭탄 투하를 1승인해줄 것을 요청했다. 물론 트루먼이 그를 해임시킴으로서 그 계획이 저지되었지만 만약 그 계획이 감행되었다면 지금은 한반도 한국도 북한의 사람이 살 수 없는 불모지로 전락하지 않았을까?
ECONOMY21<이주노 기자>
애리조나 대학의 마이클 샬러 교수는 <더글러스 맥아더: 극동의 장군>에서,
맥아더의 군사적 업적도 객관적으로 평범하거나 수준 이하인 경우가 많았으며, 인간적으로 볼 때 맥아더는 독선적이며, 이기적 기회주의자이자 자아도취적 소아병환자였다고 주장했다.
맥아더는 1960년 자신이 원자폭탄의 사용을 주장했다는 트루먼의 주장은 완전한 허위라고 말했지만, 뒤에 간행된 회고록에서는 30-50발의 원자탄을 투하할 것을 계획했다고 기록했다.
7. 한국 전쟁 이후 중소의 관계, 스탈린의 적극적 애정행각, 모택동 ‘결혼은 미친 짓이다.’

키워드

korean war,   맥아더,   모택동,   스탈린,   중국,   소련,   미국,   김일성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